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야수전사족]][[분류:유희왕/OCG/융합 소환]] [[유희왕/OCG]]의 최상급 융합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기사 가이아)] [목차] == 설명 == [[파일:地天の騎士ガイアドレイク.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융합=, 한글판명칭=지천의 기사 가이아드레이크, 일어판명칭=地天(ちてん)騎士(きし)ガイアドレイク, 영어판명칭=Gaia Drake\, the Universal Force, 레벨=10, 속성=땅, 종족=야수전사족, 공격력=3500,수비력=2800, 소재="대지의 기사 가이아 나이트" + 효과 몬스터 이외의 싱크로 몬스터,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이 카드는 몬스터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으며\, 양쪽 플레이어는 이 카드를 몬스터 효과의 대상으로 할 수 없다.)]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에서 등장한 최상급 융합 효과 몬스터. [[대지의 기사 가이아 나이트]]를 융합 소재로 하는 몬스터로, [[기사 가이아]] 몬스터 중 최고 능력치를 지녔다. 이 카드가 나오면서 대지의 기사 가이아 나이트는 [[고요우 가디언]]의 하위 호환 신세에서 벗어나게 됐다. === 소환 방법 === 융합 소재가 둘 다 싱크로 몬스터인 데다 효과가 없는 싱크로 몬스터는 [[대지의 기사 가이아 나이트]], [[나츄르 가오드레이크]], [[스크랩 데스데몬]] 3장뿐이다. 따라서 정규 융합 소재로 융합 소환하려면 번거로운 건 둘째 치고 엑스트라 덱을 3장이나 먹는다. 근데 실제로 이 카드의 소환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은데, [[융합 소환]] 제한이나 융합 대체 제한은 따로 없으므로 특수 소환 혹은 융합 대체를 이용해 소환하면 된다. [[융합 주술봉인 생물]]의 효과로 간단하게 특수 소환할 수 있으며, [[환상소환사]]로 소환해도 효과 파괴 내성으로 엔드 페이즈 파괴를 피할 수 있다. 이전까진 써먹기 힘들었던 환상소환사의 가치를 높인 카드. [[데블 프랑켄]]이나 [[왕가의 신전]], 그리고 금지 카드인 [[돌연변이(유희왕)|돌연변이]]로도 소환할 수 있다. [[늪지의 마신왕]] 등의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를 이용해 [[미라클 싱크로 퓨전]]으로 융합 소환할 수도 있다. 융합 주술봉인 생물의 효과로 첫 번째 가이아드레이크를 꺼내고 미라클 싱크로 퓨전으로 바로 2장째를 뽑는 것도 가능하므로 전용 덱을 짜면 쉽게 소환할 수 있다.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를 쓸 경우 대체하는 것은 '효과 몬스터 이외의 싱크로 몬스터'가 아니라, '대지의 기사 가이아 나이트'를 대신하는 것이다. 이 경우 가이아 나이트는 '효과 몬스터 이외의 싱크로 몬스터'로 융합 소재가 된 것으로 취급한다. 즉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를 쓴다면 꼭 대지의 기사 가이아 나이트를 뽑을 필요가 없으며, 대체 몬스터 + [[스크랩 데스데몬]] 또는 [[나츄르 가오드레이크]]도 가능하단 것. 굳이 정규 융합 소재를 써서 융합하겠다면 대지의 기사 가이아 나이트 2장이나 대지의 기사 가이아 나이트 + 스크랩 데스데몬이 그나마 현실적이다. 소재 제한 없는 레벨 6, 7 싱크로 소환은 쉬우므로 불가능하진 않지만, 효과가 없는 단순한 싱크로 어태커를 2장이나 뽑을 거면 그냥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 쓰면서 둘 중 하나는 다른 몬스터를 뽑는 게 훨씬 나으므로 역시 융합 대체를 쓰는 게 좋다. 나츄르 가오드레이크는 싱크로 소재 제한이나 레벨이 좀 빡세서 저 둘에 비해 우선도가 내려가지만, 대지의 기사 가이아 나이트도 스크랩 데스데몬도 땅 속성인지라 이들을 소재로 해서 나츄르 가오드레이크를 싱크로 소환하면 미라클 싱크로 퓨전으로 가이아드레이크가 바로 튀어나올 수 있으니 이런 식으로 쓴다면 가오드레이크도 넣어서 써볼 만하다. 