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FSS_GTM_20170709185923ebd.jpg|width=800]] [[파일:GTM ZAB.jpg|width=800]] '''B型・イービー:ツァラトウストラ・アプターブリンガー''' [목차] == 개요 == || [[이미지:아무튼 둘 다 레드 미라쥬.png|width=100%]] || || [[파이브 스타 스토리|리부트 되기 전]]의 '''[[레드 미라쥬]]'''(右)와 리부트 후의 '''짜라투스트라 아프타 브링어'''(左)[br]설정상 이 둘은 '''동일 기체'''이며, 세계관 개편으로 디자인과 일부 성능만 바뀐 것이다. || [[파이브 스타 스토리]]의 등장 메카닉. [[브링어 시리즈]](리부트 이전의 [[미라쥬 머신|미라쥬 시리즈]]) 중의 하나로, 리부트 이전의 [[레드 미라쥬]]에 해당된다. == 기본 구조 == [[파일:FSS_GTM_2017070918591991a.jpg|width=800]] [[브링어 시리즈]]([[미라쥬 머신]]) 중에서도 'Ausf B형 미라쥬'로 분류되는 [[고딕메이드(파이브 스타 스토리)|고딕메이드(GTM)]]. [[미라쥬 나이트|미라쥬 기사단]]에게만 탑승이 허락된 GTM으로 이름이 길어서 그런지 '''짜라투라 Ap-B'''(ツァラトラAp-B)나 더 줄여서 '''짜라투라'''(ツァラトラ), 혹은 '''Z.A.P.'''이라는 약칭으로도 불린다. 그 자세한 성능이나 정확한 생산수를 알고 있는 이는 거의 없다. 영롱한 [[크리스탈]]처럼 완전히 투명한 [[메트로데카크롬|헬리오스초강]] [[장갑(무기)|장갑]]이 전신을 뒤덮고 있으며 이것은 위치나 상황에 따라 발광하는 스마트 장갑 외피이다. 황제 전용기인 [[마그나 팔레스]](리부트 이전의 [[나이트 오브 골드|더 나이트 오브 골드]])와 마찬가지로 완전히 새로 개발된 [[티틴 프레임]]을 쓰고 있으며 동력계도 신규 개발된 [[이레이져 엔진|하모딕 엔진]]인 하잇센 1014 엔진(八一閃1014エンジン)을 양 다리에 1기씩 탑재하여 다른 GTM을 월등히 능가하는 1,000경 마력의 출력을 갖추었고, 엄청난 파괴력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무장인 [[플라즈마 병기|레일 플라즈마포]] '[[플레임 런처]]'를 달고 3159년 이후 [[조커 성단]]을 위협했다. === 제원 === [[이미지:177f36aab044a9df6.jpg|width=800]] [[https://ruliweb.com/family/211/board/300277/read/2237905|제원 출처]] * 정식 명칭: 짜라투스트라 아프타 브링어 * 성단 등록 형식: Pz-Kpfrbt-케(ケ)-ApB * 형식: 케(ケ)-ApB Mirage B1 미라쥬 B형 * 전고: 26.4m * 중량: 공허중량 231톤, [[전비중량]] 288톤 * 발동기: 하(ハ)-섬(閃) 1014×2 [[이레이져 엔진|양자 변환 엔진]] * 변환기: [[고딕메이드(파이브 스타 스토리)#s-7|폴리스케일 제너레이터]]×4×2 * 최대 마력: 계측 불능. 대략 [[태양계]] 하나 분량의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즉 [[행성]]급 에너지를 넘어서 [[항성]]급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수치로 치환이 불가능.