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진(희성) 군주)] |||||| '''{{{#ece5b6 진(晉)나라 33대 국군[br]{{{+1 경공}}}[br]頃公}}}''' || |||| '''[[성씨|{{{#ece5b6 성}}}]]''' ||희(姬) || |||| '''[[본관|{{{#ece5b6 씨}}}]]''' ||진(晉) || |||| '''[[휘|{{{#ece5b6 휘}}}]]''' ||거질(去疾) || |||| '''{{{#ece5b6 아버지}}}''' ||[[진소공]](晉昭公) 희이(姬夷)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기원전 ???년 ~ 기원전 512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기원전 525년 ~ 기원전 512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진(희성)|진나라]]의 제33대 군주. 진 소공의 아들. == 생애 == 진 소공 6년(기원전 526년), 소공이 죽자 그 뒤를 이어 진나라의 군주가 되었다. 진 경공은 어린 나이에 즉위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6경의 권력이 강대해졌고, 희성 진씨 공실의 권력은 줄어들어갔다. 진 경공 12년(기원전 514년), [[조간자]]는 지씨, 한씨, 위씨, 범씨, 중항씨와 더불어 공실과 가까운 기씨[* 진문공의 신하 [[선진#s-3|선진]]의 후손으로 서술되어 있었으나 사실과 다르다. 선진의 후손은 한참 전인 28대 [[진경공]] 대에 [[필 전투]]에서의 대패에 대한 책임을 지고 몰락했다. 선씨가 기성인 것은 맞으나 지금 멸한 기씨는 희성 기씨로 기성 선씨와는 다른 가문이다. 이 기씨는 진나라 희성 진씨 공실의 방계로 고사 기해천수의 주인공인 기해의 후손이다.]와 양설씨[* 양설직의 자손으로 역시 진나라 희성 진씨 공실의 방계]를 멸하였다.[* 이들이 강대했기 때문에 힘을 합쳐 멸한 것이라 서술되어 있었으나 역시 사실과 다르다. 기씨와 양설씨는 오히려 세력이 약한 편이었다.][* 기영의 가신 기숭과 오장이 아내를 바꿔 간음하자 기영이 그들을 잡아가뒀다. 그러자 기숭이 순력에게 뇌물을 바쳤다. 기영의 가신이 기숭과 오장을 죽이자 다른 경들이 이를 빌미로 기씨와 양설씨를 몰살하고 그들의 식읍을 나눠가졌다.] 진 경공 13년(기원전 513년) 겨울, 전국에서 철 480근을 모아 범선자가 그 철로 솥[鼎]을 만들어 거기에 형법서를 새겼다. 그것이 진나라의 [[성문법]]이다. 그것을 사서에서는 '주형정'이라 했다. 진 경공 14년(기원전 512년), 진 경공이 사망했다. 그 뒤를 아들인 희오가 이으니 그가 [[진정공]]이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진경공,version=11)] [[분류:진(晉)나라의 군주]][[분류:기원전 512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