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진(희성) 군주)] |||||| '''{{{#ece5b6 진(晉)나라 39대 국군[br]{{{+1 환공}}}[br]桓公}}}''' |||||||||| |||| '''[[성씨|{{{#ece5b6 성}}}]]''' ||희(姬) || |||| '''[[본관|{{{#ece5b6 씨}}}]]''' ||진(晉) || |||| '''[[휘|{{{#ece5b6 휘}}}]]''' ||기(頎) || |||| '''{{{#ece5b6 아버지}}}''' ||[[진열공]](晉烈公) 희지(姬止)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기원전 ???년 ~ 기원전 357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기원전 388년 ~ 기원전 357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진(희성)|진(晉)나라]]의 제38대 [[군주]]. [[진열공]]의 [[아들]]. [[진정공]]의 [[아버지]]. 《[[사기(역사책)|사기]]》에서 전해지는 시호는 진효공(晉孝公)이나, 《[[죽서기년|고본죽서기년]]》(古本竹書紀年)에는 시호가 진환공(晉桓公)으로 기록되었는데, 그 이유는 후술한다. == 치세 == 진 열공 23년([[기원전]] 389년), [[진열공]]이 죽자 진나라의 군주에 올랐다. 이 당시 진나라의 영토는 대부분 [[위(전국시대)|위(魏)나라]], [[조(전국시대)|조(趙)나라]], [[한(전국시대)|한(韓)나라]]에 의해 강탈당했다. 진 환공 20년(기원전 369년), 조나라에서는 진 환공을 둔류(屯留) 땅으로 옮겼고, 그를 단씨(端氏) 땅에 다시 옮겼다. 그리고 진 환공 때 [[곡옥#s-2|곡옥]](曲沃) 땅을 강탈했다. 진 환공은 불미스럽게 죽었고, 그 아들인 희구주(姬俱酒)가 즉위하니, 그가 진나라의 마지막 군주인 [[진정공(40대)|진정공]](晉靖公)이다. == 여담 == 《고본죽서기년》에서 진 환공이라고 하고, 흔히 진 효공으로 알려져있으나, [[상앙]]을 등용한 [[진(통일왕조)|진(秦)나라]]의 [[진효공]](秦孝公)이 더 유명하여, 이를 구별하기 위해서 이 문서의 제목을 진 환공으로 정했다. [[분류:진(晉)나라의 군주]][[분류:기원전 357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