[* [[G형 주계열성]]인 [[태양]]의 [[에너지]]는 10^26 [[와트]]로서 100 요타와트=1십만 제타와트=1백억 페타와트이며, [[카르다쇼프 척도]] 기준 2단계 문명이 태양 정도의 [[항성]]을 동력원으로 삼은 [[다이슨 스피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에너지가 그 정도 된다. 카르다쇼프 척도 기준 2단계 문명이 생산·소모하는 에너지는 대략적으로 이 정도 수준으로 추산되고 있다. 그리고 수치로 치환이 불가능하기에 계측 불능이라는 설정을 고려하면 [[수퍼 이레이져 엔진|트윈 하모딕 엔진]]의 출력은 적어도 이보다 훨씬 더 높은 출력일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일반적인 [[고딕메이드(파이브 스타 스토리)|고딕메이드]]가 사용하는 [[이레이져 엔진|하모딕 엔진]]의 출력이 수천 페타와트 전후라는 점과 비교해보면 정말 엄청난 출력임을 알 수 있기도 하다.] * 생산수: 미공개, 추정 24기. * 프레임 타입: [[티틴 프레임]] * 장갑 * 펄 라미네이트 백색 반투명 3종 헬리오스 쿼츠 결정 성형 장갑(전신) * 백은 라미네이트 슈퍼 크롬 3종 헬리오스 쿼츠(동체, 하부 스커트 등) * 완전 투명 헬리오스 하이퍼 킬티드(두부, 기체 각부 등) * 블랙 사파이어 흑람색 반투명 헬리오스(후두부 벤더 핀, 하각부 앵클 크레인 등) * 고정 무장 * [[거트 블로우]]×4(허리 제3장갑에 내장) 근거리 [[백병전]]용 [[도검]]과 원거리 사격전용 [[플라즈마 병기]]의 기능을 겸하는 멀티 레인지 웨폰. 칼과 라이플을 합친 복합무장으로 전자검(電磁剣)과 전자 라이플(電磁ライフル)의 기능을 함께 갖추고 있어 근거리 백병전에서는 [[칼날]]에 [[플라즈마]]를 [[파워 웨폰|덧씌움으로서]] 보다 강력한 절삭력을 발휘할 수 있는 [[플라즈마 커터|특수한 실검]]으로 쓰고 원거리 사격전에서는 플라즈마를 발사하는 발사무기로 쓰인다. * 30mm 광자 빔 포×4(두부) * 88mm 광학작열포×2(두부) * 240mm S마인 발사구×4×2(각부) * 580mm 우주[[어뢰]]×8(루나 장비시 사용) * 새틀라이트 폴리포닉 빔(두부) [[마그나 팔레스]](리부트 이전의 [[나이트 오브 골드|더 나이트 오브 골드]])에도 채용된 [[빔 병기]]이다. 짜라투스트라 아프타 브링어의 경우에는 두부에 이것을 탑재했다. 짜라투스트라 아프타 브링어의 머리에 달린 한 쌍의 긴 뿔은 이 새틀라이트 폴리포닉 빔의 발사 레일이기도 하다. * 플라이어([[방패]])×2 [[중세]] [[유럽]]의 소형 방패 [[타지]]([[손]]으로 들지 않고 대신 팔뚝에 매달아 둔다던지 하는 식으로 [[팔]]에 걸쳐서 사용하는 형태의 소형 방패)와 비슷한 양식을 취한 방패. 2기 1조로 양 팔에 설치된다. * 외부 무장 * [[플레임 런처]] '인페르노 네이팜'×1 짜라투스트라 아프타 브링어의 주무장으로서 운용되는 [[플라즈마 병기|레일 플라즈마포]]. 첨단부에 [[총검]] 역할을 하는 [[칼날]]이 달려 있기에 마치 [[장창]]처럼 [[백병전]]에도 사용할 수 있다. 기존의 [[화염방사기]]와 마찬가지로 화염을 확산시키며 뿌리는 형태로도 쓸 수 있지만, [[기관포]]와 같은 형태로 [[플라즈마]] 광탄을 연사하는 [[플라즈마 병기|플라즈마 캐논]]으로 쓸 수도 있고 광범위한 지역에 [[낙뢰]]를 떨어뜨리는 식으로도 쓸 수 있다. 