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속공 마법]] [[유희왕]]의 마법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Multiply-JP-Manga-DM-color.png]] || 한글판 명칭 ||'''증식'''|| || 일어판 명칭 ||'''[ruby(増殖, ruby=ぞうしょく)]'''|| || 영어판 명칭 ||'''Multiply'''|| ||<-2> 속공 마법 || ||<-2>'''공격력 500 이하의 부하를 무수히 분열시킨다.'''|| || [[파일:Multiply-JP-Manga-DM-NC.png|width=100%]] || || 증식하는 [[크리보]]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듀얼리스트 킹덤 편|듀얼리스트 킹덤 편]]에서부터 [[어둠의 유우기]]가 사용. 여기서는 공격력 500 이하의 몬스터를 증식시키는 효과였다. 작중에서는 [[카이바 세토]]와의 3차전 듀얼 중에 사용하는 것으로 등장했으며, 카이바가 나약하다고 비웃었던 [[크리보]]를 무수히 증식시킴으로서 돌파할 수 없는 벽을 만들어냈다. 이로서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을 불러내며 절대적 우위로만 보였던 카이바의 공세를 틀어막아 역전의 수를 마련할 수 있었다. 이후 [[페가수스 J. 크로포드]]와의 듀얼에서도 [[크리보]]를 증식시키는 데에 사용하여 전부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에게 흡수시키게 한 후, 숨겨진 기뢰화 능력으로 폭파시켜 특수 능력을 무력화시키는 콤보를 선보였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본선 편|배틀 시티 편]]에서는 [[카이바 세토]]와 함께 한 [[레어 헌터|빛의 가면&어둠의 가면]]과의 태그 듀얼 중에도 사용했으나, 시간벌이를 하기도 전에 빛의 가면이 발동한 [[가면(유희왕)#마력무력화 가면|마력무력화 가면]]에 의해 무효화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결선 편|배틀 시티 결선 편]]에서는 [[어둠의 마리크]]와의 듀얼 중 [[데블의 성역|메탈 데블 토큰]]을 세 마리로 분열시켜 [[오벨리스크의 거신병]]을 제물 소환하는 데에 사용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왕의 기억 편|왕의 기억 편]]에서는 [[어둠의 바쿠라]]가 [[무토우 유우기]]와의 듀얼 중 사용. [[네크로(유희왕)|네크로마네킹]]을 열 마리로 분열시키고 지속 마법 사찰상쇄와의 콤보로 [[덱 파괴]]를 실행하려 했다. 하지만 [[파괴룡 간드라]]의 효과로 전부 전멸하면서 바쿠라가 패배하게 되었다. 원작에서는 증식하는 갯수가 오락가락하는 편이였는데, 크리보가 무한히 분열하던 것과 다르게 메탈 데블 토큰을 5개로 늘려서 갓 핸드 임팩트의 조건까지 만족시키거나 네크로마네킹을 유우기의 덱 장수 이상으로 증식시키는 등의 행동을 취하지 않았다. 유우기가 증식과 크리보의 조합을 유독 강조하는 것을 보면 몬스터 간의 궁합이 존재하는 것일지도. [[유희왕 R]]에서는 [[텐마 야코]]가 [[어둠의 유우기]]와의 듀얼 중 사용. [[소천사 테루스|테루스의 날개 토큰]]을 세 마리로 증식시켜 [[사신 아바타]]를 제물 소환하는 데에 사용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는 OCG 사양으로 등장하며, 유우기 덱의 레플리카를 훔친 [[카구라자카]]가 [[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 중 사용.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Multiply-DM3-JP-VG.png]] || 한글판 명칭 ||'''증식'''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ruby(増殖, ruby=ぞうしょく)]'''|| || 영어판 명칭 ||'''Multiply'''|| ||<-2> 마법 || ||<-2>아군 크리보가 분열하여 비어 있는 필드를 메운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에서부터 등장. 원작처럼 [[크리보]] 그 자체를 가능한 한 증식시키는 효과로 나온다. 증식한 크리보는 제물 제약이 일절 없으니 제물 소환을 위한 포석을 까는 데에 유용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card10000364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명칭=증식, 일어판명칭=増殖(ぞうしょく), 영어판명칭=Multiply, 효과1=①: 자신 필드 앞면 표시의 "크리보"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에 "크리보 토큰"(악마족 / 어둠 / 레벨 1 / 공 300 / 수 200)을 가능한 한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토큰은 어드밴스 소환을 위해서는 릴리스할 수 없다. )] 원작과는 달리 [[크리보]] 전용 카드로 바뀌었으며, 텍스트도 '가능한 한'으로 바뀌어 5장으로 제한이 되었다. 아무튼 원작보다 많이 하향된 효과지만, 쓰려면 못 쓸 수준은 아니다. 이 효과로 소환된 크리보 토큰은 어드밴스 소환 소재로만 쓸 수 없는 것이지, 싱크로 / 융합 / 의식 / 링크 소환의 소재로 사용할 수는 있다. 예를 들어, 상대 턴에 증식을 발동한 후 크리보 토큰 1장을 제외해 [[이차원의 정령]]을 특수 소환하면, 그 이후 나머지 토큰을 소재로 싱크로 소환이 가능해진다는 뜻이다. 이 경우엔 일반 소환권을 쓰지 않았기 때문에 추가로 더 강력한 몬스터를 소환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이후 링크소환이 등장하면서 [[잭나이츠 파라디온 아스트람]], [[언체인드(유희왕)|언체인드쌍왕신 라이고우]], [[액세스코드 토커]] 같은 카드를 크리보 토큰으로 소환할 수 있게 되었다. 아주 가끔이긴 하지만 [[환마황제 라비엘]] 덱에 쓰이기도 한다. 악마족 토큰을 활용하는 카드기 때문. 속공 마법이기 때문에 필드의 몬스터를 코스트로 하는 다른 카드들과 속공 연계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에너미 컨트롤러]]로 컨트롤 탈취 등이 대표적. == 관련 카드 == === [[크리보]] === === 크리보 토큰 === || [[파일:card100017980_1.jpg|width=100%]] || [[파일:クリボートークン(21TP).jpg|width=100%]]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토큰=, 한글판명칭=크리보 토큰, 일어판명칭=クリボートークン, 영어판명칭=Kuriboh Token, 속성=어둠, 레벨=1, 공격력=300, 수비력=200, 종족=악마족, 효과1=이 카드는 "크리보 토큰"으로 사용할 수 있다., 최하단1=※"크리보 토큰" 이외의 토큰으로 사용할 경우\, 그 토큰의 종족 / 속성 / 레벨 / 공격력 / 수비력을 적용한다., 덱구성불가= )]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3233_1.jpg|width=100%]]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3250_1.jpg|width=100%]] || [include(틀:유희왕/카드, 토큰=, 한글판명칭=토큰, 일어판명칭=トークン, 영어판명칭=Token, 효과1=이 카드는 토큰으로 사용할 수 있다., 최하단1=, 덱구성불가= )] 왼쪽 크리보 토큰 일러스트는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 카드 팩을 뜯을 때 등장하는 일러스트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トークンパック || TK01-JP021 || [[레어]][br][[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토너먼트 팩|トーナメントパック2021 Vol.4]] || 21TP-JP416 || [[노멀]] || 일본 || || === [[숙련된 율마도사]]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크리보, version=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