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닝샤 후이족 자치구의 지급시]][[분류:중국의 도시]] [include(틀:닝샤 후이족 자치구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닝샤 후이족 자치구|{{{#000,#ddd 닝샤 후이족 자치구}}}]]의 [[지급시|{{{#000,#ddd 지급시}}}]]'''}}} || ||<-3> {{{#ff0 '''{{{+1 [ruby(中卫, ruby=Zhōngwèi)][ruby(市, ruby=Shì)] | جْووِ شِ}}}'''[br]중웨이시 | Zhongwei City}}}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中卫市,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닝샤 후이족 자치구]] 중웨이시[br]사포터우구 정퉁둥루5호[br]宁夏回族自治区中卫市[br]沙坡头区政通东路5号 || ||<-2> '''{{{#ffff00 지역}}}''' || [[시베이]] || ||<-2> '''{{{#ffff00 면적}}}''' || 16,986.1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1구 2현 || ||<-2> '''{{{#ffff00 시간대}}}''' || UTC+8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1,067,336명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63명/km² || ||<-2> '''{{{#ffff00 민족 구성}}}''' || [[한족]] 65.26% | [[후이족|회족]] 34.54%[br] [[둥샹족|동향족]] 0.08% | [[만주족]] 0.07% || ||<-2> '''{{{#ffff00 서기}}}''' || 장리(张利)^^([[만주족]])^^ || ||<-2> '''{{{#ffff00 시장}}}''' || 마훙하이(马洪海)^^([[후이족]])^^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50억 8,800만 ^^(2015)^^ || || '''{{{#ffff00 1인당}}}''' || $4,473 ^^(2015)^^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없음 || || '''{{{#ffff00 시목}}}''' || 없음 || ||<-2> '''{{{#ffff00 차량번호}}}''' || '''宁E'''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中'''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64'''05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955''' || ||<-2> '''{{{#ffff00 우편번호}}}''' || '''755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NX-05''' ||}}}}}}}}} || ||<-3> [[http://www.nxzw.gov.cn/|홈페이지]] || || [[파일:1625901548516_0.jpg|width=100%]] || || 사포터우 자연보호구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닝샤 후이족 자치구]]의 [[지급시]]. 동쪽으로 [[우중시]], 서쪽으로 [[간쑤성]], 남쪽으로 [[구위안시]], 북쪽으로 [[내몽골 자치구]]와 접한다. 텡게르사막(腾格里沙漠) 남쪽 끝에 위치 해 있는 도시로, 시가지 서쪽으로 [[황하]]가 흐른다. == 역사 == 본래 북방민족이 거주하였다가 [[진(영성)|진나라]] 대에 중국사에 편입되고 당시에는 부평현(富平县) 소속이었으며, 북방 변경지역이었기에 북방민족이 자주 점령하였던 지역인지라 [[한나라]] [[고제(전한)|고제]]가 이 지역의 성을 보수하기도 하였다. [[무제(전한)|한무제]]는 이 지역의 사막을 개간하기 시작하였고, [[109년]]부터 [[111년]] 사이에 이 지역에 운하가 개통되었다. [[칭기즈 칸]]이 처음으로 함락시킨 중국계 도시이기도 하였으며, 칭기즈 칸이 사망한 지역도 중웨이 소속 현인 하이위안현에 존재한다. [[명나라]] 대에 이 지역은 영하 중위(宁夏中卫) 소속이었는데, 이 명칭이 중웨이시의 시작이 된다.[[정통제]] 대에 이 지역에 [[유교]]가 퍼지기 시작한다. 원래 닝샤 지역은 [[이슬람교]]가 우세였던 지역이라서 유교가 그닥 퍼지지 않은 지역이었는데 정통제가 문묘를 건설하면서 유학을 퍼뜨리기 시작한 것이다. 영하 중위는 [[옹정제]]가 중위현(中卫县)으로 교체시켰으며, [[1933년]]에 중웨이현은 중웨이현과 중닝현(中宁县)으로 나뉘어다가 [[1958년]]에 인촨전구(银川专区)로 묶이며, 이후 인난전구(银南地区)를 거쳐 [[2004년]]에 [[지급시]]로 독립한다. == 교통 == 관내에 중웨이 사포터우 공항(中卫沙坡头机场)이 존재하며, 국내선 전용이다. 일반철도역의 경우 다음과 같은 주요역과 노선이 존재한다. * [[중웨이역]](中卫站): 바오란철도(包兰铁路), 타이중인철도(太中银铁路), 바오중철도(宝中铁路) * [[중웨이난역]](中卫南站): 인란고속철도(银兰高速铁路) == 관광 == || [[파일:사포터우 사막 관광지도.png|width=100%]] || || 사포터우 사막 관광안내지도 || [[http://www.spttour.com/index.php|사보터우 관광안내사이트]] 사포터우구는 시가지를 벗어나면 바로 광활한 모래사막이 이어지며, 중국 정부는 이 지역을 사포터우 국가자연보호구(沙坡头国家级自然保护区)로 지정하고 [[중국5A급여유경구]]에 지정하여 관광자원으로 활용중이다. 이 사포터우 국가자연보호구는 텡게르사막의 남방한계지역으로, 중웨이시 시내 및 개간지역과 [[황하]]를 경계선으로 해당 사막이 완전히 끝나는 지역이다. 사포터우 사막이 자연보호구로 지정된 시기는[[1984년]]으로, [[닝샤 후이족 자치구]] 자체 자연보호구로 지정되어 [[1994년]]에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소속의 국가자연보호구로 격상되었으며, 사막이기 때문에 [[연교차]]가 매우 커 최한월인 [[1월]]의 평균기온은 -25.1℃인 반면 최난월인 [[7월]]의 기온은 38.1℃이다. 텡게르 사막의 경우 이 중웨이시를 넘어 [[아라산맹]], [[몽골 고원]]까지 이어지는 거대한 사막이기 때문에 관광자원이기는 해도 모든 지역을 개방한 것은 아니며, 일부 지역만 특정 시간대에 개방을 해서 관광객에게 개방되고 있다. 개방시간의 경우 [[4월]]부터 [[10월]]까지는 8:00 ~ 19:00, [[11월]]부터 [[3월]]까지는 9:00 ~ 17:00 사이만 80위안의 입장료를 징수하는 형태로 개방중이다. 중웨이시는 개방지역에 낙타타기, 오버로드, 샌드보드, 짚라인 등의 관광자원을 개방하였으며 황하가 옆으로 흐르고 있어 황하 상류 래프팅 및 보트관광 프로그램도 개발해 놓은 상태이다. 가는 법은 바오란철도(包兰铁路)의 역인 사포터우역(沙坡头站)을 이용하거나 [[중웨이난역]]에서 출발하는 사포터우 직통버스(沙坡头直达专线)를 이용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