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다리(신체)]][[분류:발]][[분류:근육]] [include(틀:근육)] ||||
{{{#ffffff ''' ''peroneus brevis'' '''}}}[br]{{{#ffffff ''' ''(짧은종아리근, 단비골근)'' '''}}} || |||| [[파일:종아리가쪽칸.jpg|width=100%]][* 긴종아리근과 짧은종아리근이 가쪽칸에 위치한다는 걸 주목하자. 짧은종아리근 일부가 긴종아리근에 덮여 있다.] || || 이는 곳[br](origin) || 종아리뼈 가쪽면[br](lateral surface of fibula) || || 닿는 곳[br](insertion) || 다섯째발허리뼈바닥[br](5th metatarsal bone) || || 동맥[br](artery) || 종아리동맥의 관통가지[br](perforating branches of peroneal artery) || || 신경[br](nerve) || 얕은종아리신경[br](superficial peroneal nerve) || || 기능[br](action) || 발의 발바닥굽힘, 가쪽들림[br](plantar flexion, eversion of foot) || [목차] [clearfix] == 개요 == 짧은종아리근(peroneus brevis muscle)은 종아리 가쪽칸(lateral compartment)에 위치하는 두 근육 중 하나로, [[긴종아리근]]의 깊은쪽에 존재하므로 짧은종아리근 일부는 종아리 밑쪽에서 긴종아리근에 덮여 보이지 않게 된다. 개정 전 이름은 단비골근([[短]][[腓]][[骨]][[筋]])[* [[짧을 단]], [[장딴지 비]], [[뼈 골]], [[힘줄 근]].]. == 구조 == 모양만 보면 전형적인 방추형 근육(fusiform muscle)이다. 긴종아리근이 종아리뼈 위쪽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몸쪽정강종아리관절]](proximal tibioulnar joint)의 [[정강뼈]] 가쪽관절융기(lateral condyle of tibia)에도 붙는 것과는 다르게, 짧은종아리근의 이는곳은 대략 종아리뼈 가쪽면의 밑쪽 2/3를 차지한다. 따라서 정강뼈 관절융기에 붙거나 하지는 않는다. 다만 역시 근처에 있는 근육사이막(intermuscular septum)에는 달라붙어서 일어난다. 또한, 긴종아리근 힘줄은 가쪽에서 안쪽으로 [[발바닥]]을 가로지르고 발 안쪽에 닿지만, 짧은종아리근은 비교적 정상적으로 종아리 가쪽을 똑바로 주행하여 마찬가지로 발의 가쪽인 다섯째발허리뼈(5th metatarsal bone) 바닥 가쪽면에 닿는다. 지배 신경이나 분포 동맥은 긴종아리근과 똑같아 표와 같다. 짧은종아리근이 종아리 밑쪽에 존재하므로 종아리 가쪽칸의 위쪽에 혈액을 공급하는 앞정강동맥의 관통가지(perforating branch of anterior tibial a.)는 이 근육에는 거의 혈액을 공급하지 않는다. == 기능 == 발의 발바닥굽힘(plantar flexion)과 가쪽들림(eversion)에 관여한다. 발의 가쪽들림에 관여한다는 것은 상당히 중요한 내용이다. 왜냐하면 사람이 보통 [[발목]]을 삐는 것은 발바닥이 안쪽(정중면[* 몸을 정확히 좌우대칭으로 나누는 가상의 면을 상상하면 된다.])을 향하게 발이 돌아갔을 때, 즉 안쪽들림(inversion)이 일어났을 때이기 때문이다. 긴종아리근과 짧은종아리근은 이런 안쪽들림에 대한 [[대항근]](antagonist) 역할을 하여서 사람이 서 있거나 보행 중일 때 발목을 보호하고, 사람이 한 발로만 서 있을 때 안쪽들림으로 인해 발목이 삐고 넘어지는 것을 막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