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중앙정보연구위원회[br]中央情報硏究委員會''' || || 설립일 ||<(> 1960년 11월 11일 || || 해산일 ||<(> 1961년 5월 20일 || || 위원장 ||<(> [[장면]] || || 전신 ||<(> [[대한민국 국방부 중앙정보부]] || || 후신 ||<(> [[중앙정보부]] || [[대한민국]] 최초의 독자적 정보, 첩보기관. 1960년 11월 11일에 설치되었다. 약칭 중앙정보위 또는 정보연위. [[장면 내각]] 수립 직후 정보기관의 필요성에 따라 창설되었다. [[윤보선]] 대통령 직할로 구성되었으나 실질적인 지휘는 [[장면]] 총리가 맡았고 위원장도 장면이었다. 본래 중앙정보위는 [[이승만]] 정권 때인 1958년 [[CIC#s-2|육군 방첩대(CIC)]]를 확대 조직한 국방부 79호실에서 유래한 실장인 [[이후락]] 장군의 군번을 따서 '''79호실'''로 불렸다. 이후 중앙정보위에서도 [[이철희(범죄자)|이철희]]와 이후락 등이 중심이 되어 운영되었다.[* 이철희 장군은 이후 전두환 시절 해방 이후 최대의 경제사기 사건인 [[장영자·이철희 금융사기 사건|이철희·장영자 사건]]을 일으킨다.] 간첩 수사나 대북 공작 등에도 참여했다. [[김종필]] 본인은 부인했지만[* [[https://news.joins.com/article/17504947|#]]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Print.aspx?news_id=NB10834327|#]]],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군사적 정보 외의 포괄적 정보를 수집, 운용하고 관리 감독하던 기관은 중앙정보위였고, 또한 [[중앙정보부]]와 국가정보원의 모태가 되었다는 견해는 많다.[* 정윤재, 《정치 리더십과 한국 민주주의》(나남출판, 2003) 274페이지/"중앙정보위 설치", 동아일보 1960년 11월 12일자 1면, 정치면/"정보연위 신설, 11일각의서 의결", 경향신문 1960년 11월 11일자 1면, 정치면/"중앙정보연위 11일하오 첫회합", 경향신문 1960년 11월 12일자 1면, 정치면] [[분류:중앙정보부]][[분류:정보기관]][[분류:1960년 설립]][[분류:1961년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