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외교부장)] ---- [include(틀:역대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서기장)] ---- [include(틀:역대 중국공산당 중앙대외연락부장)] ---- ||<-3>
[[파일:姬鹏飞_unnamed.jpg|width=100%]] || ||<-3> '''{{{#ffff00 중화인민공화국 3대 외교부장 }}}''' || ||<-2> '''{{{#ffff00 정체}}}''' ||姬鵬飛 || ||<-2> '''{{{#ffff00 간체}}}''' ||姬鹏飞 || ||<-2> '''{{{#ffff00 한국식 독음}}}''' ||[[희붕비]] || ||<-2> '''{{{#ffff00 영문}}}''' ||Ji Pengfei || ||<-2><|2> '''{{{#ffff00 출생}}}''' ||[[1910년]] [[2월 2일]] || ||[[청나라]] [[산서성]] 임진현 || ||<-2><|2> '''{{{#ffff00 사망}}}''' ||[[2000년]] [[2월 10일]] (향년 90세) ||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 || ||<-2> '''{{{#ffff00 국적}}}''' ||[[청나라]] [[파일:청나라 국기.svg|width=28]] [br] → [[중화민국/북양정부|중화민국]]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width=28]] [br] → [[중화민국/국민정부|중화민국]] [[파일:대만 국기.svg|width=28]][br] → [[중화인민공화국]] [[파일:중국 국기.svg|width=23]] || ||<-2> '''{{{#ffff00 학력}}}''' ||서북육군군의학교 || ||<-2> '''{{{#ffff00 직업}}}''' ||군인, 정치가, 외교관 || ||<-2> '''{{{#ffff00 종교}}}''' ||[[무종교]]([[무신론]]) || ||<-2> '''{{{#ffff00 외교부장[br]재임기간}}}''' ||3대 [[1972년]] [[1월 6일]] ~ [[1974년]] 11월 || [목차] == 개요 == 중국의 공산주의 혁명가, 외교관. 중화인민공화국 3대 외교부장을 지냈다. == 생애 == === 초기 이력 === 1910년 산서성 임진현에서 태어났다. 1926년 서북 육군군의학교를 졸업했으나 1931년 홍군에 합류, 1933년 [[중국 공산당]]에 가입했다. 1942년 제3야전군 제7병단 부정치위원에 임명되었으며 후에 정치위원으로 승진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에도 한동안 군문에 남아있었으나 1950년 봄 황전, 겅뱌오, 웬중셴, 왕여우핑 등 여러 장군들과 함께 외교부에서 근무하라는 지시를 받게 된다. 지펑페이는 군에 잔류하게 해달라고 청했으나 직속상관 쑤위가 군인에겐 국가의 부름을 선택할 자격이 없다고 하자 외교부로 소속을 옮겨 동독대표단 단장을 지냈다. ||[[파일:1940년희붕비.jpg|width=100%]]|| || 1940년의 지펑페이(가운데 인물), 왼쪽은 [[예페이]]. || === 외교관의 길 === 1953년에 주 동독 중국 대사에 임명되었으며 1955년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국무원]] 외교부 부부장에 임명되었다. [[문화대혁명]] 발생 이후 1967년 8월 관펑과 왕리 등 중앙문혁소조 급진파들이 주도한 탈권 현상에 휘말려 차오관화와 함께 [[홍위병]]들에게 납치되어 사무실에 감금당하는 등 박해를 당했으나 마오쩌둥이 관펑과 왕리를 숙청하고 국무원의 업무가 정상화되자 다시 집무를 보았다. 천이가 홍위병들의 조리돌림으로 사실상 직무를 보지 못하게 되자 외교부장 대리를 맡았고 1968년 천이가 잠깐 복직하면서 외교부장 대리에서 물러났으나 천이가 [[2월 역류]]의 타격과 여러 질환으로 업무를 보지 못했으므로 실질적인 외교부의 수장으로 있었다. 1970년 천이가 대장암에 걸려 앓아눕고 1971년 12월 26일 마오쩌둥의 생일을 축하하는 장수면을 먹었다가 위독해지자 다시 외교부장 대리가 되었다. ||[[파일:1952년희붕비.jpg|width=100%]]|| || 1952년 베를린에서의 지펑페이 || 1971년 유엔에서 중국의 대표권을 중화민국에 둘지 중화인민공화국에 둘지를 붇는 총회 투표가 실시되자 차오관화, 슝샹후이, 탕원성 등과 함께 마오쩌둥의 호출을 받고 차오관화를 대표로 하는 대표단을 유엔에 파견하기로 결정했다. 그해 [[린뱌오]]가 소련으로 망명하라다가 죽는 [[9.13 사건]]이 발생했다. 몽골대사 허문익으로부터 린뱌오가 죽었다는 보고를 받은 지펑페이는 이를 [[저우언라이]]와 [[마오쩌둥]]에게 보고하며 절묘한 최후라고 논평했다. 1972년 천이가 사망한 이후 정식으로 외교부장에 임명되었으며 1973년 8월 24일 개최된 중국 공산당 10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중앙위원에 선출, 저우언라이의 현실 외교 정책을 지지하며 그에게 힘을 실어주었지만 11월에 마오쩌둥이 인민대회당에서 소집한 회의에서 마오쩌둥의 명령에 따라 저우언라이를 맹렬하게 규탄해야 했다. 1974년 [[차오관화]]에게 외교부장 자리를 내준 다음에 1975년 4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상임위원회 비서장을 지냈고 1979년 중앙대외연락부 부장, 국무원 부총리 등을 역임했다. 1980년 국무원 비서장이 되었으며 1982년 국무원 국무위원, 중국 공산당 중앙고문위원회[* 중국공산당 중앙고문위원회는 은퇴한 중국 공산당 원로 8인([[덩샤오핑]], [[천윈]], [[보이보]], [[양상쿤]] 등)의 모임이다. 