작동 원리에 대해서는 트윈 하모딕 엔진에서 방출되는 대전력 에너지를 회전 프랙탈 배럴을 통해 가속, 방출하여 화염을 형성하는 프랙탈 방전포(フラクタル放電砲)라고 설명되고 있다. * 체인 카트리지 [[버스터 런처#s-2]] '마시넨 카논'×1 32연사가 가능한 매거진 방식의 속사형 [[버스터 런처#s-2]]. [[야크트 미라쥬|J형 구축전투병기 그로서 짜라투스트라 데토네이터 브링어]](리부트 이전의 야크트 미라쥬)의 주무장인 체인 카트리지 버스터 런처를 통상적인 사이즈의 고딕메이드가 휴대할 수 있도록 소형화한 것이다. * 내장 비행정: 패신저 셀(후두부에 수납되는 소형 우주정) 우주전 상황에서의 파티마 생존율 향상을 위해 장비된 긴급 탈출용의 소형 우주정이다. * 내장 정찰 로봇 * [[하이파 브링어#s-3|그란 시커]]×2 [[미라쥬 나이트|미라쥬 기사단]]의 특수작전용 [[스텔스]] GTM인 [[하이파 브링어]](리부트 이전의 [[테롤 미라쥬]])에도 채용된 정찰용 스텔스 [[UAV]]. * [[크로스 미라쥬#s-2|비욘드 시커]]×2 [[미라쥬 나이트|미라쥬 기사단]]과 [[고즈 나이트|고즈 기사단]]에서 운용되는 [[A.K.D]]의 주력 GTM인 [[그릿트 브링어]](리부트 이전의 [[크로스 미라쥬#s-2]])에도 채용된 정찰용 [[UAV]]. * 추가 옵션 장비 * 루나 우주공간 고속 이동용의 탈착식 옵션 장비. 벤더 윙을 탈착하고 그 자리에 설치한다. 580mm 우주[[어뢰]]를 8발 적재하고 있는 탈착식 웨폰 컨테이너이기도 하다. 그 크기는 전장 88m로 [[버스터 런처]]를 뗀 상태의 [[야크트 미라쥬|J형 구축전투병기 그로서 짜라투스트라 데토네이터 브링어]]와 동급의 사이즈이고, 무장으로는 상기한 580mm 우주어뢰 8발 이외에도 [[플라즈마]] 배리어 발생기와 1800mm 버스터 런처 1문·30mm [[비랄케마]] [[레이저포|레이저 기관포]] 3문·37mm 펄스 빔 포 2문을 탑재하고 있다. 자세한 설명은 밑에서 후술. * 헤비트 [[비랄케마]] 고딕메이드용 [[비랄케마]] [[레이저포|레이저 기관포]]. [[야크트 미라쥬|J형 구축전투병기 그로서 짜라투스트라 데토네이터 브링어]]의 서포트를 위한 보조화기로서 사용된다. == 변칙적인 장비와 무장 == [[파일:FSS_GTM_168ceee46854a9df6_0.jpg|width=600]] 메인 프레임이 [[다리(신체)|다리]]를 통과하는 다른 GTM에서는 찾아 보기 힘든 특수한 구조 때문에, [[엔진]]의 방열과 [[플레임 런처]]의 [[반동]] 억제에 쓰이고 있는 발뒤꿈치에서 뒤로 늘어나는 앵클 크레인(アンクルクレーン) 같은 특이한 설비가 붙어있고 엉뚱하게도 다리에 튀어나온 2개의 플라즈마 런처의 튠 혼(チェーンホーン)과 그 뒤에 헤드백 헤일로(ヘッドバック・ハロ), 잉여 [[에너지]]를 방출하는 거대한 후두부의 냉각장치와 등 뒤로 드리운 드레인 케이프(ドレイン・ケープ)인 벤더 윙(ベンダー・ウィグ), [[허리]] 뒤로 늘어뜨린 방전 시스템인 스태틱 롱 테일(スタティック・ロングテール) 같은 낯선 장비들이 매우 특징적이다. == 앵클 크레인 == 트윈 엔진 탑재형의 브링어 시리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수 장비가 곧 앵클 크레인이다. 발 뒤꿈치 부분에서 늘어뜨린 4개의 [[꼬리]]와도 같은 형태를 한 부품인데, 각 마디마다 [[칼날]]처럼 날카로운 [[발톱]]이 달려 있다. [[다리(신체)|다리]] 속에 수납된 [[엔진]]의 [[냉각기]] 역할과 [[버스터 런처]]나 [[플레임 런처]] 같은 옵션 무장을 사용할 때의 반동을 억제시켜주는 [[주퇴복좌기|제퇴기]]의 역할을 겸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다리의 스윙 관절과 일체화되어 있다. 