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기동전사 건담 0083: 스타더스트 메모리 등장 메카닉)] [include(틀:기동전사 Z 건담 모빌슈트)] || {{{#fff '''RGC-83 GM Cannon II'''[br]ジム・キャノンII}}} || || [[파일:RGC-83_GM_Cannon_II.jpg|width=300]] || [목차] [clearfix] == 개요 == [[기동전사 건담 0083: 스타더스트 메모리]], [[기동전사 Z건담 A New Translation]]에 등장하는 모빌슈트. == 제원 == ||
형식번호 ||RGC-83 || || 기체분류 ||양산형 범용 MS || || 제작 ||지구연방군 오거스터 연구소 || || 소속 ||지구연방군 || || 최초배치 ||U.C. 0083 || || 조종 ||몸체 안의 표준형 콕핏에 파일럿 1명 || || 크기 ||두부고 18.0m || || 무게 ||건조중량 47.3톤[br]전비중량 66.9톤 || || 구조 ||세미-모노코크 프레임 || || 장갑재질 ||티타늄 / 세라믹 합금 || || 엔진 ||미노프스키 타입 초밀도 핵융합로[br]출력 1,420kW || || 추진 ||로켓 추력 13,000kg X 4[br]1,870kg X 4 || || 성능 ||최대 추력 가속도 0.89G[br]180˚ 회전 시간 1.6초 || || 고정무장 ||60mm 헤드 발칸 X 1[br] 빔 사벨 X 1[* 출력 0.38MW[br]왼쪽 팔뚝 랙에 장착/재충전][br]빔 캐논 X 2[* 백팩에 장착] || || 옵션형 고정 무장 ||RGM·M-Sh-ABT/S-00057 실드 X 1[* 양쪽 팔 중 한쪽에 장착] || || 옵션무장 ||HFW-GR·MR82 90mm 짐 라이플 X 1[* 30발[br]예비탄창 2개를 실드에 휴대 가능] || || 파일럿 ||[[채프 아델]][br][[척 키스]][br][[에이거]][br]루시앙 벤트 등 || || 메카닉 디자이너 ||[[카토키 하지메]] || == 설명 == [[OVA]] [[기동전사 건담 0083 스타더스트 메모리]]에 등장하는 지구연방군의 중거리 지원용 양산형 MS로서 [[1년전쟁]] 당시의 [[짐 캐논]]의 후계기로 짐 캐논과 건 캐논 양산형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짐 커스텀]]과 생산라인을 공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본적인 구조와 제네레이터는 짐 커스텀과 동일하다. [[짐(MS)]]을 포격형으로 개발한 것이 짐 캐논이므로 짐 캐논 II가 같은 해에(0083년) 롤아웃된 [[짐 II]]를 베이스로 하는 기체인 것으로 오해받기도 하는데, 짐 캐논 II는 짐 II가 아니라 짐 커스텀을 베이스로 만든 모빌슈트다. [[짐 커스텀]]과 마찬가지로 [[건담 NT-1]] 알렉스와 동급의(혹은 동일한) 제네레이터를 탑재하고 있기 때문에 건담보다 출력이 높았고 그 덕분에 건캐논 II처럼 실탄식 캐논이 아닌 빔 캐논을 장비하였다. 빔 캐논은 2문이 장비되었고 백팩에 장비된 두 개의 원통형 에너지 CAP에서 메가입자를 공급하는 방식이다. 빔 캐논의 장비 위치 자체는 기본적으로 백팩 상부이지만 포신의 부앙각을 가장 낮게 낮추었을 때는 포신을 양쪽 쇄골 위에 놓고서 사격하게 되는 구조를 취했는데, 이는 [[건캐논]] 및 건캐논 양산형의 구조를 답습한 것이다. 실탄 화기가 아닌 [[빔 병기]]를 장비하였으며 신축식 포신을 채용하지 않았다는 차이가 있지만 캐논의 장비 방식과 백팩의 구조는 건캐논 양산형의 구조를 계승한 식이며, 따라서 캐논의 장비 위치 등 구조적으로 상당히 유사한 모습을 보인다. 또한 중력하에서의 정밀 사격시 기체의 반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건캐논 양산형처럼 뒷스커트에 스테빌라이저가 장비되어 있기에 기어를 확장하여 지상에 고정시켜 기체를 안정시킬 수 있다. 외장은 알렉스에 시험적으로 채용되었던 초밤 아머형의 [[복합장갑]]을 사용했지만 알렉스와 달리 프레임에 직접적으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임의로 퍼지할 수 없다. 