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진(희성) 군주)] |||||| '''{{{#ece5b6 진(晉)나라 40대 국군[br]{{{+1 정공}}}[br]靜公}}}''' |||||||||| |||| '''[[성씨|{{{#ece5b6 성}}}]]''' ||희(姬) || |||| '''[[본관|{{{#ece5b6 씨}}}]]''' ||진(晉) || |||| '''[[휘|{{{#ece5b6 휘}}}]]''' ||구주(俱酒) || |||| '''{{{#ece5b6 아버지}}}''' ||[[진환공|진효공]](晉孝公)[* 진환공(晉桓公)이라고도 한다.] 희기(姬頎)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기원전 ???년 ~ 기원전 349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기원전 356년 ~ 기원전 349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진(희성)|진(晉)나라]]의 제40대 군주이자, 마지막 [[군주]]. [[진환공]]의 아들. == 생애 == 진정공 원년(기원전 356년), 진환공이 죽은 뒤, 희구주가 진나라 군주로 즉위했다. 《[[사기(역사책)|사기]]》에 의하면 그 해가 [[제위왕]] 원년이었다고 한다. 진정공 8년(기원전 349년), [[조(전국시대)|조나라]]에게 진나라의 땅을 몽땅 빼앗겼다. 그리하여 진정공은 [[한(전국시대)|한나라]]의 둔류(屯留) 땅에 거주하게 되었다. 《[[죽서기년]]》에 의하면 그 해에 한나라 군주가 한기(韓玘)를 보내서 군주인 도공(悼公)을 죽였다고 하는데, 살해당한 그 도공이라는 [[군주]]가 진정공으로 추정된다. 한편 《[[자치통감]]》의 기록에 의하면 [[진환공]]이 죽은 뒤, 아들 희구주가 즉위했는데, 그때가 [[주안왕]] 24년(기원전 378년)이라고 한다. 그리고 주안왕 26년(기원전 376년)에 [[위(전국시대)|위나라]](魏), [[한(전국시대)|한나라]](韓), [[조(전국시대)|조나라]](趙)가 진정공을 폐위시키고, 진나라 땅을 나눠 가졌다고 한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진정공, version=37)] [[분류:진(晉)나라의 군주]][[분류:망국의 군주]][[분류:기원전 349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