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진(통일왕조) 군주)] |||||| '''{{{#ece5b6 진(秦)나라 14대 국군[br]{{{+1 경공}}}[br]景公}}}''' |||||||||| |||| '''[[성씨|{{{#ece5b6 성}}}]]''' |||| 영(嬴) || |||| '''[[본관|{{{#ece5b6 씨}}}]]''' |||| 조(趙) || |||| '''[[휘|{{{#ece5b6 휘}}}]]''' |||| 석(石)[* 춘추분기(春秋分紀)에서 기록된 이름.], 후백거(後伯車)[* 세본(世本)에 기록된 이름.] || |||| '''{{{#ece5b6 아버지}}}''' |||| [[진환공(통일왕조)|진환공]](秦桓公) 영영(嬴榮)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537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576년 ~ 기원전 537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진(통일왕조)|진(秦)나라]]의 제14대 [[군주]]. [[진환공(통일왕조)|진환공]](秦桓公)의 아들. [[진애공(통일왕조)|진애공]](秦哀公)의 아버지. 진(晉)나라와 싸운 기록이 많다. [[1986년]]에 그의 무덤이 발굴되었는데 순장자가 182명에 묘실 크기가 60m, 너비 40m, 깊이 24.5m의 거대한 무덤이다. [[은허]]에서 발굴된 상나라때 왕릉보다 10배나 큰 규격으로 [[주례]]에 규정된 제후의 묘를 넘어서는 크기이다. 이로써 춘추시대의 신분질서가 이미 상당히 흔들렸음을 알 수 있다. [[한나라]]때부터 [[송나라]]에 이르기까지 숱한 도굴꾼들이 이 무덤을 도굴해서 200개가 넘는 도굴통로가 확인되었지만 그래도 1986년 발굴당시 청동기와 골기를 비롯해 3000여점의 유물이 발굴되었다. == 재위 기간에 일어난 사건들 == 진 경공 13년(기원전 564년), 진 경공은 사견을 파견해 [[초(춘추전국시대)|초나라]]와 공동 작전을 펼쳐 [[진(춘추오패)|진(晉)나라]]를 치려 했다. 이때 자낭이 진(晉)나라는 강하고, 진(秦)나라는 약해 하지 말라고 했으나 그것은 [[초공왕]]이 듣지 않았다. 같은 해 가을에 초 공왕이 병사를 몰아 구성에 주둔했다. 이때 진(秦)나라가 진(晉)나라를 쳤다. 결국 진(晉)나라가 패했다. 그 복수로 [[진도공]](晉悼公)은 순앵(荀罌)을 보내 진(秦)나라를 쳤다. 진 경공 15년(기원전 562년), 초 공왕은 [[정나라]]를 쳤다. 그리고 자낭을 파견해 진나라에 원병을 요청하니 진 경공은 대부 첨을 시켜 구원을 가게했다. [[정간공]]은 진(晉)나라 대신 초나라에게 붙었다. 같은 해 초나라는 정나라와 함께 진(晉)나라의 동맹국인 [[송(춘추전국시대)|송나라]]를 치자 진(晉)나라가 송나라를 구원했다. 진 경공은 서장 포와 무를 보내서 정나라를 돕게 했다. 서장 포는 진나라의 국경으로 들어와 진나라의 장수인 사방을 쳤다. 그리고 서장 무는 보씨를 쳤다. 그리고 그리고 황하를 건넜다. 진(秦)나라는 역 땅에서 교전해 진(秦)나라가 대승했다. 이어 진(晉)나라는 정나라를 쳤다. 진 경공 16년(기원전 561년), 초나라는 자낭을 보내 양량의 진(秦)나라의 서장 무를 시켜 송나라를 치게했다. 같은 해 초 공왕은 사마 자경을 진(秦)나라로 보내 감사를 표하며 딸을 초나라로 시집보냈다. 진 경공 18년(기원전 559년), 진 도공은 순언(荀偃)을 보내 [[노나라]]의 숙손표, [[제(춘추전국시대)|제나라]]의 최저, 송나라의 화열, 중강, [[위(춘추전국시대)|위나라]]의 북궁괄, [[정나라]]의 공손만, [[조나라]], 거나라, 주(邾)나라, 등나라, 설나라, 기(杞)나라, 소주(小邾) 등이 진(秦)나라를 쳤다. 거기에 견디지 못한 진(秦)나라가 패배했다. ~~다굴 앞에 장사 없다.~~ 진 경공 28년(기원전 549년), 진 도공이 죽고, 그 아들 [[진평공]](晉平公)이 즉위하자 한기를 보내 진나라와 회맹했다. 진 경공 30년(기원전 547년), 진(晉)나라와 다시 회맹했다. 여름 진(秦)나라는 초나라와 함께 오나라를 쳐서 우루 땅을 쳤다. 그리고 진(秦)나라는 초나라와 함게 정나라를 쳐 막대한 이득을 얻었다. 진 경공 31년(기원전 546년), 송나라의 대부 상수가 제후들과 미명에서 회맹해 진(秦)나라에게 회맹하자고 했으나 거기에는 참여하지 못했다. 진 경공 36년(기원전 541년), 진 경공의 동복 아우인 후자 침이 모함을 받아 죽임을 당할게 두려워 진(晉)나라로 달아났다. 진 경공 40년(기원전 537년), 진 경공이 죽고 그 아들 영적(嬴籍)이 즉위하니 그가 바로 진 애공이다. [각주] [[분류:진(秦)나라의 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