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홍콩의 행정구역)] ||<-3>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height=15]] [[홍콩|{{{#000000,#dddddd 홍콩}}}]]의 [[구|{{{#000000,#dddddd 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중서구 의회 로고.svg|height=60]]}}}||{{{#!wiki style="margin: -5px 0" '''{{{+1 중서구}}}'''[br]中西區[br]{{{-1 Central and Western District}}}}}}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Central and Western District, 너비=100%, 높이=100%)]}}} || || '''국가''' ||<-2> [include(틀:국기, 국명=홍콩, 출력= 홍콩)] || || '''면적''' ||<-2> 12.55㎢ || || '''인구''' ||<-2> 235,953명 [* 2021년 기준] || || '''인구밀도''' ||<-2> 18,808명/㎢ || || '''구청장''' ||<-2> 렁치키(Leung Chi-ki) || ||<|3> '''구의회''' || 건제파(2석) || [[자유당(홍콩)|자유당]][br][[무소속]] || || 민주파(1석) || [[무소속]] || ||<-2> [include(틀:공석 표시)] (13명) || ||<-3> [[https://www.districtcouncils.gov.hk/central/tc_chi/welcome/welcome.htm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3]]]] || [목차] [clearfix] == 개요 == [[홍콩섬]] 서북부에 있는 [[홍콩]]의 [[자치구]]. 인구는 [[2016년]] 기준 243,266명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원래 중구와 서구였으나 인구 부족으로 [[1956년]]에 합쳐졌다. == 역사 == 홍콩섬 전체를 [[영국]]이 점령하기 전인 1841년부터 [[영국인]]들이 많이 정착해 개발했던 곳이다. 그래서 도심공동화 현상은 이미 [[제1차 세계 대전]] 직후부터 발생하고 있었다. == [[정치]] == === 국내정치 === [[홍콩섬]]에서 [[민주파]]와 [[친중파(홍콩)|친중파]]가 지지율 자체는 비슷한 구이다. 그러나 역대 구의회에서 중서구 구의회는 [[영국령 홍콩]] 말기인 [[1994년]] 구의회 선거에서만 민주파가 과반수를 먹었다. 가장 근접했을 때가 [[2007년]] [[홍콩 구의회 선거]] 당시 민주파 7석, 친중파 8석이었다. [[2014년 홍콩 민주화 운동]](통칭 우산혁명) 직후 치러진 [[2015년]] 홍콩 구의회 선거에서는 친중파 11석, 민주파([[민주당(홍콩)|민주당]]) 4석에 그쳤다. 특히 홍콩의 만년 집권 [[여당]] [[민주건항협진연맹]]은 15석 중 8석을 단독으로 차지하며 2015년 선거에서 단독 과반을 이뤘다.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은 중서구 민심도 바꿨다. [[친중파(홍콩)|친중파]]는 [[2019년 홍콩 구의회 선거]]로 몰락했다. 15석 구의원 중 '''온건 친중파 [[자유당(홍콩)|자유당]] 1석'''(빅토리아 피크 선거구(A04 Peak 선거구))을 제외한 나머지 14석이 모두 [[민주파]]와 [[본토파]]한테 돌아갔다. [[민주건항협진연맹]]은 '''0석'''으로 중서구에서 전멸했다. 현재 민주파들의 대거 사퇴로 인해 민주파에서만 2석이다.(민주당 1석, 조던 팽) 홍콩 국가보안법 우려로 자진 해산한 전 빅토리아사구협회였던 A08 서환(사이완) 선거구에서 당선되어 활동하는 조던 팽(Jordan Pang Ka Ho) 중서구 구의원은 [[어머니]]가 [[한국인]]인 한국계 [[홍콩인]]으로 유명하다. [[홍콩대학]] [[학생회장]]을 하다가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을 통해 [[빅토리아사구협회]]에 [[입당]], [[2019년 홍콩 구의회 선거]]에 출마하여 구의원에 당선되었다. === [[외교]] === [[홍콩]]에 [[영사관]]이나 [[대표부]]를 설치한 국가들은 대부분 이 중서구에 영사관이나 대표부를 설치하고 있다. [[일본]]은 [[애드미럴티역(홍콩)|애드미럴티역]] 인근에 주 홍콩 일본 경제무역대표부를 설치하고 있으며 주중 일본대사관([[베이징]])의 지휘를 받지 않는다. [[대한민국]]도 주 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을 애드미럴티역 바로 앞에 갖다놓고 있다. [[미국]], [[영국]]의 주 홍콩 총영사관은 [[센트럴역(홍콩)|센트럴역]] 부근에 있다. [[프랑스]]의 주 홍콩 프랑스 총영사관은 [[애드미럴티역(홍콩)|애드미럴티역]] 동쪽에 있다. [[중국]]의 주 홍콩 [[대표부]]인 중국국무원홍콩마카오판공실 홍콩주재연락소는 [[사이잉푼역]] 부근인 서환(사이완)에 위치해 있다. == [[경제]] == 인구는 홍콩의 3% 남짓한 이 중서구가 '''홍콩 전체 경제를 지탱'''하고 있다. 