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논리학]][[분류:철학]] [include(틀:논리학)] |언어별 명칭| [[한자]] || 眞理値 || || [[영어]] || Truth Value || || [[독일어]] || der Wahrheitswert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상적인 맥락에서는 '''참과 거짓'''. 어떤 [[명제]]가 논리적으로 갖는 값 가운데 하나. 진리치라고도 부른다. 일상적 맥락, 특히 [[표준논리]]에서는 [[참]]과 [[거짓]]만이 진릿값에 해당한다. 흔히들 영어에서 참과 거짓을 뜻하는 "True"와 "False"의 앞 글자를 따서 "T"와 "F"라고 부르기도 하고, 또한 그냥 [[수]] 1과 0과 같은 것으로 대치하여 쓰기도 한다. 진릿값이라는 개념을 명시적으로 처음 제시한 것은 [[고틀로프 프레게]]라고 알려져 있다. 프레게는 <함수와 개념>에서 [[문장]]의 지시체(bedeutung)가 곧 대상의 일종인 진리치(Wahrheitswert)라고 주장하였다. 반면 [[알프레드 타르스키]]는 참이 어떤 특정한 언어의 문장이 갖는 [[속성]]의 일종이라고 간주했다. [[표준논리]]의 [[의미론]] 혹은 모형 이론에서 진릿값은 문장 [math(\phi)]과 모형(혹은 해석) [math(M)]을 인자로 갖는 평가 [[함수]](valuation)의 함숫값으로 정의되는게 일반적이다. 즉 평가 함수 [math(V)]는 [math(V:\{\langle \phi, M \rangle \mid \phi, M)]은 임의의 문장과 모형[math(\} \to \{T,F\})]으로 정의되고는 한다. 예를 들어 모형 [math(M)]의 논의영역(domain)의 유일한 원소가 학생인 철수라고 할 경우, [math(V()]"모든 것은 학생이다"[math(,M) = T)]가 되는 식이다. 다만, 여러 [[비표준 논리]]에서는 진릿값들 또한 다양해진다. 예를 들어 여러 형태의 '''다치 논리'''에서는 참과 거짓 말고도 다른 진릿값이 있다. [[철학사]]적으로는 [[불교]] 철학 가운데 [[나가르주나]]의 중관(中觀; madhyamika) 학파에서 논의하는 4구(四句; catuskoti) 논리에서는 진릿값이 참과 거짓 말고도 '''참이며 거짓''', '''참도 거짓도 아님''' 두 가지가 더 있다고 알려져 있다. 더불어 진릿값 자체의 [[형이상학]]적 본성을 따지는 분야는 '''[[진리론]]'''이며, 관련하여 다양한 논의들이 진행되고 있다.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boolean 자료형으로 변수를 선언하면 진릿값을 저장할 수 있다. 다만 [[C언어]]는 boolean형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진릿값으로 true/false 대신 직접 1[* 정확히 말하면 0이 아닌 모든 수를 C에서는 true로 간주한다.]/0을 집어넣어야 한다. == 관련 문서 == * [[수리논리학]] * [[형이상학]] * [[논리 연산]] * [[진리]] * [[불 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