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 징동닷컴}}}[* [[외래어 표기법/중국어]]에 따른 표기. 언론에서는 '징동'과 '징둥'이 혼용되고 있다.][br]{{{-1 JD.com Inc. | 京东商城}}}'''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JD.com-logo.png|width=100%&bgcolor=#fff]]}}}|| ||<|2> '''설립''' ||[[1998년]] [[6월 6일]] ([age(1998-12-31)]년차)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베이징]] || || '''창업자''' ||류창동 || || '''이명''' ||Joybuy, 360buy || || '''경영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31414; font-size: 0.75em" {{{#fff '''CEO'''}}}}}} 샌디 란 쉬 {{{-2 (2023년~ )}}} || || '''이사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31414; font-size: 0.75em" {{{#fff '''의장'''}}}}}} 류창동 {{{-2 (1998년~ )}}} || || '''산업''' ||[[전자상거래]] || || '''편입 지수''' ||[[나스닥 지수|나스닥 100]] {{{-2 ( ~2023년 12월)}}} || ||<|2> '''상장 거래소''' ||[[나스닥]] {{{-2 (2014년 5월~ / [[https://www.nasdaq.com/market-activity/stocks/jd|JD]])}}} || ||[[홍콩증권거래소]] {{{-2 (2020년 6월~ / [[https://www.hkex.com.hk/Market-Data/Securities-Prices/Equities/Equities-Quote?sym=9618&sc_lang=en|9618]])}}} || || '''시가 총액''' ||416억 달러 {{{-2 (2023년 12월)}}} || ||<|2> '''매출''' ||1,516억 9,000만 달러 {{{-2 (2022년 연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31414; font-size: 0.75em" {{{#fff '''전자 / 가전 상품'''}}}}}} 748억 500만 달러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31414; font-size: 0.75em" {{{#fff '''일반 상품'''}}}}}} 506억 1,700만 달러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31414; font-size: 0.75em" {{{#fff '''오픈마켓 / 마케팅'''}}}}}} 118억 8,500만 달러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31414; font-size: 0.75em" {{{#fff '''물류 / 기타 서비스'''}}}}}} 143억 8,300만 달러 ||}}}}}}}}} || || '''순이익''' ||14억 700만 달러 {{{-2 (2022년 연결)}}} || || '''물류창고''' ||약 1,600곳 {{{-2 (2023년 3분기)}}} || || '''고용 인원''' ||약 310.000명 {{{-2 (2020년 연결)}}} || || '''자회사''' ||JD 헬스 {{{-2 (67.58%)}}} || || '''본사''' ||[[중국]] [[베이징]] 차오양 || || '''외부 링크''' ||[[https://www.joybuy.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징둥은 [[중국]]의 [[전자상거래]] 기업이다. 국내에는 정식 진출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자사의 e스포츠 팀인 [[JDG Intel Esports Club]]을 통해 보다 널리 알려져 있다.[* 중국 외에는 [[동남아시아]]와 [[유럽]]을 중심으로 진출해 있는 상태다.] 중국 내에서는 선두 업체인 [[알리바바 그룹]] 티몰의 최대 경쟁 플랫폼이다. 다만 [[아마존닷컴]], [[쿠팡]] 등과 마찬가지로 물류 구축과 자동화에 혈안을 들이며 [[오픈마켓]]보단 직매입이 메인인 플랫폼이기 때문에 당일과 익일 등 빠른 배송이 타사와 차별성을 갖는 장점이다.[* 알리바바 산하 플랫폼들은 없는 게 없을 정도로 방대한 종류의 상품을 판다는 점과 알리페이, 클라우드 등 여타 서비스와의 연계성이 장점이고, [[핀둬둬]]의 경우 초저가에다 소셜기능이 그들만의 장점이라고 볼 수 있다.] 중국 중부와 동부 해안을 중심으로 촘촘한 물류창고를 구축했다. [[드론|]], [[자율주행 자동차]], [[로봇공학]], [[인공지능]] 등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것도 이러한 원인에서 비롯된다.[* 매출이 막대한 만큼, 마진을 조금만 올릴 수 있다면 엄청난 수준의 현금 흐름이 창출될 수 있기 때문. 다만 자동 물류, 배송, 계산 등은 아직까진 긁히지 않는 복권 수준에 불과한 수준이다. 