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晉州河氏 墓 出土遺物. [[임진왜란]] 당시 활약했던 홍의장군(紅衣將軍) [[곽재우]](郭再祐, 1552~1617)의 종질부인 진주하씨(晉州河氏)의 묘에서 출토된 한글 [[간찰]] 168점과 의복 81점. 현재 [[국립대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중요민속문화재 제229호로 지정되어 있다. == 내용 == || [youtube(mw5HCqYEfAM)] || 곽재우 장군의 후손들인 현풍곽씨(玄風郭氏) 종가에서 1989년 당시 [[경상북도]] [[달성군]]에 있는 12대 조모인 진주하씨(晉州河氏)의 묘를 이장하던 중 발견한 [[조선]] 중기의 유물들이다. 각종 의복과 침구류, 빗첩 등이 81점이 나왔고, 간찰은 총 172통이 나왔는데 그 중 [[한글]]로 저술된 편지가 168점이고 한문으로 쓴 것은 5점이다. 편지 중 연대가 가장 빠른 것은 1602년에 곽주가 장모에게 보낸 편지이며, 주요 저자들은 곽주, 곽이창, 곽의창, 곽유창, 곽형창 등이다. 기타 종자분급기(種子分給記), 노비명부, 양조법(釀造法), 제물명(祭物名) 등 각종 고문서들도 발견되었다. 1600년대 초중기 [[경상도]] 지역의 언어, 복식, 생활문화를 연구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 중 하나로 여겨진다. == 외부 링크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458727&cid=46674&categoryId=46674|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진주하씨묘출토언간]]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62272&cid=46671&categoryId=46671|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진주하씨묘출토유물]]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94053&cid=40942&categoryId=32079|두산백과 : 진주하씨묘 출토유물]]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77287&cid=41817&categoryId=41817|방언학 사전 : 진주 하씨묘 출토 한글 자료]] == 중요민속문화재 제229호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8,02290000,22|문화재청 홈페이지 : 진주하씨 묘 출토유물 (晉州河氏 墓 出土遺物)]] >1989년 현풍곽씨(郭氏)의 후손들이 경상북도 달성군에 있는 12대 조모인 진주하씨(河氏)의 묘를 이장하다가 발견한 유물들이다. 묘 주인 하씨는 임진왜란때 의병장으로 유명한 곽재우의 종질(사촌형제의 아들) 곽주의 둘째 부인으로 족보에는 그녀의 생사(生死)에 대한 기록이 나와 있지 않다. 그러나 출토된 편지의 내용으로 보아 1646년경인 조선 인조때의 여인임을 알 수 있다. > >출토된 유물에는 부녀자가 나들이할 때 머리에 써서 몸을 가리던 장옷을 비롯하여 지금의 두루마기와 비슷한 창의, 저고리 등 의복류와 이불, 베개, 돗자리 등 침구류, 머리빗는 도구를 담아두던 빗첩 등 81점이 있고 또한 그의 남편인 곽주와 그의 시어머니 등이 쓴 편지와 금전출납을 기록한 것 등 서간문 168점이 있다. > >진주하씨 묘 출토유물은 17세기초의 복식사 연구의 귀중한 자료일 뿐만 아니라, 부녀자의 주변 생활을 한글로 쓴 서간문을 통해 당시 경기도 현풍지방의 풍속이나 민속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분류:간찰]][[분류:조선시대 여성의 저서]][[분류:국립대구박물관 소장품]][[분류:대구광역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