덩샤오핑, 천윈이 이 위원회의 주임을 맡던 시절엔 법치보다 '인치(人治)', 즉 권력자의 권위가 법과 제도보다 현실 정치에 끼치는 영향력이 더 강한 정치가 행해지는 시기였다. 일종의 중국식 [[원로원]], [[상황]] 정치를 8인 원로가 합의하여 구성한 것이며 [[마오쩌둥]]과 생사고락을 함께 했던 이 8인 원로들의 발언들 하나하나에 실린 힘은 중국 공산당의 수뇌부인 상무위원회를 이들의 의견을 처리하는 실무진 급으로 조종하는 역할을 했다. 이 특수기구는 중국공산당 중앙지도층의 신구교체를 처리하고, 젊은 관리들을 뽑아서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상무위원회에 진입시켜 실무를 보게하는 역할을 부여했다(즉 정식적인 국가주석은 따로있지만 주임을 맡던 덩샤오핑이나 천윈이 뒤에서 그 역할을 하고 당을 총관리하는 총서기도 후야오방 같이 따로 있지만 실제적 역할은 중앙고문위원회 실무 책임인 위원회의 상무부주임 보이보가 이 역할을 한 것).] 상임위원이 되었다. 1983년 [[후야오방]]이 홍콩과 마카오 문제를 전적으로 책임지라는 [[덩샤오핑]]의 지시를 받게 되자 중공중앙 홍콩-마카오공작위원회가 조직되었는데 [[리셴녠]], [[자오쯔양]], [[양상쿤]], [[완리]], 지펑페이, [[후치리]] 등이 홍콩의 과도기를 영도하기 위한 개혁에 착수하게 되었다. 지펑페이는 국무원 홍콩-마카오 판공식 주임에 임명되어 베이징에서 홍콩 문제를 처리하는 일상공작을 맡았으며 이 직위를 1990년까지 역임했다. ||[[파일:희붕비.jpg|width=100%]]|| || 1993년 3월 제8차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마카오]] 기본법을 설명하는 지펑페이 || === 말년 === 1999년에는 그의 장남인 인민해방군 총참모부 정보부장인 지성더 소장이 푸젠성 샤먼에서 외국에 정보를 판매하고 대규모 밀수를 했다는 <위안화 사건>에 연루되어[* [[류화칭]]의 며느리 정리와 딸 류차오잉도 휘말렸으며 이에 대해서 [[장쩌민]] 파인 슝광카이의 모략이라는 썰이 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0&aid=0000034409|2000년에 사형선고를 받는 비극]]을 겪게 되었다. 지펑페이는 4차례나 [[장쩌민]]에게 아들에게 관대한 처분을 내려달라고 친전을 보내 간청했으나 거절당하자 2000년 2월 10일 오후 1시에 자택에서 수면제를 먹고 자살했다.[* 아들이 사형 선고를 받을 것을 예감하고 자살했다고 하는데 아들이 음해당한 것에 대한 항의 표시라는 썰도 있다. 어디까지나 썰...] 그의 죽음은 외부에 거의 보도되지 않았으며 추도회는 정부의 유력 인사들이 불참하고 주요 기관들도 화환을 보내지 않아 썰렁하기 이를 데 없었다. 그나마 지성더는 어머니 쉬한빙을 비롯한 유족의 구명운동으로 사형집행 유예 선고를 받아냈으며 2002년 20년 형으로 감형받고 고혈압을 이유로 병보석으로 석방되었다. == 여담 == [[파일:희붕비100주년.jpg]] 2010년 2월 2일, 인민대회당에서 국무원 총리 리커창이 참석한 가운데 지펑페이 탄생 100주년 기념회가 열렸다. 또 성이 희(姬)인 것으로 보아 주(周) 왕실의 후예로 추정된다. == 참고문헌 == * 저우언라이 평전, 바르바라 바르누앙, 위창건, 베리타스 북스. * 덩샤오핑 평전, 에즈라 보걸, 민음사. * 마오의 중국과 그 이후 2권, 모리스 마이스너, 이산. * 중국공산당 역사 2권 하, 중국공산당중앙당사연구실, 서교출판사.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44503&cid=40942&categoryId=33399|두산백과 지펑페이 문서]] == 주요경력 == ||<-5> '''{{{#yellow 중화인민공화국 역대 외교부장}}}''' || ||<-8> [[파일:중국 국장.svg|width=200]] || || 2대 || {{{+1 → }}} || 3대 || {{{+1 → }}} || 4대 || || [[천이]] || {{{+1 → }}} || 지펑페이 [br] ([[1972년]] [[1월 6일]] ~ [[1974년]] 11월) || {{{+1 → }}} || [[차오관화]] || [[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중국공산당 대외연락부장]][[분류:중국공산당 12기 중앙고문위원회 위원]][[분류:중국공산당 13기 중앙고문위원회 위원]][[분류: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부총리]][[분류: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장]][[분류: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비서장]][[분류:1910년 출생]][[분류:2000년 사망]][[분류:윈청시 출신 인물]][[분류:중국의 무종교인]][[분류:중국의 자살한 인물]][[분류:자살한 정치인]][[분류:약물로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