징동과 마찬가지로 자동화를 통해 마진을 높히려는 아마존닷컴도 해당 신산업에서 장기간 적자를 내는 등 현금흐름에 구멍을 내고 있으며, 2020년대 들어서는 무인매장인 아마존고도 사실상 프로젝트를 폐기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소프트웨어]] 부분이 적극적으로 자동화되는 현상과는 매우 대비되는 추세다.] == 역사 == 본래 오프라인에서 전자제품을 판매하던 업체였으나, 창업 몇 년이 지난 이후 2003년에 중국 전역에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이 퍼지면서 360buy.com을 런칭하며 전자상거래 산업에 본격 진출했다. 2011년 [[상장]] 계획을 발표했다. 2013년 [[도메인]]을 JD.com으로 변경했다. 2014년 5월 [[나스닥]]에 상장하며 17억 8,000만 달러를 조달했다.[[https://www.chinabusinessreview.com/jd-com-exceeds-expectations-on-1-78-billion-nasdaq-listing/|#]] 같은 해 [[텐센트]]가 15% 지분을 취득하며 알리바바의 경쟁사에 힘을 실어 주었다. 2017년 2월 [[월마트]]는 징동의 지분 12.1%를 취득하며, 자사 약점으로 지적되었던 전자상거래 산업을 외부 투자를 통해 채워나가고 있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2020년 3월 [[팬데믹]]이 본격화된 이후 증권시장이 빠르게 회복하는 과정에서 징동도 언택트 수혜를 입으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20년 6월 나스닥에 이어 [[홍콩증권거래소]]에도 2차 상장하며 자금을 조달했다. 2021년 [[코트라]]와 함께 한국산을 모방한 모조품 근절에 대한 협력을 실시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92/0002220188?cds=news_my|#]] 2022년 4월 창업자 류창동이 대표이사 자리에서 퇴임했다. 후임은 총재 겸 리테일 대표이사였던 쉬레이.[[http://www.shanghaibang.com/shanghai/news.php?code=&m=&mode=view&num=65277|#]] eMarketer에 의하면 2022년 중국 전자상거래 점유율은 알리바바(50.8%), 징동(15.9%), 핀둬둬(13.2%) 순서였다. 알리바바를 따라잡기는 커녕, 공격적인 마케팅과 저가 공세를 앞세운 핀둬둬에게 점유율을 차츰 잠식당하는 모습이다.[* 특히 2023년 핀둬둬는 중국의 경기 침체를 틈타 [[테무]]의 저가공세를 앞세워 역대 최고의 질주를 보여줬기 때문에 2023년 기준으로는 점유율 역전도 가능한 상황이 되었다.] 2023년 5월 거듭된 악재들로 인해 쉬레이가 퇴임했으며, 기존 CFO인 샌디 란 쉬가 3대 대표이사로 선임되었다. 재무 분야 전문성을 갖춘 만큼, 비용 절감을 통한 수익성 개선에 공을 들일 것으로 예상된다. 2023년 3분기에는 전년도 동기 대비 상품 부문 매출이 오히려 감소했다. 2023년 12월 18일부로 [[나스닥 지수|나스닥 100]] 종목에서 제외된다. 한 때 [[알리바바 그룹]]의 강력한 경쟁자로 뽑혔으나, 2021년 이후부터는 [[핀둬둬]]한테도 차츰 자리를 내어주며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2021년 초반에 고점을 찍은 뒤 계속해서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2023년 1분기부터 2023년 말까지 주가가 75% 가까이 폭락했다. 중국 당국의 빅테크 때리기, [[미국-중국 무역 전쟁]], 홍콩증권거래소 폭락, 핀둬둬의 급부상, 팬데믹 종식 후 전자상거래 시장 부진, 미국 [[연방준비제도]]발 고금리 고착화, 중국 경기 침체, 개선되지 않는 마진율 등 밑도 끝도 없는 악재들을 연이어 맞고 있기 때문이다.] == 스포츠팀 == [[JDG Intel Esports Club]]: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인 [[JD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QG Reapers]]를 2017 LPL 서머 시즌을 앞두고 징둥닷컴이 인수해 지금의 JD Gaming으로 이름이 변경됐으며, 롤 팀 뿐만이 아니라 [[PUBG: BATTLEGROUNDS|배틀그라운드]] [* 해체], [[리그 오브 레전드: 와일드 리프트|와일드 리프트]] 팀도 창단했다. == 지배구조 == ||
{{{#fff '''주주명'''}}} || {{{#fff '''지분율'''}}} || {{{#fff '''비고'''}}} || || [[텐센트]] || 17.8% || || || 류창동 || 15.1% || || || [[월마트]] || 9.8% || || ||<-3> 2020년 6월 기준 || == 기타 == * 618 쇼핑축제가 열리는 6월 18일은 징둥의 창립기념일이며 대규모 할인행사가 열리는 날이다. 알리바바의 11월 11일과 비슷한 날이라 할 수 있다. * 창립자 류창둥은 무려 21살 연하의 [[칭화대학교]] 출신 밀크티녀로 알려진 장저톈과 결혼했다.[[https://m.segye.com/ampView/20190904506005|#]] 장저톈은 결혼 후 징둥의 복지재단을 총괄하고 있다. [[분류:중국의 기업집단]][[분류:중국의 온라인 쇼핑몰]][[분류:중국의 IT 서비스 운영사]][[분류:1998년 기업]][[분류:나스닥 상장 법인]][[분류:홍콩증권거래소상장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