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3> '''{{{#white 철도사고 요약도[* 사진 속의 설명이 거꾸로 나와있다. 왼쪽의 기관차가 8569호이고, 오른쪽의 중파된 기관차가 8252호이다.]}}}''' || ||<-3> [[파일:원덕양평사고2.png|width=100%]]|| ||<-2> '''발생일''' || [[2017년]] [[9월 13일]] 05시경 || ||<-2> '''유형''' || 열차충돌 || ||<-2> '''원인''' || 궤도회로장치 열차검지 오류로 잘못된 신호 현시됨 || ||<-2> '''발생 위치''' || 중앙선 [[양평역(중앙선)|양평]]~[[원덕역|원덕]]간 5097AT[br](량기 52k686 지점) || ||<-2><|2> '''탑승인원''' || 승무원 4명 || || 작업인원 3명 || ||<|5> '''피해''' ||<|2> '''인명''' || 사망 1명 || || 부상 6명 || || '''차량''' || 68억 2800만원[br][[8500호대 전기기관차|8569호]] 파손(18억 1500만원)[br][[8100, 8200호대 전기기관차|8252호]] 폐차(50억 1300만원) || || '''시설''' || 320만원[br]콘크리트 침목 파손 || || '''기타''' || 원덕~양평간 상행선 약 7시간 운행 중단 || ||<-2> '''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 ||<|5> '''선행열차''' || '''열차번호''' || 제7880열차 || || '''열차종별''' || 시험운전열차 || || '''동력차''' || [[8500호대 전기기관차|8569호]] || || '''출발역''' || [[중앙선]] [[청량리역]] || || '''도착역''' || [[중앙선]] [[서원주역]] || ||<|5> '''사고열차[br](후속열차)''' || '''열차번호''' || 제7882열차 || || '''열차종별''' || 시험운전열차 || || '''동력차''' || [[8100, 8200호대 전기기관차|8252호]] || || '''출발역''' || [[중앙선]] [[청량리역]] || || '''도착역''' || [[중앙선]] [[서원주역]]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7년 9월 13일(수) 오전 5시 0분 04초경 중앙선 원덕~양평간 5097AT 궤도(량기 52k686)상에서 열차자동방호장치(ATP) 시험운전열차간 발생한 열차충돌사고이다. == 상세 == [[파일:원덕양평사고1.png|width=700px]] ATP 개량으로 시운전하고 있던 제7880열차(이하 선행열차)가 원덕~양평간 운행 중 안전관리자의 요구로 폐색 상4호주 전방에 정차한 상태에서, 5097AT의 궤도회로장치가 프로그램 오류로 열차를 검지하지 못해 원덕역 출발신호기에 진행을 현시하였다. 그리고 후속 제7882열차(이하 사고열차)가 출발신호기를 보고 운전을 시작하였고, 약 1분 후 전방에 정차중이던 선행열차를 미처 확인하지 못하고 충돌하여 진행방향 우측으로 탈선하였다. 이 사고로 8252호의 기관사는 현장에서 사망하였고, 6명이 부상을 입었다. == 사고 원인 ==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의 사고조사 결과 열차운행을 검지하는 AF궤도 회로 수신모듈에 제작사가 잘못된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일부 항목에 대한 성능확인 없이 운영 중 궤도회로장치의 열차검지 오류로 선행열차가 정차중인 상태에서 후속 열차의 출발신호기에 출발신호를 현시 한 것으로 결정하였다. == 사고 이후 == 선두부 안티클라임(타오름 방지장치)이 없던 8252호[* 2006년 도입분이다. 8200호대는 2008년 도입분부터 안티클라임이 장착되었다.]는 언더프레임의 큰 손상으로 인해 2018년 5월 폐차되었다. 반면, 8569호는 안티클라임이 장착되어 있었기에 큰 손상을 면했고, 수리 후 2019년 2월에 복귀했다. [[분류:2017년 철도사고]][[분류:양평군의 사건사고]][[분류:대한민국의 철도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