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지유찬}}}[br]Ji Yu-cha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W640H480_지유찬 상반신 수정본.jpg|width=100%]]}}} || ||<|2> '''출생''' ||[[2002년]] [[8월 24일]] ([age(2002-08-24)]세) || ||[[광주광역시]] [[서구(광주광역시)|서구]] [[화정동(광주광역시 서구)|화정동]]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소속''' ||[[대구광역시청]] || || '''신체''' ||176cm|| || '''학력''' ||화정남초등학교 {{{-2 (졸업)}}}[br][[전남중학교]] {{{-2 (졸업)}}}[br][[광주체육고등학교]] {{{-2 (졸업)}}} || || '''종목''' ||[[자유형]] 50m || || '''기록''' ||자유형 50m 21:7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9px; background: #cd313a; font-size: .8em; margin-top:-10px;" {{{#ffffff '''KR'''}}}}}}[br]{{{-3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경영 남자 자유형 50m 결선)}}} || || '''병역''' ||[[예술체육요원]][*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자유형 50m {{{#ffa500 '''금메달'''}}} 획득.] || || '''링크''' ||[[https://instagram.com/y0uchanc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수영]] 선수. == 선수 경력 == === [[2023년]] === 2023년 남자 자유형 50m 3개 국내 대회 연속으로 정상에 올랐으며 코리아스위밍 챔피언십 및 한라배 광주선수권대회까지 무려 3개 대회를 제패했다.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 * 자유형 50m (2023년 9월 25일) 자유형 50m 예선에서 21.86으로 아시안 게임 신기록을 경신해서 수영계를 깜짝 놀라게 한 뒤, 당일 저녁에 열린 50m 자유형 결승에서 21.72로 '''한국 신기록'''이자 '''아시안 게임 신기록'''을 재경신하는 대파란[* 원래 대중의 관심은 전날 자유형 100m에서 [[황선우]]를 누르고 금메달을 수상한 중국의 [[판잔러]]였으나 지유찬에 밀려 3위를 기록하며 동메달을 수상했다. 지유찬이 예선부터 돌풍을 일으키며 예선 1위로 결승전에서 핵심 자리인 4레인을 차지하며 판잔러를 무려 2레인으로 밀어냈다. 그래도 판잔러는 경기 후 지유찬 대단하다며 추켜세워 줬다.[[https://www.youtube.com/shorts/EepbUT-1bv8|#]]]을 일으키며 '''[[https://youtu.be/sbl0l3w7BqU|금메달]]'''을 획득했다.[* 대한민국의 50m 금메달은 [[2002 부산 아시안 게임]]에서 김민석([[우즈베키스탄]]의 '라빌 나차에프'와 공동 금메달이었다. 수영은 0.01초 단위까지 기록이 같으면 공동 순위를 인정한다.) 이후 무려 '''21년''' 만이고 역대 2번째인데다가, '''단독''' 금메달은 대한민국 수영 역사상 '''최초'''의 대기록이다. 여기서 재밌는 것은 지유찬이 부산 아시안 게임이 열린 해 태어난 '''2002년생'''이라는 것이다.] 수상 후 인터뷰에서 "아침부터 몸상태가 평소보다 더 좋다는 느낌이 있었고, 예선전에서 신기록을 세운 뒤에 자신감도 생겼지만, 한편으로는 너무 좋은 성적이 나왔으니 결승전이 긴장되는 부분도 있어서 두가지 감정이 다 있었는데, 긴장하지 않으려 노력했고 좋은 결과가 나와서 기쁘다. 그리고 세계적으로 잘하는 선수들과 함께 경기해보니 더 재미있었다. (지금 가장 생각나는 사람이 누구냐는 질문에) 항상 응원해주신 엄마, 아빠가 생각난다."고 밝혔다. 아울러 대한민국 남자 수영이 아시안 게임에서 '''[[박태환]] 이후 13년 만에 따낸 금메달'''[* 2014년에는 남녀 모두 노골드였고, 2018년에는 여자 개인혼영 200m [[김서영(수영)|김서영]]의 금메달이 유일했다.]이기도 하다.[* 해당 대회 당일 밤에도 남자 800m 수영 계영에서 [[황선우]] 등 이른바 황금세대 4인조가 금메달을 획득하면서 수영계가 환호했다.] 또한 이 대회 수영에서 비중국 선수가 따낸 첫 금메달이다. == 수상 기록 == ||<-3> {{{#white 아시안 게임}}} || || 금메달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2022 항저우]] || 자유형 50m || || 은메달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2022 항저우]] || 계영 4×100m || == 여담 == * 2022년 처음으로 성인 국가대표로 선발되었다. * 항저우 아시안 게임 전 포부는 "미래의 수영 후배 선수들이 '지유찬 선배같은 선수가 되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훌륭한 선수가 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 2019년도 [[전국체전]]에서도 자유형 50m로 금메달을 딴 적이 있다. * 신장이 176cm로 수영 선수 중에서도 평균 체격이 가장 큰 단거리 자유형 선수 기준으로 체격이 상당히 작은 편이다. 실제 항저우 아시안 게임 시상식에서 190cm가 넘는 2, 3위 선수와 함께 찍은 사진을 보면 체격 차이가 많이 남을 알 수 있다. 그렇기에 그의 금메달은 더 놀라운 성과였는데[* 그래서 주변 선수들도 더 대단하다고 추켜세운 건지도 모르겠다.], 대신 작은 체격을 보완하는 특출난 반사신경[* 아시안 게임 결승전에서 초반 스타트 시간(RT;Reaction Time이라고도 한다.) 2위를 기록했다.]과 초반에 잠영을 하다가 떠오르며 팔을 휘두르는 타이밍을 완벽하게 조절해[* 해설 위원 [[박태환]]이 경기 직후 슬로우 모션 장면을 보면서 이 동작에서 지유찬의 타이밍이 완벽할 만큼 좋았다고 극찬했다.] 저항을 최소화하며 치고 나가는 초반 스퍼트 능력을 가지고 있어 불리한 조건을 극복하고 아시안 게임 신기록을 달성했다고 평가된다. [[분류:2002년 출생]][[분류:광주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전남중학교 출신]][[분류:광주체육고등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수영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병역특례자/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