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진(희성) 군주)] |||||| '''{{{#ece5b6 진(晉)나라 14대 국군[br]{{{+1 악후}}}[br]鄂侯}}}''' || |||| '''[[성씨|{{{#ece5b6 성}}}]]''' || 희(姬) || |||| '''[[본관|{{{#ece5b6 씨}}}]]''' || 진(晉) || |||| '''[[휘|{{{#ece5b6 휘}}}]]''' || 극(郤) / 도(都) || |||| '''{{{#ece5b6 아버지}}}''' || [[진소후]](晉昭侯) 백(伯)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718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723년 ~ 기원전 718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춘추시대]] [[진(희성)|진(晉)나라]]의 14대 국군. [[진소후]]의 [[아들]]. [[진효후]]의 [[동생]]. [[진애후]]의 [[아버지]]. 《[[사기(역사책)|사기]]》와 《[[춘추좌씨전]]》의 기록이 상이한 인물 중 한 명이다.[* 그 차이점은 밑을 참조할 것.] [[곡옥대진]](曲沃代晉) 사건에서의 유일한 생존자였다. == 생애 == 진 효후 15년([[기원전]] 724년), [[진효후]]가 [[곡옥장백]]에게 [[살해]]되자 진나라 사람들이 곡옥 장백을 몰아내고 효후의 아우인 그를 즉위시키니 바로 [[진악후]]이다. 《[[사기(역사책)|사기]]》에 의하면 [[곡옥장백]]이 진 악후의 상을 틈타 익(翼)을 공격했으나 [[주나라]] [[천자]]인 [[주환왕]]이 [[곡옥]](曲沃)을 쳐서 장백을 내쫓고는 공자 희광(姬光)을 진후로 올리니 그가 바로 [[진애후]](晉哀侯)다. 다만 《[[춘추좌씨전]]》에서는 달리 전한다. 곡옥 장백은 [[형나라]](邢), [[정나라]](鄭)와 연계해서 익을 쳤다. [[주환왕]]은 원병을 파견해서 곡옥을 도왔다.[* 다만 천하 질서를 유지해야 할 주나라 천자 입장에서 [[후작]]이 다스리는 진나라를 대신하여 [[백작]]이 다스리는 곡옥을 도운 점은 미스터리하다. 역사서에서 그 일에 대해서 분명하게 나온 기록이 없으니, 다소 개인적인 추측을 덧붙여보자면 진 악후가 주 환왕의 비위를 거스르는 짓을 했거나 혹은 주 왕실에 소홀히했거나 이익에 어긋나는 짓을 하지 않았을까 짐작해본다.] 결국 그 압박을 견디다 못한 진 악후는 증나라로 달아났다. 후에 곡옥이 주나라에 반기를 들자 주 환왕은 괵공(虢公)으로 하여금 곡옥을 치게 했다. 그 틈에 진나라는 여유가 생겨 진 애후가 즉위했다. 진나라의 대부 가보(大夫 嘉父)는 진 악후를 악(鄂) 땅으로 맞아들였다. 진 악후가 죽자 그에게 악후(鄂侯)라는 시호를 주었다고 한다. 여담이지만 곡옥 계열의 진(晉)나라가 아닌 [[진문후]] 계열의 진나라의 최후의 군주인 [[진후민]]이 [[곡옥무공]]에게 살해당한 설을 받아들일 경우 그가 유일하게 곡옥의 군주에게 살해당하지 않은 유일한 진후가 된다. [각주] [[분류:진(晉)나라의 군주]][[분류:기원전 718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