필요하다면 분리도 가능하지만, 양 다리의 엔진을 모두 작동하는데는 필수적인 부품이어서 그럴 일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가장 길게 늘이면 GTM의 키와 맞먹을 만큼 길어서 첫눈에 보면 [[전투]]는 고사하고 걷기에도 거추장스러울 것으로 보이지만 기체의 동작을 절대 방해하지 않고 서로 간섭되지도 않도록 부유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쓰지 않을 때는 길이를 줄여 발뒤꿈치에서 위 정도로 단축시킬 수도 있는 이 부품은 다른 GTM에서는 보이지 않는 괴상한 부품이다. [[이미지:18d83f5738d4a9df6.jpg|width=800]] 앵클 크레인 자체가 딱 봐도 기체의 가동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는 부품이라서 그런 것인지, 상황에 따라서는 아예 앵클 크레인을 탈거하고서 기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콜러스-하구다 전쟁 당시에 실전 시험을 위해 투입되었을 때에는 이렇게 앵클 크레인을 탈거한 경장 사양으로 출격했었다고 한다. [[버스터 런처]]나 [[플레임 런처]]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그 반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앵클 크레인 역시 불필요했기 때문인 듯 하다. 다만 앵클 크레인을 탈거한 상태에서는 그만큼 기체의 냉각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이러한 경장 사양으로 출격할 시에는 쌍발 엔진 중 하나를 정지시키고 하나의 엔진만으로 기체를 가동시키게 된다고 한다. 앵클 크레인이 없는 상태에서 쌍발 엔진을 모두 가동시키면 기체가 발열을 견디지 못하고 녹아내릴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 멀티웨이 암 바이패스 == GTM의 키를 훨씬 넘기는 장대하고 무거운 [[플레임 런처]]와 짜라투스트라 본체를 연결시켜주는 2개의 파이프이다. 멀티웨이 암 바이패스(マルチウェイ・アーム・バイパス)는 본체 [[어깨]]에 있는 하모이드 에너지 바이패스와 직결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플라즈마]] 챔버로 보내게 된다. 이 바이패스 자체가 플레임 런처의 포가를 겸하기 때문에 짜라투스트라는 플레임 런처를 사격할 때 양팔을 쓸 필요가 없으며 자유로운 [[팔]]에는 [[거트 블로우]] 같은 다른 무기를 들고 공격의 범위를 확장하거나 근접 방어에 쓸 수 있게 되었다. == 루나 아인하이트 == [[이미지:18b1f429a3f4a9df6.jpg|width=800]] [[https://bbs.ruliweb.com/family/212/board/300277/read/2319052|제원 출처]] 리부트 이전의 [[레드 미라쥬]] 시절부터 '루나 유닛'이란 이름으로 그 존재가 설정되어 있었던 우주공간 고속 이동용의 탈착식 옵션 장비. 벤더 윙을 탈착하고 그 자리에 설치한다. 580mm 우주[[어뢰]]를 8발 적재하고 있는 탈착식 웨폰 컨테이너이기도 하다. 설계자는 [[스토이 워너]] 박사. 여러모로 [[건담 시작 3호기|건담 시작 3호기 덴드로비움]]을 연상시키는 괴악한 구조의 장비로서, 짜라투스트라 아프타 브링어 본체가 스테이멘에 해당된다 한다면 그 후방에 도킹되는 루나 아인하이트는 오키스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그 크기는 전장 88m로 [[버스터 런처]]를 뗀 상태의 [[야크트 미라쥬|J형 구축전투병기 그로서 짜라투스트라 데토네이터 브링어]]와 동급의 사이즈이고, 무장으로는 상기한 580mm 우주[[어뢰]] 8발 이외에도 [[플라즈마]] 배리어 발생기와 1800mm 버스터 런처 1문·30mm [[비랄케마]] [[레이저포|레이저 기관포]] 3문·37mm 펄스 빔 포 2문을 탑재하고 있다. 