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진(영성) 군주)] |||||| '''{{{#ece5b6 진(秦)나라 5대 국군[br]{{{+1 무공}}}[br]武公}}}''' |||||||||| |||| '''[[성씨|{{{#ece5b6 성}}}]]''' |||| 영(嬴) || |||| '''[[본관|{{{#ece5b6 씨}}}]]''' |||| 조(趙) || |||| '''[[휘|{{{#ece5b6 휘}}}]]''' |||| 실전 || |||| '''{{{#ece5b6 아버지}}}''' |||| [[진헌공(3대)|진헌공]](秦憲公)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678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697년 ~ 기원전 678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춘추시대]] [[진(영성)|진(秦)나라]]의 5대 [[군주]]. [[진헌공(3대)|진 헌공]](秦憲公)의 아들. [[진출자|진 출자]], [[진덕공|진 덕공]]의 형. 무공은 동생 출자가 삼보에 의해 죽임을 당한 뒤 그 뒤를 이었다. == 재위 기간에 일어난 일 == 무공 원년([[기원전]] 697년), 군사를 휘몰아 서융의 한 씨족인 팽희씨(彭戲氏)를 물리치고자 화산(華山)의 평양봉궁(平陽封宮)에 머물렀다. 무공 3년(기원전 695년), 무공은 동생이자 선대 군주인 출자를 시해한 삼보(三父)를 잡아다가 그 삼족을 멸했다. 무공 10년(기원전 688년), 규(邽)와 기(冀) 지역의 융족(戎族)을 토벌했다. 그리고 무공은 거기에 현을 설치했다. 무공 11년(기원전 687년), 두(杜) 땅, 정(鄭)[* [[정나라]]가 원래 봉해진 곳이다.] 땅에 현을 두었고 소괵(小虢)을 멸했다. 무공 20년(기원전 678년), 무공이 죽어 옹읍(雍邑)의 평양에 매장했다. 그리고 '''진나라에서 최초로 순장이 시행'''되었는데, 순장을 당한 인원이 66명이었다. 무공에게는 영백(嬴白)이라는 아들이 있었는데, 영백은 군위에 오르지는 못하고 그 대신 평양 땅의 제후로 봉해졌다. 그 대신 진나라의 군위는 무공의 동생인 덕공이 이어 받았다. [각주] [[분류:진(秦)나라의 군주]][[분류:기원전 678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