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진(陳)나라의 군주]][[분류:기원전 506년 사망]] [include(틀:역대 진(규성) 군주)] |||||| '''{{{#ece5b6 진(陳)나라 24대 국군[br]{{{+1 혜공}}}[br]惠公}}}''' || |||| '''[[성씨|{{{#ece5b6 성}}}]]''' || 규(嬀) || |||| '''[[본관|{{{#ece5b6 씨}}}]]''' || 진(陳) || |||| '''[[휘|{{{#ece5b6 휘}}}]]''' || 오(吳) || |||| '''{{{#ece5b6 할아버지}}}''' || [[진애공(규성)|진애공]](陳哀公) 규약(嬀弱) || |||| '''{{{#ece5b6 아버지}}}''' || 도태자(悼太子) 규사(嬀師)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506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533년 ~ 기원전 506년 (28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춘추전국시대)|진(陳)나라]]의 제24대 [[군주]]. [[진애공|진애공]](陳哀)의 손자. 진도태자 사의 아들. [[초평왕]](楚平王)이 형인 [[초영왕]](楚靈王)을 죽인 뒤 진(陳)나라를 복국시켜 그가 군주가 되었다. == 생애 == 초 평왕이 초 영왕을 죽이고 왕이 된 뒤 초 평왕이 제후들의 마음을 사기 위해[* 찝찝한 일로 즉위하고 난 뒤 제후들의 인심을 사서 퉁치는 것이 서서히 시작되었다. 대표적 사례가 바로 훗날 이 진(陳)나라 군주의 먼친척들인 전씨(田氏)가 [[제(춘추전국시대)|제(齊)나라]]가 빼앗은 땅을 돌려준 사례가 그러하다.] 진(陳)나라와 [[채나라|채(蔡)나라]]를 부흥시켰는데, 초 평왕이 진(陳)나라의 도태자의 아들인 공손 오를 세우니 그가 바로 진 혜공(陳惠公)이다.[* 대신 초나라에 바치는 공물이 늘어났다고 한다.] 그는 28년간 나라를 다스리고 아들인 공자 류가 뒤를 이으니 그가 바로 진 회공(陳懷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