상술한 플라즈마 배리어와 1800mm 버스터 런처를 이용하여 [[소행성]]이라던가 [[우주쓰레기]] 같은 각종 장애물을 강제로 배제하면서 우주공간에서의 초고속 이동을 실시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여 설계되었다고 한다. 버스터 런처를 고작 장애물 배제라는 소박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한 비상식적인 컨셉의 설계. 작가의 해설에 따르면 짜라투스트라 아프타 브링어 본체와 대기권 비행용 보조 유닛인 '부메랑 아인하이트(이것도 리부트 이전의 [[레드 미라쥬]] 시절부터 '부메랑 유닛'이란 이름으로 있어 왔던 물건이다. 레드 미라쥬의 모형에 [[플레임 런처]]의 연료탱크과 함께 흔히 부속되곤 했던 그 비행용 백팩이다. 플레임 런처의 연료탱크가 리부트 이후 삭제되면서 같이 없어진 줄 알았는데 의외로 설정이 살아 남았다?)', 그리고 공간 고속 이동 모듈인 이 '루나 아인하이트'가 3단 합체를 하는 구조라고 한다. '스트라이퍼 시스템(ストライパー・システム : Stryper System)'을 통해 파티마가 총 7기의 [[이레이져 엔진|하모딕 엔진]]을 동시 연계 제어하는 것을 통해 기동하여, [[플라즈마]] 배리어와 [[버스터 런처]]를 이용해 장애물을 제거하면서 고속으로 전진하는 동안 날개 아래에 매달려 수납된 파티마 제어 [[UAV]]인 3기의 '수반 방위 모듈'이 적의 전함이나 우주전투기 등을 상대하는 식으로 교전을 행하며, 위성궤도상에서 궤도 강하를 통해 전장 한복판으로 강습하여 짜라투스트라 아프타 브링어 본체를 분리시켜 지상전에 돌입시킬 수 있다고 한다. 짜라투스트라 아프타 브링어의 [[조커 성단]]에서의 마지막 출격인 성단력 4100년까지 이 장비도 계속 운용되었다고 작가가 설정을 달아 놓았다. 또한 [[미라쥬 나이트]]에 배치된 [[게이트 시온 마크2]]인 Ssw형 미라쥬 스피드 브링어 마크2는 우주전 상황에서 루나 아인하이트를 장비한 상태로 활동하는 짜라투스트라 아프타 브링어를 엄호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된다고 설정되었다. == 기타 장비 == [[파일:FSS_GTM_tumblr_pa3erhjBuH1v7ii0so2_r1_1280.jpg|width=600]] 머리의 뿔인 튠 혼은 척수에서부터 뻗어나온 척주 두 개의 연장으로 보통은 뒤로 접어서 수납되지만 위력적인 [[빔 병기]]인 '새틀라이트 폴리포닉 빔'의 발사 레일도 겸한다. 거추장스러워 보이는 벤더 윙은 테스트 중에도 [[에너지]]가 남아돌아 방열이 따라잡지 못해 헬리오스 장갑을 녹여버리는 일이 많아서 임시방편으로 [[야크트 미라쥬|아마테라스 가문 J형 구축전투병기 그로서 짜라투스트라 데토네이터 브링어]]에 장비된 트윈 버스터포의 방열 [[망토]]를 적당한 크기로 잘라붙이고 방전 벤트를 머리 뒤에 붙여 나간 결과가 이것이다. 문제는 이 여파로 AF가 들어갈 해치가 그만 막혀버려서 지적받고 새로 뚫었다는 뒷 이야기가 있다. 한편 이 벤더 윙은 우주전 상황에서는 우주용 추진장치로서도 사용되며, 따라서 상기한 루나 아인하이트를 장비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우주전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해준다고 설정되어 있다. 