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스타크래프트 1/프로토스)] [목차] == 개요 == >{{{+1 '''중재소'''}}}, 仲裁所, Arbiter Tribunal, 아비터 트라이뷰널 >---- >영구적인 왜곡장 안에 존재하는 [[중재자(스타크래프트 시리즈)|중재자]] 전함을 안전하게 전송하기란 대단히 힘들다. 중재소는 일종의 [[닻]] 역할을 하여 시공간의 영역을 강화하여 중재자가 [[우주관문]]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게 한다. [[스타크래프트]]에 등장하는 [[프로토스]]의 건축물. 번역하면 '법원' 또는 '중재소' 정도. 중재자도 그렇지만 이 건물도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중재소나 법원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그저 건물의 생김새가 법정처럼 생겼을 뿐.[* 중앙부에 있는 하늘색 탑이 의원석처럼 보인다.] 중재자가 와도 시공간이 문제 없도록 만드는 건물이지 아무런 재판이나 중재행위는 전혀 일어나지 않는다. 프로토스는 기지에서 유닛이 생산되는 것이 아닌 전송받는 것인데,[* [[연결체|넥서스]]에서 생산하는 [[탐사정|프로브]]와 [[로봇공학 시설|로보틱스 퍼실리티]]에서 나오는 유닛들은 제외. 다만 [[스타크래프트 2]]의 [[불멸자(스타크래프트 2)|불멸자]]는 여기서 예외다. 불멸자는 원래 관문에서 나오는 유닛이었다.] 아비터는 주위의 시공간을 왜곡하므로, 이 건물을 통해 시공간을 고정시키고 소환한다는 설정이 있다. 당연히 그저 설정일 뿐이므로 아비터를 보유하고 있는데 트리뷰널이 터진다고 게임 내 시공간이 왜곡되거나 하진 않는다. == 상세 == {{{#!wiki style="float:left" [[파일:SCR_186_Arbiter_Tribunal.png]]}}}{{{#!wiki style="float:left" || 소환 비용 ||<-3> [include(틀:스타크래프트/비용,protoss=,mineral=200,vespene=150,time=60(+5))] || || 요구사항 || [[우주관문|스타게이트]][br][[기사단 기록보관소|템플러 아카이브]] || 단축키 || A || || 생명력 || [[파일:SC_Icon_HP.png|height=16]] 500 [[프로토스 보호막|[[파일:SC_Icon_Shield.png|height=16]]]] 500 || 방어력 || 1 || || 특성 || 지상, 건물 || 크기 || 대형 || || 면적 || 4 × 3 || 시야 || 10 || ||<-4>{{{#!wiki style="margin: -15px -9px" ||{{{#!wiki style="margin: -4px -9px" [[파일:SCR_Icon_310_Plasma_Shields.png|width=80]]}}}||'''프로토스 플라스마 보호막''' [br] Protoss Plasma Shields||}}}||}}}[clearfix] [[우주관문|스타게이트]]에서 [[중재자(스타크래프트 시리즈)|아비터]]를 생산 가능하게 해주는 건축물로, [[우주관문|스타게이트]]와 [[기사단 기록보관소|템플러 아카이브]]를 필요로 한다. 스타크래프트 시리즈를 통틀어 건설에 요구 건물이 필요한 건물들중 유일하게 2개의 요구 건물이 필요한 건물이다. 저그의 [[레어]], [[하이브]], [[그레이터 스파이어]]처럼 변태한 상위 건물은 논외로 할 경우. 그러기에 당연하지만 [[사이버네틱스 코어]] 이후 3개의 테크 구분이 명확한 프로토스 고위 건물들 중 유일하게 2개 테크(스타게이트 테크하고 템플러 테크)를 요하는 건물이다. 아비터는 저 두 능력이 없으면 그냥 튼튼한 은폐장 가스괴물에 불과하므로 아비터를 쓰고 싶다면 스테이시스 필드와 리콜 연구는 반드시 하고 아비터는 마나 소비량이 어마어마하므로 케이다린 핵 업그레이드까지 해 주는 것이 좋다. 