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허베이성의 행정구역)] [[파일:줘저우 2.jpg]] 시가지 전경 [[파일:천하제일주.jpg]] 천하제일주 패루 [[파일:유관장 누상촌.jpg]] 누상촌 삼의사 앞의 싼이광장 (三义广场) 풍경 [목차] [clearfix] == 개요 == {{{+1 涿州 }}} [[영어]] Zhuozhou 중국 [[허베이성]] [[바오딩시]] 산하 현급시. 바오딩 동북쪽 끝의 베이주마 (北拒马河) 남쪽 평야에 위치하며, [[베이징]] 도심부에서 서남쪽으로 약 45km 거리로 바오딩 도심에서보다 더 가깝다. 사실상 베이징의 위성 도시격으로 보아도 무방하며, 바오딩과 베이징 사이의 거점 도시로써 성장하고 있다. 여기까지 본다면 인구 72만의 평범한 현급시지만, [[촉한]]을 세운 [[소열제]] [[유비]]의 고향인 탁군 탁현 누상촌이 있던 곳으로 유명하다.[* 다만 삼국시대 당시에는 촌이란 지명 자체가 없었기에 탁군 탁현이라 하는 것이 맞다] 따라서 [[삼국지]] 팬들이 종종 찾아오며, 서남쪽 외곽지에 삼의궁 (三义宫)이나 장비 사당 (张飞庙) 등이 조성되어 있다. 그외에 유비의 생가가 있던 곳도 공원으로 관리가 되어 있다. 유비의 고향이란 것에 주민들 스스로도 자신감이 높은지 도심 한복판에 천하제일주 (天下第一州)란 패방이 있다. 시내 자체의 볼거리는 쌍탑과 시가지 북서쪽 외곽의 북거마하에 놓인 영제교가 있다. 교통 수단으로 [[줘저우둥역]]이 있다. == 역사 == [[파일:줘저우 삼의사.jpg]] [[유비]]의 생가 삼의사 [[춘추전국시대]] [[연나라]]의 탁읍 (涿邑)이었다. 지명은 주변의 탁수 (涿水)에서 유래된 것이다. [[진나라]] 대에 [[군현제]] 도입과 함께 탁현 (涿縣)이 설치되었고, 광양군 (廣陽郡)에 속했다. [[전한]] 초엽에는 탁현을 치소로 하는 탁군 (涿郡)이 설치되었다. [[유비]]와 [[장비]]가 이곳에서 유년기를 보냈을 때에도 유주 탁군 탁현이었다. [[조위]] 시기 탁군은 범양군 (范陽郡)으로 개칭되었고, 232년에는 유주자사부 치소가 계현 (현 [[베이징]])에서 탁현으로 이전되었다. 따라서 탁현은 업과 함께 하북의 주요 도시 중 하나로 부상하였다. 다만 약 [[서진]] 성립 후 유주자사부는 계현으로 돌아갔다. === 중세 === [[파일:탁주 쌍탑.png|width=832]] [[요나라]] 대에 세워진 줘저우 쌍탑 (涿州双塔). 남탑은 지도사탑, 북탑은 운거사탑으로 불린다. [[남북조]] 시기에도 일대는 범양군 탁현으로 유지되었고, [[수나라]] 들어 범양군은 탁군으로 돌아갔다. 610년경 [[수양제]]가 고구려 정벌을 위해 이곳인 탁군에 거대한 보급 기지를 세웠는데, 보배가 넘쳐나 이를 노리는 도적들이 들끓었다 한다. [[당나라]] 대인 624년 탁현은 범양현 (范陽縣)으로 개칭되었다. 769년 유주가 분화되어 탁주 (涿州)가 설치되었고, 범양현이 치소가 되었다. [[요나라]] 대에 탁주는 [[연운 16주]]의 남쪽 끝에 해당하였고, [[금나라]] 대에는 탁주로가 되었다. [[원나라]] 대인 1263년 기준 탁주로는 범양현과 방산현 단 2개 현만을 관장하였다. === 근세 ~ 현대 === [[파일:줘저우 영제교.jpg]] 명나라 대에 세워진 영제교 (永济桥) [[명나라]] 대에 범양현은 폐지되었고, 일대는 북평부 (후일 순천부로 개칭) 탁주에 편성되어 현재까지 지명이 이어지고 있다. [[청나라]] [[옹정제]] 대인 1727년 방산현이 순천부의 직할현이 되자 더이상 산하 현이 없게 되어버린 탁주는 사실상 현으로 남았다가 [[신해혁명]] 후 탁현으로 격하되어 수도권인 경조 (京兆)에 속하였다. 1928년 [[국민당의 2차 북벌]] 후 하북성 [[베이징시|북평특별시]](北平特別市)가 경조를 대체하자 그에 속하였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일대는 허베이성 [[바오딩시|바오딩 전구]]에 속했다가, 1986년 현급시인 줘저우시로 승격되었다. 21세기 들어 줘저우 시정부는 삼국지 도시 이미지를 밀고 있다. 한편 2023년 8월 2일 일대에 폭우로 인한 홍수로 다수의 인명, 재산 피해가 발생하였다. 이는 허베이성 당서기인 니웨펑이 [[베이징시]], [[슝안신도시]][* 시진핑이 건설했다.]를 보호하기 위해 [[국민 여러분 안심하십시오|고의적으로 제방을 폭파시켜]] 물을 방류했던 것이다.[* [[https://shanghaicrab.tistory.com/16158517|현지 주민이 쓴 것으로 여겨지는 글. ]] ] == 여담 == [[파일:동작대 3.jpg]] 동북쪽 10km 지점 [[중국 중앙 텔레비전]] 드라마 세트장 내의 동작대 복원 단지 [[파일:줘저우 1.jpg]] [[에펠탑]]을 모조한 조형물 유비의 아들 후주 [[유선]]은 촉한의 멸망 후 [[사마소]]에 의해 안락현공에 봉해졌는데, 그 임지는 베이징 동북쪽 외곽의 순이구에 있었다. 유비의 고향인 탁군 탁현과의 거리는 약 100km로, 둘다 유주에 속한다. [[분류:허베이성의 현급시]][[분류:중국의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