홍콩의 주력산업인 [[금융]], [[무역]]회사들이 죄다 [[센트럴역(홍콩)|센트럴역]]과 [[셩완역]] 일대에 몰려 있다. [[홍콩대학역]] 인근에도 [[홍콩대학]] 학생들이 세운 [[벤처기업]]들이 엄청나게 많다. [[홍콩]] 정부기관 중에서는 [[우체국]]을 전담하는 [[홍콩우정]]이 센트럴역 앞에 있다. 홍콩우정 역시 [[금융]]업무를 취급하기때문에 금융사들이 몰려있는 중서구에 위치해 있다. 홍콩우정을 제외한 다른 홍콩 정부기관은 [[완차이구]]에 있다. 중서구의 땅값은 살인적이다. 괜히 [[도심 공동화]]가 [[제1차 세계 대전]] 직후부터 일어난 것이 아니다.(...) [[애드미럴티역(홍콩)|애드미럴티역]] 인근이 가장 비싸고 [[센트럴역(홍콩)|센트럴역]] 인근이 2위이다. 애드미럴티역 인근은 1제곱미터 당 한국 돈 '''10억 원'''을 부른다. == [[교통]] == === [[철도]]교통 === 중서구 구내의 교통은 전적으로 [[MTR|MTR]] [[홍콩섬선]]에 의존하고 있다. [[케네디타운역]], [[홍콩대학역]], [[사이잉푼역]], [[셩완역]], [[센트럴역(홍콩)|센트럴역]], [[애드미럴티역(홍콩)|애드미럴티역]]이 있다. === [[도로]]교통 === === [[버스]]교통 === == 주요 관광지 == === [[센트럴]] === [[홍콩섬]]의 최대 번화가. 이른바 "빅토리아 시티"라고 불리기도 한다. === 빅토리아 피크 === {{{+1 Victoria Peak 太平山, ''Taai3 peng4 saan1'', 태평산}}} 백만 달러짜리 [[야경]]을 볼 수 있는 곳이다. 밤이 되면 홍콩섬 전체는 물론 [[침사추이]]도 눈에 들어온다. 단, 누가 (전)영국 식민지 아니랠까봐 날씨가 영국 못지 않게 후져서() 구름이나 이른 안개가 깔리는 등의 이유로 정말 쨍한 야경을 볼 수 있는 날이 자주 있지는 않다. 이런 경우 십 달러짜리 야경으로 가치 폭락. 참고로 피크 전망대보다 피크를 두르고 있는 뤼가드 도로(Lugard Rd.)에서의 전망이 더 좋다.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3/32/Lugard_panorama_cropped.jpg/800px-Lugard_panorama_cropped.jpg|뤼가드 도로에서 찍은 야경]]. 다만 도로가 어둡고 편의시설이 거의 없는데다가 바람도 강하니 유의할 필요가 있다. 홍콩 공원을 뚫고 지나가면() 나오는 일종의 등반열차인 [[피크트램]] (Peak Tram)을 타면 쉽게 정상까지 갈 수 있으며, 물론 왕복이므로 내려올때도 이것을 탈 수 있다. 올라가는 중간중간에도 역이 몇개 있지만 그쪽에서 타는 사람은 거의 없는지라 버튼을 눌러야 선다. 주의해야 할 점은, 황금시간대(너무 늦지 않으면서 야경을 보기 좋은 저녁시간)에는 트램 타는데만 두 시간 이상 기다려야 할 수도 있다. 여행 일정을 잘 고려해서 탈 것. 시간이 별로 없고 트램을 타는 경험은 중요치 않다면 그냥 택시나 버스[* 2층버스 15번과 빨간색 미니버스 1번이 있다. 두 버스 모두 홍콩역 IFC몰에서 탈 수 있지만 승차하는 곳이 다르다. [[https://www.google.co.kr/maps/dir/Hong+Kong+Station,+%ED%99%8D%EC%BD%A9/The+Peak+Galleria,+The+Peak,+Hong+Kong/@22.2817922,114.1603603,16z/data=!4m15!4m14!1m5!1m1!1s0x340400630e6e9329:0x197d6c702166f462!2m2!1d114.158177!2d22.284681!1m5!1m1!1s0x34040073806c0da9:0xfa4c8136da86cf28!2m2!1d114.1499156!2d22.2702905!3e3!5i2?hl=ko|구글 맵]]참조] 이용을 추천. 참고로 피크에서 내려올때 저 버스를 타면 저렴한 가격에 [[롤러코스터]]를 타는 기분을 만끽할 수 있다.() 웬만하면 트램 타는것을 추천한다. 저녁시안대에는 30분 걸리는경우도 허다하다. --2층에 타면 더 무섭다--[* 농담이 아니라 2층 앞좌석에 앉을 경우 진짜 무서울수도 있다. 