클릭시 아비터를 소환하기 위해 차원장을 안정화 시키는 것인지 네 번에 걸쳐 매우 우렁찬 소리가 난다. ---- {{{+1 '''업그레이드 목록'''}}}: 모든 아비터에 적용된다. 스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재자(스타크래프트 시리즈)|아비터]] 문서를 참조. ||<:>{{{#!wiki style="margin:-4px -9px" [[파일:SCR_Icon_280_Recall.png|width=80]]}}} ||<-3>'''소환 개발''' Develop Recall (R) ''''''[include(틀:스타크래프트/비용,protoss=,mineral=150,vespene=150,time=120)]  /  [[파일:SC_Energy.png|height=21]] 150 공간 왜곡 기술의 개발로 인하여 중재자는 유닛을 자신의 옆으로 순간이동시키는 능력을 보유하게 되었다. || ||<:>{{{#!wiki style="margin:-4px -9px" [[파일:SCR_Icon_278_Stasis_Field.png|width=80]]}}} ||<-3>'''정지장 개발''' Develop Stasis Field (T, 연구: S) ''''''[include(틀:스타크래프트/비용,protoss=,mineral=150,vespene=150,time=100)]  /  [[파일:SC_Energy.png|height=21]] 100 시공간을 조작함으로써 중재자는 유닛을 정지 상태에 몰아넣을 수 있다. 정지 상태에 빠진 유닛은 움직일 수 없으며, 다른 유닛으로부터 어떤 영향도 받지 않는다. || ||<:>{{{#!wiki style="margin:-4px -9px" [[파일:SCR_Icon_322_Khaydarin_Core.png|width=80]]}}} ||<-3>'''케이다린 핵 연구''' Develop Khaydarin Core (K) [include(틀:스타크래프트/비용,protoss=,mineral=150,vespene=150,time=166)] 순수한 [[케이다린 수정]]을 전함의 반응로에 넣음으로써 중재자의 에너지 보유량을 증가시킨다. || 한국어 번역은 '케이다린 핵 연구' 나머지 둘은 ~개발인데, 막상 완료 대사는 액티브인 소환, 정지장이 연구 완료 Research complete, 케이다린 핵이 업그레이드 완료 Upgrade complete다. * '''[[소환(스타크래프트 시리즈)|소환]] 개발''' 아비터가 [[소환(스타크래프트 시리즈)|리콜]]을 쓸 수 있게 된다. * '''정지장 개발''' 아비터가 스테이시스 필드를 쓸 수 있게 된다. * '''케이다린 핵 연구''' 아비터의 최대 에너지가 200 → 250으로 증가하고, 초기 에너지가 50 → 62.5로 증가한다. 이 업그레이드를 찍은 아비터는 노업보다 스킬을 빠른 시기에 쓸 수 있게 되며 풀 에너지에서 리콜 + 스테이시스 필드의 콤보를 쓸 수 있다. 리콜한 직후에 테란 병력을 움직이지 못하게 하거나, EMP를 쏘러 온 사이언스 베슬을 무력화하고 바로 리콜을 쓸 수 있는데다가 스킬 위력이 강력한 아비터가 좀 더 빠른 타이밍에 스킬을 쓸 수 있게 해주므로 아비터를 활용할 생각이라면 찍어주는 것이 좋다. 연구 시간도 긴데 더불어, 이 연구를 마치고 나서 생산을 시작한 중재자부터 초기 에너지 증가가 적용된다. 연구 완료시 이미 생산중인 중재자는 50 에너지로 생산되지만, 생산속도가 워낙 느린 유닛이라 그냥 먼저 생산하는게 병력 전개에 더 낫다. ---- [[스타크래프트 2]] 에서는 중재자가 삭제되고 함대 신호소와 연결체가 소환 조건인 [[모선(스타크래프트 2)|모선]][* 함대 신호소 자체는 우주관문이 있어야 건설 가능하나 소환은 연결체에서 한다.]이 그 역할을 이어받아서 건물도 삭제됐다. [[공허의 유산]]에서는 중재자가 재등장하기는 하지만 우주관문 기본 생산 유닛인 [[공허 포격기]]와 [[파멸자]]와 동일한 테크트리를 요구 하기 때문에 중재소가 나오지 않는다. [[분류:스타크래프트 시리즈/건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