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870년 출생]][[분류:1961년 사망]][[분류:벨기에의 생물학자]][[분류:노벨생리학·의학상 수상자]][[분류:에노 주 출신 인물]] ||<-5> {{{+1 '''[[1919년|{{{#fff 1919년}}}]] [[노벨생리의학상|{{{#fff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 ||<-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width=220]] || ||<-5> [[노벨생리학·의학상/수상자|{{{#fff '''수상자 전체 목록 보기'''}}}]] || || 1918년 ||<|2> → || 1919년 ||<|2> → || 1920년 || || 수상자 없음[* [[제1차 세계 대전]] 때문에 1915년에서 1918년까지는 노벨생리의학상이 수상되지 않았다.] || '''쥘 보르데''' || [[아우구스트 크로그]][* [[모세혈관]] 운동 조절 기작 연구.] || ||<-2>
'''{{{#white {{{+2 Jules Bordet}}}[br]{{{+1 쥘 보르데}}}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쥘보르데.jpg|width=100%]]}}} || || {{{#white '''본명'''}}} ||쥘 보르데(Jules Bordet) || || {{{#white '''출생'''}}} ||[[1870년]] [[6월 13일]], [[에노]] 주 수아니(Soignies) || || {{{#white '''사망'''}}} ||[[1961년]] [[4월 6일]], [[브뤼셀]](향년 90세) || || {{{#white '''국적'''}}} ||[[벨기에]]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8]] || [목차] [clearfix] == 개요 == 쥘 보르데는 벨기에의 면역학자, 미생물학자이다. 1919년 [[보체계]] 연구에 관한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하였다. [[노벨상]] 과학 분야에서는 벨기에 인물 중 첫 수상자이다.[* [[노벨문학상]]은 1911년에 모리스 마테를링크가, [[노벨평화상]]은 1909년에 오귀스트 베르나르트가 먼저 수상했다.] == 생애 == 보르데는 [[브뤼셀 자유대학교]](Free University of Brussels, Université libre de Bruxelles)에서 1892년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당시 면역계에 대하여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던 [[엘리 메치니코프]]의 연구실에 들어가 연구 활동을 하였다. 1919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하게 된 연구는 1895년 이 연구실에서 수행한 [[콜레라균]]을 이용한 실험에서 출발하였다. 자세한 것은 [[보체]] 문서 참고. 이후 1899년에는 오늘날 [[막공격복합체]]에 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는 [[용혈]]을 발견하기도 하였고, 1906년에는 [[순수배양]]으로 [[백일해균]](''Bordetella pertussis'')을 분리해 내기도 하였다. 백일해균이 속한 속인 [[보르데텔라]]라는 이름은 보르데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그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