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미국 함선)]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DG-2 찰스 F. 애덤스.jpg|width=100%]]}}} || |||| '''{{{#fff DDG-2 찰스 F. 애덤스,,(1960.08.31),,}}}'''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DG-3 존 킹.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DG-4 로렌스.jpg|width=100%]]}}} || || '''{{{#fff DDG-3 존 킹,,(1983.01.01),,}}}''' || '''{{{#fff DDG-4 로렌스,,(1973.05.03),,}}}''' || 찰스 F. 애덤스급은 29척 건조된 [[미국 해군]]의 방공용 [[구축함]]으로, 함급의 유래는 제44대 [[해군부]] 장관 [[https://en.wikipedia.org/wiki/Charles_Francis_Adams_III|찰스 프란시스 애덤스 3세(Charles Francis Adams III)]]다. [[미국]] 최후의 증기 터빈 추진식 구축함이며 이후 [[스프루언스급 구축함]]부터는 모두 가스 터빈으로 바뀌었다. 쿠바 봉쇄조치와 [[베트남 전쟁]]에 참가하였다. 미국에서는 레이건 정권 때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이 완성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의 등장으로 퇴역하였다. [[독일 해군]]에서는 [[작센급]], [[호주 해군]]에서는 [[호바트급]]으로 대체되었다. [[SM-1]]과 [[하푼]] 대함미사일을 사용한다. 뤼첸스급은 개수되어 [[RIM-116 RAM]]이 장착된다. == 제원 == ||<-3> {{{#fff {{{+1 '''찰스 F. 애덤스급 구축함'''}}}[br]''Charles F. Adams-class destroyer''}}} || ||<-2> '''이전급''' ||[[패러것급 방공구축함|패러것급]] || ||<-2> '''다음급''' ||[[스프루언스급]] || ||<-2> '''표준배수량''' ||3,277톤 || ||<-2> '''만재배수량''' ||4,526톤 || ||<-2> '''전장''' ||133미터 || ||<-2> '''전폭''' ||14미터 || ||<-2> '''흘수''' ||4.6미터 || ||<-2> '''승조원''' ||310 ~ 333명 || ||<-2> '''최고 속력''' ||33노트 (약 61km/h) || ||<-2> '''항속거리''' ||20노트 (약 37km/h)에서 8,300km || ||<|2> '''동력''' || '''증기 터빈''' ||2축 [[프로펠러]] 결합식 × 2기 (총 70,000SHP) || || '''보일러''' ||1,275PSI급 × 4기 || ||<|5> '''전자 장비''' || '''대함 레이더''' ||AN/SPS-10 || || '''대공 레이더''' ||AN/SPS-37[br]AN/SPS-39[*3차원식] || || '''미사일 통제장치''' ||AN/SPG-51 × 2기 || || '''함포 통제장치''' ||AN/SPG-53 || || '''소나''' ||AN/SQS-23 || ||<|6> '''무장''' || '''미사일 발사대''' ||Mk.11 × 1문[* DDG-2부터 DDG-14][br]Mk.13 × 1문[* DDG-15부터 24] || || '''대함 미사일''' ||[[하푼]] || || '''대공 미사일''' ||[[RIM-24 타터]] → [[SM-1|RIM-66]] || || '''대잠 미사일''' ||[[RUR-5 ASROC]] 발사대 × 1문 || || '''어뢰 발사관''' ||330mm급 × 4문[br]324mm급 × 6문 || || '''함포''' ||5인치 54구경장 Mk.42 × 2문 || == 파생형 == === [[독일 해군]]의 [[뤼첸스급 구축함|뤼첸스급]]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뤼첸스급 구축함)] 뤼첸스급 3척의 함명은 