[[분류:연천군의 면]] [include(틀:연천군의 읍면)] ||<-2> '''[[연천군|{{{#000000,#dddddd 연천군}}}]]의 [[면(행정구역)|{{{#000000,#dddddd 면}}}]]'''[br]'''{{{+1 중면}}}'''[br]中面 | Jung-my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경기도 연천군 중면,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연천군]] || || '''행정표준코드''' || 4140037 || || '''관할 법정리''' || 11리 || || '''하위 행정구역''' || 2행정리 3반 || || '''면적''' || 80.71㎢ || || '''인구''' || 166명[* 2023년 9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2.21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동두천시·연천군'''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성원(정치인)|김성원]] ,,(재선),, || ||<-2> '''경기도의원 | 연천군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윤종영 ,,(초선),, || ||<-2> '''연천군의원 | 가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박영철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심상금 ,,(3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윤재구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군중로 400 (삼곶리 302) || || [[https://www.yeoncheon.go.kr/town/contents.do?key=4153|중면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경기도]] [[연천군]]에 위치한 [[면(행정구역)|면]]. == 상세 == 대부분의 지역이 민통선 내에 있어서 실제 민간인이 거주하는 곳은 면 소재지인 삼곶리와 횡산리이며, 주변의 마거리, 적거리, 합수리 일대는 출입 영농이 이루어지고 있다. 유이한 민간인 거주 지역인 삼곶리는 연천의 문화들 중에 하나인 [[돌무지무덤]]이 자리하는데, 백제 초기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횡산리에는 태풍전망대가 있다. == 연혁 == ||<#2350a9> {{{#ffffff '''날짜'''}}} ||<#2350a9> {{{#ffffff '''내용'''}}} || || 1954년 11월 17일 || 수복지구 임시조치법에 [br]의거 면사무소만 연천읍에 설치 || || [[1964년]] [[1월 1일]] || 수복지구와 동인접지역의 행정구역에 관한 임시조치법에 의거 삭녕면이 본 면에 편입 || || 1977년 9월 8일 || 횡산리 10세대 가입주 영농 || || 1978년 10월 15일 || 삼곶리 20세대 가입주 영농 || || 1980년 1월 1일 || 삼곶리가 행정리로 승인 || || 1985년 9월 20일 || 횡산리 40세대 입주 행정리로 승인 || || 1992년 7월 18일 || 현 청사 신축 준공 입주 || == 행정구역 == ||<#2350a9> {{{#ffffff '''법정리'''}}} ||<#2350a9> {{{#ffffff '''한자'''}}} ||<#2350a9> {{{#ffffff '''행정리'''}}} || || 삼곶리 || 三串里 || 면소재지 || || 횡산리 || 橫山里 || 횡산리 || === 거주 인구가 없는 리 === * 도연리 * 마거리 * 어적산리 * 적거리 * 적음리 * 중사리 * 합수리 == 교통 == * [[연천 버스 100|100번 버스]](횡산리~전곡재래시장) * [[연천 버스 35|35-2번 버스]](횡산리~연천역) ||<-11><:><#33CC99>{{{#ffffff 연천 버스 100번, 35-2번 운행시간표}}}[br]{{{#ffffff 2020년 11월 1일 기준 }}}|| ||<:>전곡[br](출발)||<:>연천역[br](출발)||<:>횡산리[br](출발)||노선번호|| ||<:>07:00||<:>07:25||<:>07:40|| [[연천 버스 100|100]] || ||<:>||<:>07:45||<:>08:25|| [[연천 버스 35|35-2]] || ||<:>13:00||<:>13:25||<:>13:40|| [[연천 버스 100|100]] || ||<:>||<:>16:00||<:>16:45|| [[연천 버스 35|35-2]] || ||<:>18:00||<:>18:25||<:>18:50|| [[연천 버스 100|100]] || ||<:>||<:>19:30||<:>20:15|| [[연천 버스 35|35-2]] || == 관광 == * 태풍전망대 == 여담 == 2023년 현재 기준으로, 대한민국에 소재하고 있는 모든 읍·면·동을 통틀어서 '''가장 인구가 적은 곳들 중에 한 곳'''이다.[* 거주 인구가 없는 몇몇 면을 제외하면, 늘 상위 5위 안에 드는 지역이다. 게다가 인구 유입(1980년 1월)이 되기 전인 1970년 당시 중면의 인구는 무려 '''3명'''으로 집계되기도 했다.] 특히, 사무소가 있는 읍·면·동 중에서는 뒤에서 1위에서 내려온 적이 없다. 인구 통계에서 중면보다 적은 철원군 근북면과(112명) 파주시 [[진동면(파주)|진동면]](163명)은 각각 김화읍과 장단출장소에서 업무를 대신하고 있다. 게다가 [[인구 밀도]]는 근북면이나 진동면보다 이쪽이 더 낮다. == 사건사고 == 이렇듯 정말 아무것도 없는 심심한 동네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엄청난 긴장을 간직하고 있는 화약고 같은 곳이다. 일부 [[탈북민]] 단체들이 삼곶리에 [[대북전단]]을 풍선에 실어서 자주 날리기 때문에, 이에 대한 북한의 반발로 인해 [[2014년]]에는 면 사무소 부근까지 총탄이 날아오기도 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연천 대북전단 발원지 격파사격]] 참조.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연천군/행정, version=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