말하자면 탈착식 [[증가장갑]]을 채용한 알렉스나 [[풀아머 건담]]보다는 기본장갑 자체를 강화한 [[헤비 건담]]에 보다 가까운 구조이다. 물론 정비 시에는 특별한 장비를 이용해서 장갑을 해제할 수 있으며, 극중에서도 이 장면이 나온다. 백팩의 스러스터 노즐 배치는 [[육전형 건담]]과 유사하게 되어 있는데(더 나아가서는 건캐논 양산형과도 역시 유사하게 되어 있기도 하다.), 이는 일반적인 연방제 모빌슈트의 백팩에서 노즐이 설치되는 부위에 원통형 에너지캡이 붙어 있기에 노즐의 위치를 옮겨야 했기 때문이다. [[파일:RGM-79N_GM_Custom_-_90mm_GM_Rifle.jpg|width=300]] <90mm 짐 라이플>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HWF_GR%C2%B7MLR79-90mm_Long_Rifle.png|width=300]] 왼팔에는 소형 [[빔 사벨]]을 장비하였다[* 키스가 이걸 써서 육박해온 [[드라체]]를 격추하는 장면도 있다.]. 주무장으로는 90mm [[구경]]의 장포신 무탄피 실탄 머신건인 짐 라이플(이 무장은 [[짐 커스텀]]의 주무장이기도 하다.)과 [[빔 코팅]]된 [[실드]]를 장비하였다. 원래 기획 당시에는 MG [[짐 改]] 우주형에 들어있는 HFW-GR·ML79-90mm 롱 라이플[* 짐 라이플의 포신을 긴 것으로 교체하여 사정거리를 늘리고 [[탄창]]을 장탄수 120발의 대용량 탄창으로 교체한 것으로, 양각대도 달려 있다. [[저격]]을 전문으로 하는 [[스나이퍼 라이플]]로 분류되지만 120발의 장탄수를 가진 박스형 탄창을 조합하여 [[분대지원화기]]로서의 운용도 가능했다. 설정상으로는 [[짐 改]]와 짐 캐논 II 이외에도 [[짐 스나이퍼 II]]도 이 무장을 운용할 수 있었다고 한다.]을 사용할 예정이었다고 한다. 기존 기체에 추가무장과 증설장갑을 추가하는 설계사상은 [[건담 TR-1 헤이즐]]과 [[제스타]] 캐논으로 이어진다. == 작중 활약 == === [[기동전사 건담 0083: 스타더스트 메모리]] === [[알비온(기동전사 건담 0083)|알비온]]대의 [[사우스 버닝]] 소대에 2기가 배치되어 등장. 파일럿은 [[채프 아델]]과 [[척 키스]]로 본기의 컨셉에 맞추어 화력 지원용으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두터운 장갑으로 인한 내구력 덕분인지 최종적으로 2기 모두 대파되거나 파손되는 일 없이 무사 생환하여 높은 신뢰성을 보여주었다.[* 좋은 예시로 겔구그들과 전투 도중 빔에 몸통을 직격으로 맞았지만 아무런 피해가 없었다.] === [[기동전사 Z 건담]] === [[짐 커스텀]]과 마찬가지로 제작연대 문제로 본편에선 등장하지 않고, 극장판에서만 등장. 큰 활약은 없고 에우고 컬러로 칠해진 기체가 수컷 등장한다. === 건담 레거시 === 티탄즈 컬러와 같은 블랙 계통의 컬러링으로 [[짐 쿠엘]]과 함게 티탄즈에 배속된 기체로 나온다. 파일럿은 [[에이거]] 대위로 제이크의 [[자쿠 II]]를 격추. == 파생형 == === 짐 캐논 II 루시앙 벤트 전용기 === [[파일:external/i2.ruliweb.com/15967e5651b46c91a.jpg]] [[Advance of Z 시간에 저항하는 자]]에 등장하는 기체로 파일럿은 루시앙 벤트. 반티탄즈인 잔지발급 기동 순양함 케라우노스의 소속 기로서 머리의 센서가 개선되었고[* 라기보다 케라우노스 소속기는 전부 헤드센서가 개선되어 있다. 이는 자금난에 시달리는지라 구형기 밖에 쓸 수 없는(유일한 최신기체가 [[하이잭]]이다) 사정상, 전력증강을 위해 온갖 파츠들을 가져다가 개수해서 전투력을 상승시키는 작업을 하기 때문] 왼팔에는 더블 히트 호크를 장착하였다.[* 사실 초중반까지만 해도 케라우노스 파일럿들 중에 제대로 된 경험과 실력을 가진게 루시앙 뿐이었던지라, 짐 캐논II로 근접전을 자주 벌이다 보니 이런거라도 붙여줄 수 밖에 없었다고 한다. 무장 특성상 "한번 쓰는 동안 버텨주면 된거야"라는 생각으로 급하게 달아준 거고, 작중에서도 2번째 사용에도 기능을 해 주자 "버텨줬어?"라며 기뻐하는 장면이 나올 정도(...)] 전용 무장으론 짐 라이플의 배럴을 늘리고 스코프를 추가하여 [[스나이퍼 라이플]]로 개조된 롱 라이플을 장비. 