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군의 육해공군 명장들인 [[에르빈 롬멜]], [[귄터 뤼첸스]], [[베르너 묄더스]]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허나 진보진영으로부터 격한 반발을 불러왔고, 그후로 구 서독-현 독일 해군에서는 함명으로 지명만을 사용한다. === [[호주 해군]]의 [[퍼스급 구축함|퍼스급]]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퍼스급 구축함)] === [[그리스 해군]]의 키몬급 === 4척을 받아 키몬급 (Kimon-class)으로 명명했다.[* [[그리스 해군]]은 [[독일 해군]]이 운용했던 [[플레처급]]인 [[체르슈퇴러 1급 구축함|체르슈퇴러 1급]]도 키몬급으로 명명했다.] == 기타 == 찰스 F. 애덤스급의 함명 중에서는 특이하게도 '''[[남부연합]]''' 해군의 인물에서 따온 함선들이 다수 존재한다. * 13번함 [[https://en.wikipedia.org/wiki/USS_Buchanan_(DDG-14)|뷰캐넌]]-[[https://en.wikipedia.org/wiki/Franklin_Buchanan|프랭클린 뷰캐넌]] 남부연합 해군 제독. 미국 역사상 최초의 철갑선 전투인 [[https://en.wikipedia.org/wiki/Battle_of_Hampton_Roads|햄프턴 로드 전투]]에서 남부 측 철갑함인 [[https://en.wikipedia.org/wiki/CSS_Virginia|CSS 버지니아]]의 함장을 역임했다. DDG-14 뷰캐넌은 2000년 림팩에서 표적함으로서 함생을 마쳤는데, 헬파이어 3발, 하푼 3발, 2400파운드 레이저 유도 폭탄 한 발을 맞고도 침몰하지 않았다. 끝장내려고 잠수함이 어뢰를 쐈는데 공교롭게도 어뢰까지 불발이 났고. 결국 EOD 팀이 200파운드의 폭약으로 폭파 공작을 해서 간신히 가라앉혔다고. * 17번함 [[https://en.wikipedia.org/wiki/USS_Semmes_(DDG-18)|샘즈]]-[[https://en.wikipedia.org/wiki/Raphael_Semmes|라파엘 샘즈]] 제독. 남북전쟁 당시 [[사략선]] [[https://en.wikipedia.org/wiki/CSS_Alabama|CSS 앨러배마]]의 함장으로써 65척의 북부 상선들을 나포, 격침하는 전공을 새웠다.[* 남부 해군의 사략선 중 전공 1위에 해당한다.] * 18번함 [[https://en.wikipedia.org/wiki/USS_Tattnall_(DDG-19)|태트널]]-[[https://en.wikipedia.org/wiki/Josiah_Tattnall_III|호사이아 태트널]] 제독. [[미 해군]]에 몸담고 있을 시절에는 [[제2차 아편전쟁]]에 참전하기도 하고 [[후쿠자와 유키치]], [[존 만지로]] 등의 [[에도 막부]] 사절단이 미국을 방문할 당시 호위 임무를 담당하기도 했다. 허나 남부 해군에 합류한 이후로는 별다른 공적이 없다. * 23번함 [[https://en.wikipedia.org/wiki/USS_Waddell|워델]]-[[https://en.wikipedia.org/wiki/James_Iredell_Waddell|제임스 I. 워델]] 중령. 위의 셈즈 함장과 마찬가지로 남부연합 해군 [[사략선]]인 [[https://en.wikipedia.org/wiki/CSS_Shenandoah|CSS 셰넌도어]]의 함장을 역임했다. 40여척의 북부 [[포경선]]을 집중적으로 격침하고 나포한 포경선 킬러. == 대중매체에서 == [[전함소녀]]에서 1번함 찰스 F. 애덤스가 의인화되어 등장한다. [[찰스 F. 애덤스(전함소녀)]] 참조.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그리스 함선)] [include(틀:해상병기 둘러보기)] == 관련 문서 == * [[해상 병기/현대전]] * [[호주 해군]] * [[호주군]] * [[호바트급]] [[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미군/군함]][[분류:구축함]][[분류:1958년 출시]][[분류:그리스군/군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