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짱 ''' }}} (1998) [br] The Best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ttachment/짱/짱.jpg|width=100%]]}}} || || '''장르''' ||[[느와르]], [[드라마]], [[액션]], [[코미디]] || || '''감독''' ||양윤호 || || '''각본''' ||박계옥 || || '''제작''' ||이혁기[br]한성구[br]최성식[br]최성수 || || '''출연''' ||[[차인표]][br][[송윤아]][br][[홍경인]][br][[장혁]][br][[양동근]][br][[김민정(1982)|김민정]] || || '''투자''' ||양재혁 || || '''연출''' ||이종인 || || '''촬영''' ||김윤수 || || '''조명''' ||최성원 || || '''동시녹음''' ||유대현 || || '''미술''' ||강승용 || || '''세트''' ||윤기찬 || || '''소품''' ||이일균 || || '''의상''' ||전홍주 || || '''편집''' ||김현 || || '''음악''' ||최만식 || || '''액션''' ||권성환 || || '''특수효과''' ||정도안 || || '''음악''' ||최만식 || || '''제작사''' ||[[https://www.kobis.or.kr/kobis/mobile/mast/comp/searchCompanyDtl.do?companyCd=20100496| {{{#000,#fff 삼부 파이낸스 엔터테인먼트}}}]] || || '''배급사''' ||[[20세기 스튜디오 코리아|20세기 폭스 코리아]] || ||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998년]] [[11월 28일]] || || '''화면비''' ||2.35:1 || || '''상영 타입''' ||필름 || || '''상영 시간''' ||90분 (1시간 47분) || || '''총 관객 수''' ||'''51,247명''' ^^(서울 기준)^^ || || '''스트리밍''' ||[[디즈니+|[[파일:Disney+ 로고.svg|width=70]]]] (예정) || || '''상영 등급'''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1998년 양윤호 감독의 한국 영화. [[차인표]], [[송윤아]], [[장혁]], [[홍경인]], [[양동근]] 등이 출연했다. 장르는 [[학원액션물|학교폭력물]]. [[캐치프레이즈]]가 '''[[여러분 이거 다 거짓말인 거 아시죠|아름다운 혁명]]'''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t9dadueT8f4)]}}} || || '''메인 예고편''' || == 시놉시스 == >영생 고등학교 3학년 10반, 문제반으로 낙인 찍힌 이 반에 새로운 담임 황기풍(차인표)이 부임한다. 전혀 다른 교사와는 어울리지 않고 기본적인 소양마저 갖추지 못한 그는 문제아들은 문제교사로 다스린다는 학교측의 묘책에 부합한 인물이다. > >아이들은 생소한 그를 받아들이려 하지 않지만 황기풍의 애정을 느끼고 차츰 그를 인정하기 시작한다. 황기풍은 이름뿐이던 밴드부를 부활시켜 여러 가지 이유로 정착하지 못하는 아이들을 참가시키고 학교측과 폭력배들의 방해에도 불구하고 <전국 고교밴드 콩쿨>에 참가시키는데... == 등장인물 == * [[차인표]]: 황기풍 역 * [[송윤아]]: 송나영 역 * [[홍경인]]: 나기찬 역 * [[서태화]]: 학생주임 역 * [[장혁]]: 임세빈 역 * 조한준: 왕수 역 * [[박용식]]: 교감 역 * 임세호: 대끼리 역 * [[양동근]]: 양종구 역 * [[이영준]]: 명수 역 * [[임채홍]]: 철구 역 * [[박은혜]]: 유해리 역 * 노행철: 떠버리 역 * [[김민정(1982)|김민정]]: 반장 역 * [[고은영]]: 호경 역 * [[조한준]]: 왕수 역 * 이인섭: 망치 역 * [[김승현]]: 뺀질이 역 * [[김준희]]: 이상미 역 * [[강래연]]: 7공주 역 * [[홍주희]]: 7공주 역 * 홍은영: 7공주 역 * 정유미: 7공주 역 * [[이은영]]: 7공주 역 * [[김경애]]: 기찬 모 역 * 정성갑: 기찬 부 역 * 박소정: 호경 역 === 특별출연 === * [[임주완]] * [[서갑숙]] * [[정흥채]] * [[유퉁]] * 김윤형 * 유병한 * 홍우래 * 김용선 * 고구려 * [[야다(밴드)|야다]] == OST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aUzAytW-UY)]}}} || == 평가 == [include(틀:평가/IMDb, code=tt0293721, user=5.8)]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the-best-1998, user=XX)]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51741, user=XX)] [include(틀:평가/왓챠, code=mWLGXj5, user=2.3)]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45781, light=0, star=1.6)]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9455, user=7.37)]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76, user=7.8)] [include(틀:평가/TMDB, code=349238, user=95)] [include(틀:평가/씨네21, code=6707, expert=XX, user=6.57)] [include(틀:평가/맥스무비, code=M000000008, user=6.56)] == 기타 == * 개봉하기 약 2년전 국내에서 일본만화 [[GTO(만화)|GTO]]를 원작으로 한 영화를 준비중이며, 주연배우로는 차인표를 예정하고 있다는 기사가 주간만화잡지인 '[[찬스#s-2]]'에서 나온 적이 있다. 그로부터 몇년간 소식이 뜸하다가 갑자기 개봉한 '차인표가 교사로 등장하는 영화'가 바로 이것이다. * 개봉 당시 [[노이즈 마케팅|논란작이 되었는데]], 각계각층에서는 [[아전인수]]식으로 이 영화를 해석하는데 혈안이 되었다. 학교측에서는 [[일진|문제아]]들의 악행을 강조했고 인권단체 측에서는 폭압적인 교육방식을 비판하기에 바빴고 [[운동권]]에서는 교육계의 부조리를 집중적으로 조명하기에 바빴다. 당시에는 그래도 괜찮은 작품 취급이'''었'''다. 왜냐하면 교육계의 부조리는 치맛바람의 영향으로 묵인시 되는 분위기였고, 결정적으로 '''[[일진]]들의 원색적인 [[범죄]] 행위는 인구에 거론조차 안되는 시기였기에''' [[감성팔이]]식 [[신파극]]이 먹혀들어갈 만한 여건이 지금보다 좋았기 때문이다. * 또한 강제적 야간자율학습이나 학생인권억압이 만연했던 시절이라, 문제아들을 미화하는 영화라는 비판을 받는데도 불구하고 호평을 받은 점 또한 있다. * 하지만 아무리 메시지를 좋게 보더라도 영화적인 수준은 이게 혹시 중학생들이 각본을 쓴 것은 아닐지 의심이 들 정도다. 특히 마지막 콩쿨 장면에서는 답이 안나올 정도인데... 영생고등학교(주인공 일행들의 학교)가 등장하자마자 관객들이 한 목소리로 "꺼져"를 외치다가, 갑자기 양동근이 프리스타일 랩을 하자 관객들이 경청을 하기 시작하고, 공연을 시작하니 빨강노랑파랑 등등 형형색색의 조명이 번쩍번쩍하고, 주인공일행들의 영생고등학교 공연이 끝나자 마치 약속이라도 한것처럼 모든 관객이 한 목소리로 "영생짱" 외친다든지,[* "영생짱"을 외칠때 모든 관객들이 오른손으로 엄지를 세워서 "영생"에서 팔꿈치를 접고, "짱"에서 팔꿈치를 펴서 손을 내밀며 "영생짱"을 외친다. 박수를 치거나 환호성을 지르는 사람이 단 한명도 없이 모두가 그렇게 하는 걸보니 관객들이 미리 연습이라도 했나보다. 그 와중에 관객들의 표정이 말 그대로 무념무상.] 공연 후 갑자기 홍경인의 관객들에게 마이크도 없이 이야기를 하는데 그게 공연장에 있는 사람들이 전부 들을 수 있을만큼 목소리가 크게 들린다든지, 그 이야기가 끝나마자마 뜬금없이 노래를 시작하는데 갑자기 반주가 깔리고 주인공일행들이 그동안 연습도 한적 없는 합창을 시작한다든지 (....) * 15년 후 [[SBS]]의 프로그램 [[송포유]]의 선배격이라 할 수 있는 영화다. '''당연히 문제점도 동일하다.''' 차이점은 단 두 가지. 영화냐 실화냐(...), [[배우|프로]]냐 [[아마추어]]냐(...), 단편이냐 장편이냐[* 만일 송포유에 논란이 없었다면 계속해서 롱런할 개연성도 존재했다.]가 전부다(...). ~~차라리 [[최민수]]가 선생역을 맡았으면 [[품행제로(해피 선데이)|웃기기라도 했겠지]]...~~ * 또한 이 영화는 [[박은혜]], [[강래연]]의 데뷔작이며 [[장혁]]에게는 영화로서의 데뷔작이다. * 이 영화에 출연했던 [[양동근]]은 극 중에서 노래실력을 보여줌으로서 3년 뒤인 2001년에 랩퍼로서 데뷔하며 가수활동과 연기활동을 병행하게 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짱, version=59)] [[분류:1998년 영화]][[분류:한국의 느와르 영화]][[분류:한국의 드라마 영화]][[분류:학원액션 영화]][[분류:한국의 코미디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