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국가의 형태)] [목차] == 개요 == '''τυραννος([[그리스어]], 튀란노스)'''[* 현대 그리스어로는 티라노스. [[티라노사우루스]]라는 단어의 유래다.] / '''tyrant([[영어]], [[타이런트]])''' 참주([[僭]][[主]])는 [[고대 그리스]]에서 비합법적으로 정권을 장악한 권위주의적인 지배자를 뜻한다. 사실 원래는 그저 '비합법적으로 집권한 권위주의적인 지배자'를 뜻하는 단어였지만, [[현대]]에 참주는 비합법적이고 통제되지 않는 절대 권력을 의미하게 되었으며, 잔인한 성격의 억압적인 [[독재자]]를 말하게 되면서 영어의 tyrant는 [[폭군]], [[독재자]]라는 의미가 더해졌다. == 참주정 == 고대 그리스의 참주정은 기원전 7세기에서 기원전 6세기 사이에서 고대 그리스의 [[폴리스]] 정치의 한 형태로 확인할 수 있는데, 귀족정과 [[민주정]]의 과도기라고 할 수 있다. 기원전 636년 [[아테네]]에서는 키론이 이웃 폴리스 메가라의 참주 테아케네스와 공모하여 쿠데타를 일으켰지만 실패한다. 상공업을 중심으로 식민활동을 활발하게 벌였던 아테네는 기원전 594년 [[솔론]]이 일부 평민들을 재산의 정도에 따라 정치에 참가하게 하자 빈농들의 지지를 받은 [[페이시스트라토스]]가 참주를 칭하며 정권을 장악하고 귀족들을 내쫓는 참주정치를 하게 된다.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유능한 인물이었기 때문에 그의 통치기간 동안 시민들의 지위도 향상되었고 해군도 대대적으로 육성되는 등 긍정적인 업적이 많았기에 그의 생전에 시민들의 호평을 받았다. 하지만 그의 아들인 [[히피아스]]는 아버지의 능력을 따라가지 못하는 형편없는 인물이었고 시간이 지날수록 폭정을 저질렀던지라 귀족들과 시민들의 반발로 참주정은 결국 기원전 510년경에 무너지게 되었다. 기원전 508년(기원전 507년)에 [[클레이스테네스]]가 [[민주정]]을 선포하고, 기원전 502년 행정개혁과 참정권 확대를 통해 직접 민주주의를 실현하기에 이른다. [[도편추방제]]는 고대 그리스 아테네에서 민주정을 유지하기 위해 실시한 정치 제도의 일환으로,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참주정 이후 집권한 클레이스테네스가 또 다른 참주의 등장을 막기 위해 고안한 제도라고 알려져 있다. == 그 외 == * 중세 이탈리아 도시 국가들은 공화제를 시행했는데, 각국의 부유한 가문에서 공직 부정선거를 하여 사실상 국가를 지배하는 참주의 일종인 시뇨리아를 내세웠다. [[피렌체 공화국]]의 [[메디치]] 가문 등이 대표적. * [[파이널 판타지 11]] [[아토르간의 보물]]에 등장하는 [[참주 굴루쟈쟈]]가 고대 그리스의 참주에서 모티브를 얻은 것으로 보인다. 원래는 공화정이었던 사회를 굴복시키고 독재자로 군림했다는 점이 거의 유사하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고대 그리스, version=39)] [[분류:참주]] [include(틀:포크됨2, title=참주, d=2023-02-08 15:0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