이 GTM은 성단 사상 가장 거대한 [[휴머노이드|인간형]] 병기인 [[야크트 미라쥬|J형 구축전투병기 그로서 짜라투스트라 데토네이터 브링어]](J型駆逐戦闘兵器)와 동일한 출력을 갖고 있다. 그러나 지휘기인 [[마그나 팔레스]]처럼 [[버스터 런처#s-2]]를 기본으로 장비하지는 않고 있는데, 매거진 방식의 버스터 포인 체인 카트리지(チェーンカートリッジ) 버스터 런처는 장비와 운용이 가능하다. 여러 [[파티마(파이브 스타 스토리)|파티마]]가 병렬 제어하는 [[스트라이퍼]] 시스템(ストライパー・システム : Stryper System)에 의해 주체하기 어려울 정도로 넘쳐나는 거대한 출력을 통제하고 있는데, 파티마라 할지라도 완전히 콘트롤하기 어려운 집단 전투를 전제로 제작된 GTM이다. 그러나 초노급(超弩級)~~원문 표현대로 옮겼다;;;~~ 파티마라면 단기를 기동시키는 것은 가능한데, 이 GTM이 [[일기토]]를 벌인 적은 3960년에 벌어진 대 [[다카스 더 블랙 나이트|다카스]] 전투 뿐이라고 한다. 성단력 4100년까지 불과 7회밖에 출격하지 않았다. == 일련 번호 == 탑승하는 미라쥬 기사의 넘버나 기체의 시리얼 넘버와는 관계가 없다. 2018년의 설정으로는 총 31기의 Z.A.P.가 확인되고 있다. || 넘버 || 탑승자 || 비고 || || A || || 미라쥬 에이스 넘버 및 [[천조가]] 사용 || || I || [[레오팔트 크리사리스]]/[[타워]] || 원래는 [[샤프트(파이브 스타 스토리)|버글 데 라이쳐]] 기 || || II || [[크로클 하만]]/[[벨벳 와이즈멜]] || 원래는 [[베스터 오비트]] 기 || || III || [[아이샤 코단테]]/루트 코단테 || || || IIII || [[디퍼 드롭스]] 담당 || Z.A.P. AAR[*a Z.A.P. AAR은 [[야크트 미라쥬|J형구축전투병기]]의 호위 전용의 B형 미라쥬로 2기가 제작되었음. 담당자는 고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그때 그때 미라쥬 기사가 사용.] || || V || [[스펙터(파이브 스타 스토리)|스펙터]] || 출격 전에 굴러서 대파. 부순 것은 [[포터]]. 이후 복원됨 || || VI || [[스테이트발로 카이다]]/새트바이 슈레스콜할 || || || VII || [[휴즈레스 칼리]] 담당 || Z.A.P. AAR[*a] || || VIII || [[로그너]]/[[사리온]] || 대장기. 이카즈치마루 4번. || || VIIII || 스펙터 예비기였지만 [[쿄로기]]에게 빼앗김 || 원래는 [[스파크(파이브 스타 스토리)|스파크]] 기 || || X || [[우랏첸 지이]]/욧헨머 피스토치 || 원래는 [[에이드리안 타크]] 기 || || XI || [[파날 엑스]]/[[아라트 엑스]] || [[리이 엑스]]로부터 물려받음 || || XII || [[에이브 로우]] || 원래는 [[포에쉐 노민]] 기 || || XIII || [[시트론 메나]] || 원래는 [[샤리 랜더스]] 기 || || XIIII || [[이마라 로우트 쟈쟈스]] || || || XV || [[바이즈비즈]] || 원래는 뵤튼 코라라 기. 파티마는 동일(스파르타) || || XVI || [[미샬 하 룬]]/헬트바드 고드라 || || || XVII || [[욘 바인첼]]/파고너 헬버드 || || || XVIII || [[유고 마우저|와스펜 크랙]] || 원래는 [[틴 바이아]] 기. 