굳이 이 카드를 소환하기 위해 융합 대체 몬스터를 넣는 등 전용 덱을 맞추지 않더라도 [[사이버 다크]]나 [[드래그니티]]처럼 레벨 6, 7 싱크로 소환이 잘되는 덱이라면 미라클 싱크로 퓨전 1장만 넣고 히든 카드처럼 채용할 수도 있다. 후반에 묘지의 대지의 기사 가이아 나이트나 스크랩 데스데몬을 제외하고 패 1장으로 나오는 것이다. === 성능 === 효과 자체는 출시 당시 기준으론 괜찮은 편. 효과 몬스터의 대상이 되지 않기에 [[제왕(유희왕)|제왕]], [[다크 암드 드래곤]]이나 [[카오스 소서러(유희왕)|카오스 소서러]], [[카오스 솔저 -개벽-]]도 죄다 씹어재끼며, 효과 몬스터의 파괴 효과 내성으로 인해 [[저지먼트 드래곤]]이나 [[종언의 왕 데미스]]조차 상대가 못 된다. 공격력이 높아서 어지간한 몬스터는 전투로 이길 수 있고, 수비력도 높아서 표시 형식 변경 카드에도 강하다. 종족이 야수전사족이 된 덕분에 [[미노타우로스(유희왕)|격앙한 미노타우로스]] 옆에 있으면 관통 효과로 높은 공격력을 마음껏 살릴 수 있으며, [[야성해방]]으로 공격력을 6300까지 끌어올릴 수도 있다. 참고로 디메리트가 없는 야수전사족 몬스터 중 가장 공격력이 높은 몬스터이며, [[수신기왕 바르바로스 Ur]] 다음으로 공격력 순위다. 다만 마법 / 함정엔 내성이 전혀 없어서 온갖 파괴 효과에 박살 난다. 또, 효과 몬스터라도 대상을 지정하지 않고 파괴 효과도 아닌 [[네오 스페이시언 그랜드 몰]],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는 못 막는다. 사실 저런 카드들에 강한 카드가 드물긴 하지만, 이 카드는 다른 카드보다 소환에 공이 많이 들기 때문에 저런 거에 당하면 다른 카드보다 손해가 막심하다. 이 카드의 레벨이 딱 10이니 [[신을 묶는 묘]]로 초강력 효과 내성을 부여하는 것도 좋다. 이 카드를 중점적으로 쓸 경우 저절로 융합 중심이 되니, 융합용 [[신의 심판]]이라 할 수 있는 [[패러독스 퓨전]]을 채용해 보는 것도 좋다. == 기타 == 처음 등장 시 같이 나온 싱크로 융합 몬스터 [[아캐나이트 매지션#패마도사 아캐나이트 매지션|패마도사 아캐나이트 매지션]]과 함께 오락가락하는 재정으로 팬들의 속을 태웠는데, [[환상소환사]]로 소환됐을 때의 파괴 여부가 문제가 됐다. 중간중간 답변이 나왔다가 다시 조정 중으로 돌아갔다가를 반복했는데, 결국 중간중간 나왔던 답변 그대로 '''파괴되지 않는다'''여서 팬들이 환호성을 질렀다. 반면 패마도사 아캐나이트 매지션 쪽은 동시에 안 좋은 쪽으로 재정이 나와 명암이 엇갈렸다. 그래도 둘 다 관련 덱에서 유용하게 잘 쓰인다. 가이아드레이크란 이름과 종족이 야수전사족임을 보면 융합 소재로 사용 가능한 두 몬스터인 대지의 기사 '''가이아''' 나이트(전사족) + 나츄르 가오'''드레이크'''(야수족)가 합체한 것 같지만, 실제 모습을 보면 가오드레이크를 연상시키는 부분은 찾아볼 수 없고, 지천(地天)의 기사란 이름답게 커다란 날개로 하늘을 날아다니는 [[용기사 가이아]]의 리메이크에 가깝다. '드레이크'에 '용'의 의미가 담겨있다는 점과 효과 없는 싱크로 몬스터로서 오랫동안 고통받던 두 카드의 공통점을 모두 고려해 가이아 나이트의 강화판인 이 카드에 이런 이름과 종족을 부여한 듯하다. 어째선지 한글판에선 대지의 기사 가이아 나이트나 [[신뢰의 기사 가이아 드라군]]과는 달리 이 카드만 '가이아'와 '드레이크' 사이에 띄어쓰기가 되어있지 않고 붙여 썼다. 가이아 나이트의 영어명이 '대지의 힘'이라면, 이쪽은 한발짝 더 나아가 '우주의 힘'이란 이름이 됐다. 원본의 '땅과 하늘의 기사'란 이름을 뭉뚱그려 표현한 듯. 레어도도 OCG판보다 높게 나왔다. ==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 || STBL-KR039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STARSTRIKE BLAST]] || STBL-JP039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Starstrike Blast]] || STBL-EN039 || [[울트라 레어]][br][[얼티밋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관련 카드 == === [[대지의 기사 가이아 나이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