가로수 나무가지들이 2층 창문에 사정없이 부딪히는 것을 코앞에서 볼 수 있다.] ~~진짜로 멀미로 토하는 승객까지 있다~~ === [[피크트램]] === 빅토리아 피크와 센트럴을 잇는 [[인클라인 철도]]로 [[영국인]]들이 만들었으며 원래 산 중턱에도 역이 있어 엄연한 대중교통 역할을 했으나 현재는 거의 관광자원으로 쓰인다. [[옥토퍼스 카드]]로 탑승가능하며, 패스트트랙을 이용할 경우 빨리 입장이 가능하다. === [[란콰이펑]] === {{{+1 Lan Kwai Fong 蘭桂坊, ''Laan4 Gwai3 Fong1'', 난계방}}} [[이태원동]] 클럽거리랑 비슷한 곳이다. 클럽문화가 홍콩에서 집중된 곳이다. 락을 테마로 한 음식주점인 [[하드 록]] 카페 홍콩점이 있기도 하다. 다만 이런 곳이 그렇듯 사람들끼리 시비가 붙어서 폭력사고가 일어나는 사례가 빈번하다고 하니 행여나 시비가 붙지 않도록 조심하자. [[1993년]] 새해맞이 행사 도중에 [[이태원 압사 사고]]와 유사한 [[압사]]사고가 발생해 21명이 사망한 바가 있다. === 케네디 타운 === {{{+1 Kennedy Town 堅尼地城, ''Gin1 nei4 dei6 seng4''}}} 홍콩섬 트램의 서부 종점. 낙후된 주거지역이다. 그래도 홍콩섬이라고 집값은 비싼 편. 센트럴 중심가 접근성은 훌륭하다. [[MTR 홍콩섬선]](港島綫, 파란색)의 서쪽 종점인 [[케네디타운역]]이 위치해 있다. [[존 F. 케네디]]와는 전혀 관련 없다. 비슷하게 셩완의 헐리우드 로드도 [[캘리포니아]] 헐리우드와는 상관 없다.[* 몇 가지 유래가 있지만, 미국의 헐리우드가 생기기 40년 전부터 헐리우드 로드라고 영국사람들이 부르곤 했다. [[광동어]] 표기도 영문표기의 음역이다.]. 냉동창고 및 아파트형 공장들이 여럿 있으며, 앞쪽 바다에는 무인도가 있는데 [[홍콩 경찰]] 해안경비대가 [[등대]]를 설치해 민간인은 출입이 불가능하다. === 셩완 === {{{+1 Sheung Wan 上環, 상환}}} 센트럴 옆 지역으로 상업지구와 거주지구가 섞여있으며, 가장 오래된 홍콩의 거주지구이다. 1841년 [[영국 해군]]이 상륙하면서부터 개발이 시작된 유서깊은 지역으로 헐리우드 로드 일대에는 중국 골동품을 파는 인사동을 방불케하는 골동품 가게가 많고, 미술품 경매도 흔하다. 사무실 임대료는 생각보다 싼 편으로 낡은 건물이 많고 실내가 좁은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그렇다. [[홍콩증권거래소]]가 가까워서 금융회사들이 대거 셩완에 위치해 있다. 과거 중국연락판공실 쪽으로 시위대가 갔을 때 한바탕 혼란에 휩싸였으나 경찰이 원천봉쇄한 통에 현재는 시위가 없이 조용하다. [[마카오]]로 가는 쾌속선이 출발하는 슌탁센터도 여기 셩완에 있다. [[MTR|MTR]] [[홍콩섬선]] [[셩완역]]이 위치해 있다. === 서환(사이완) === {{{+1 Sai Wan 西環}}}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중 [[2019년]] [[11월 11일]] 동구 [[사이완호역]]에서 [[홍콩 경찰]]의 총격 사건이 벌어진 이후, 이 곳은 국내에서는 [[한국식 한자음]]인 "서환"이라고 부르는 방식으로 사이완호와 사이완을 구분하고 있다. 홍콩섬 서북부에 위치한 해안. [[홍콩대학]]이 있는 곳이다. 홍콩의 아름다운 일몰을 볼 수 있는 곳으로 [[홍콩인]]들만 찾는 관광지이다. 그리고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의 핵심지구'''이다. 서환(사이완) 지역은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홍콩마카오판공실 홍콩연락주재소가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2019년 8월 이후 이 일대 시위는 원천봉쇄되어 현재는 시위대가 가지 않으며, 셩완 역시 시위 무풍지대가 되어 버렸다. 참고로 타 국가 대사관에 중국 무장경찰대원들이 경비를 서는 것과 달리 이 곳은 중국 국내이므로 [[홍콩 경찰]] PTU가 경비를 선다. 현재 이 곳을 담당하는 구의원은 '''조던 팽'''이라는 인물인데, 조던 팽은 [[빅토리아사구협회]] 소속으로, 어머니가 [[한국인]]인 '''한국계 홍콩인'''이다. [[뉴스1]]에서 [[2019년 홍콩 구의회 선거]]에서 [[중서구]] 구의원에 당선(A08, 西環(Sai Wan) 선거구)된 조던 팽(Jordan Pang Ka Ho, 彭家浩)을 인터뷰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21&aid=0004358909|인터뷰]]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홍콩섬, version=155)] [[분류:중서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