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국의 해물 요리)] [목차] == 소개 == [[참치]]와 [[밥]], 으깬 [[두부]]를 섞어 만드는 [[동그랑땡]]. 2인분 기준 [[요리 레시피]]이며, 먹는 양이 많은 사람은 혼자서도 먹을 수 있다. 만들어 놓고 남겨놨다가 나중에 먹을 수도 있다. 다만 하루가 지나면 매우 딱딱해지니[* 밥을 빼고 만들면 며칠 지나도 부드럽다. 이 레시피는 식사용이고, 반찬용으로 만든다면 밥과 두부는 빼도 상관없음.] 웬만하면 하루 내에 소비하자. == 요리 재료 == * 음식 재료 : [[참치 통조림]] 1개, 밥 2공기 분, [[두부]] 1모, [[계란]] 2개 * 조미료 및 양념 : 소금 1/2 작은 술, 후추 1/4 작은 술 * 기타 재료 : 튀김가루, 식용유 * 취향에 따른 추가 재료 : 오이 반 개, 당근 1/4 개, 양파 1/4 개, 부추 1/6 단, 다진김치 적당히 등등 개인 취향에 따라 밑간으로 [[소금]], [[후추]]를 넣지 않아도 된다. == 요리 준비 및 과정 == 1. 참치 통조림을 개봉하여 참치 살코기를 제외한 나머지 기름과 액체를 체로 거르거나 다른 방법을 써서 제거한다. 1. 큰 용기에 밥 2공기 분과 참치 살코기, 두부 1모를 같이 넣어 적당히 으깨어 죽처럼 섞이게 한다. 만약 참치 통조림이 그다지 짠 맛이 나지 않는 종류일 경우에는 소금을 약간 넣어주고, 참치 살코기에서 나는 약간의 비린내를 없애주기 위해 후추를 적당량 추가한다. 1. 튀김을 할 것이기 때문에 계란 2개를 다른 용기에 깨어 넣어 노른자와 흰자가 적절하게 섞이도록 젓는다. 1. 밑간이 끝났으면 위생 장갑을 끼고 손으로 밑간된 것들을 집어 한 입에 들어갈 정도로 동그랗게 만들어준다. 1. 동그랑땡 표면에 계란물을 바른 다음에 튀김가루에 굴려 동그랑땡에 튀김가루를 골고루 발라준다. 1. 후라이팬에 식용유를 두르고 가볍게 지져내면 끝. 튀김가루가 약간 어둡게 색이 변할 때 꺼낸다. 계란물은 굳이 안 써도 되나, 계란물을 바르지 않는 경우에는 동그랑땡을 꺼내는 도중에 충격에 의해서 터지면 내용물을 감싸주는 계란 지단이 없어서 내용물이 순식간에 쏟아지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그리고 지질때 너무 오래 놔두면 타는 것과는 별개로 동그랑땡의 표면이 시커멓게 변한다. 하지만 비주얼을 중요시하지 않는 이상 그냥 먹어도 무관하다. 오히려 더 바삭할 수도 있다. 소스로는 케첩을 쓰며, 허니머스타드 소스에 찍어먹어도 맛이 좋다. 타바스코 핫소스나, 스리라차 소스도 괜찮으며, 기호에 따라 다른 소스를 첨가할 수 있다. 맛이 강한 소스를 싫어하는 사람에게는 간장과 같이 내놓아도 좋다. === 간단한 레시피 === 필요 재료는 계란 1개당 참치캔 1/3~ 1/2개 양. '''끝'''. 1. 그릇에 계란과 참치캔을 풀고 막 섞는다. 이 결과물을 반죽이라 칭하겠다. 1. 팬을 달구고 기름을 두르고 섞은 내용물을 넣는다. 숟가락으로로 퍼서 조금씩 올리자. 1. 타지만 않게 적당히 익힌다. == 기타 == 배가 출출할 때 가볍게 만들어 먹을 수 있는 요리이다. 만들기도 쉽고 요리를 제대로 해보지 않은 사람도 쉽게 만들어 먹을 수 있다. 튀김 요리이기에 접시가 많이 필요하고, 손재주가 없으면 요리를 끝낸 자리를 튀김가루가 덮어버린다. 접시 사용을 계획적으로 하자. 우선, 동그랑땡의 두께에 신경을 많이 써야 한다. 좀 얇을 정도로 만드는 것이 좋다. 단 너무 얇으면 모양이 깨질 수 있으니 주의.겹쳐놨을 경우 지질 때 서로 엉겨붙을 수 있으니 튀김옷을 입힌 동그랑땡끼리는 서로 떨어뜨려 놓아야 한다 계란옷을 겉만 살짝 덮을 정도로 아껴쓰거나, 계란 3개를 써야한다. 두부의 물기를 잘 제거하지 않으면 몹시 질퍽해져 먹기가 힘들 수 있다. 동그랑땡보단 [[산적(요리)|산적]]에 가까운 맛이 난다. 밥반찬으로 먹으려면 간을 세게 하는 것을 추천한다. 그러나 간식처럼 먹거나 자체 맛이 강한 요리와 같이 먹는 것은 괜찮다. 또한 냉장고에 넣지 말자. 재료로 쓴 밥이 단단하게 굳는다. [[분류:참치 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