위장효과를 위하여 흰색과 파랑을 바탕으로 [[https://www.google.co.kr/search?q=dazzle+camouflage&espv=2&biw=1440&bih=775&source=lnms&tbm=isch&sa=X&ved=0ahUKEwjQt9iIqKLOAhVCKZQKHaQ5B-kQ_AUIBigB|대즐]] 위장마냥 검정의 줄무늬가 칠해진 컬러링이 특징이나 나중에 변경되었다. === 짐 캐논 II 화이트 코랄 === [[파일:external/i2.ruliweb.com/15967e56e7846c91a.jpg]] 위의 루시앙 벤트 전용기를 카라바에서 강화 개수한 기체로 양 어깨의 캐논을 신형 [[메가입자포]]와 조준기로 교체하였다. 그외에도 어깨에 접이식 안테나를 설치하고 헤드의 센서를 강화하였다. 덕분에 상체의 무게가 증가하였고 하체의 복합장갑을 철회하여 기체의 밸런스를 조정하고 있다. 여담이지만, 케라우노스 소속기 중에서는 유일하게 2부에서 우주로 함께 올라간다.[* 모함 케라우노스는 특공을 해서 자폭, 와그테일II는 대파된걸 수리해서 그냥 카라바에 남겨두고 왔고 하이젝 에피덴드룸은 완파돼서 방치] 구형기임에도 파일럿의 기량으로 상당한 활약을 하지만, 역시 발전하는 MS들의 성능과 상대했던 파일럿이 강화인간으로서의 능력이 어느정도 완성되어 가던 로스바이세였던지라 결국 이야기 중반부에 격파된다. 그래도 파일럿인 루시앙이 몸성히 탈출하는 등 장갑의 탄탄함은 확실히 보여주기도. == 모형화 == === 건프라 === ==== H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GUC 짐 캐논 II 박스아트.jpg|width=100%]]}}} || || 브랜드 || [[하이 그레이드#s-4.1|High Grade Universal Century]] || || 스케일 || 1/144 || || 발매 || 2011년 6월 18일 || || 가격 || 1,400엔 || || 링크 || [[https://bandai-hobby.net/item/4440/|제품 페이지]] || || 리뷰 || [[http://www.dalong.net/reviews/hg/h125/h125_p.htm|[include(틀:달롱넷 건프라 리뷰 표시)]]], [[https://youtu.be/_W794xpfDV4|[include(틀:건담홀릭 건프라 리뷰 표시)]]] || [[짐 커스텀/모형화#HG|HGUC 짐 커스텀]]의 관절과 무장의 금형을 일부 유용하여 상품화됐다. [[짐 改#HG|HGUC 짐 改]]의 금형을 공유하는 키트들이 대부분 그렇듯이 가동성은 다소 아쉽지만 프로포션과 디테일이 원작 디자인에 가깝게 나왔다. HGUC 짐 키트들 중에서도 색분할은 우수한 편이다. ==== [[B-Club]] ==== [[짐 커스텀/모형화#MG|MG 짐 커스텀]]에 적용 가능한 컨버전 파츠가 발매된 적이 있다.[[https://www.1999.co.jp/10032005|#]] 다만, 레진이기 때문에 완벽히 재현하려면 도색이 필히 요구된다. === 완성품 === ==== 액션 피규어 ==== * [[https://tamashii.jp/item/197/|Mobile Suit In Action!! 짐 캐논 II]]: 2003년 7월 발매, 가격 1,200엔.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C1F24; font-size: .9em" {{{#FFFFFF '''혼웹 상점 한정'''}}}}}} [[https://tamashii.jp/item/13250/|로봇혼 짐 캐논 II ver. A.N.I.M.E.]]: 2020년 8월 발매, 가격 7,000엔. == 게임에서의 짐 캐논 II == === [[건담 버서스]] === [youtube(uOUakLBQWx4)] === [[SD건담 캡슐파이터 온라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짐 캐논 II/SD건담 캡슐파이터 온라인)] == 관련 문서 == * [[짐(MS)]] * [[짐 改]] * [[짐 커스텀]] * [[짐 쿠엘]] [[분류:짐 타입]][[분류:2011년 HG 건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