파티마는 동일([[베르다]]) || || XVIIII || [[맥시멈 할트포라스]] || [[브링어 B4-2|특별기 데스트니아스]]. Z.A.P.가 아님 || || XX || [[바나 렌다우드]] || 원래는 [[누 소드 그라파이트]] 기. 파티마는 동일([[파시테아]]) || || XXI || [[아렌 브래포드]] || || || XXII || [[뮤리 킨키]] || || || XXIII || [[랜드앤드 스파콘]]/[[스토이 워너|엘디아이 츠반츠히]] || || || XXIIII || [[메이저 브로즈]]/터스트와이트 포렛 || || || XXV || [[매드라 모이라이]] || || || XXVI || [[큐키|큐키 잔다 리츠코]] || || || XXVII || [[스토이 워너|엘디아이 츠반츠히]] || [[스피드 미라쥬|우라소닉]]. Z.A.P.가 아님 || || XXVIII || 킷드 오샨 || || || XXVIIII || 메로우 크리사리스 || || || XXX || [[우피조나 바덴버그]] || || || XXXI || [[타워]] || [[디 카이제린|제노아 아프타 브링어]]. Z.A.P.가 아님 || || XXXII || [[카렐 크리사리스]] || 1권 시작에 나온 그 기체 || || XXXIII || [[아라트 엑스]] || [[스피드 미라쥬|스카이아기프트]]. Z.A.P.가 아님 || || XXXIIII || [[로그너]] || 대장기. 이카즈치마루 6번. [[리터 제트|파열의 인형]]. Z.A.P.가 아님 || || XXXV || 레이디 스펙터 || || == 여담 == [[레드 미라쥬]]라는 [[모터헤드(파이브 스타 스토리)|모터헤드]] 자체가 작품 내적으로는 [[드래곤 네이쳐]]의 정점에 서는 존재인 레드 드래곤을 모티브로 디자인된 모터헤드라는 설정이 언급되는 등, 레드 미라쥬는 리부트 이전 시절부터 여러모로 [[드래곤]]을 의식한 부분이 적지 않게 있었던 존재였다. 그래서인지 작중에선 [[보드 뷰라드]]가 레드 미라쥬를 보면서 마치 드래곤같다고 평하는 장면도 있었는데, 리부트 이후의 짜라투스트라 아프타 브링어에 와서는 아예 전체적인 형상 자체가 드래곤을 연상시키는 위압적이면서도 몹시 기괴한 모습이 되었다. 여러모로 인간형과는 꽤 동떨어진 모습. 리부트 이전의 레드 미라쥬의 설정을 계승한 부분이라 보면 이상할 것은 없기는 하다. 작가인 [[나가노 마모루]]의 회고에 의하면 의외롭게도 짜라투스트라 아프타 브링어는 [[꽃의 시녀 고딕메이드]]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디 카이제린]]과 더불어 [[고딕메이드(파이브 스타 스토리)|고딕메이드]] 중에서도 가장 초창기에 디자인된 기종이었다고 한다. 가장 화려하고 복잡한 디자인의 고딕메이드로서 짜라투스트라 아프타 브링어를 디자인하고, 이와 대비되는 심플한 디자인의 고딕메이드로서 디 카이제린을 디자인했으며, 이 둘의 디자인이 완성된 이후부터 여러 다른 고딕메이드들을 디자인하는 식으로 작업을 진행했었다고 한다. 리부트 이전부터 레진 킷, 프라모델을 만들어 온 [[보크스]]에서 HSGK (High Spec Garage Kit)로 발매했다. 전고 36.1cm, 테일부를 포함한 길이 83.1cm이라는 대형 사이즈로, 가격은 보크스 모델 역대 최고가인 168,000엔(세금포함 184,800엔) 이다. [[분류:파이브 스타 스토리/고딕메이드]] [include(틀:포크됨2, title=짜라투스트라 아프타 브링어, d=2023-02-06 22:1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