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창경궁)] [include(틀:조선 왕궁의 편전)]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s-2|{{{#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23호 창경궁}}}]]''' || ||<-3> {{{#ffd700 {{{+1 '''창경궁 문정전'''}}}[br]{{{-1 昌慶宮 文政殿}}}}}}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창경궁 문정전, 너비=100%, 높이=100%)]}}} || ||<-2> {{{#ffd700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와룡동(종로구)|와룡동]]) || ||<-2> {{{#ffd700 '''건축시기'''}}} || [[1484년]] {{{-1 (창건)}}} [br][[1616년]] {{{-1 (중건)}}} [br][[1986년]] {{{-1 (복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창경궁 문정전.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창경궁_문정전.jpg|width=100%]]}}} || || {{{#gold ''' 문정전[* [[http://heritage.go.kr/heri/gungDetail/gogungDetail.do?serial_number=5&detail_code=5&gung_number=3#|첫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br][[http://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6415623&ccbaKdcd=13&ccbaAsno=01230000&ccbaCtcd=11|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1lNXhzncJU)]}}} || || {{{#gold '''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3D 입체 영상. 명정전과 같이 소개한다. '''}}} || [[창경궁]]의 편전이다. 편전은 평상시 [[임금]]이 [[신하]]들과 함께 나랏일을 보고 [[경연]]을 하던 곳이다. 이름은 창건 당시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이던 [[서거정|서거정(徐居正)]]이 지었다. == 역사 == 1483년([[성종(조선)|성종]] 14년) [[창경궁]] 창건 때 지었다. 1592년([[선조(조선)|선조]] 25년)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1616년([[광해군]] 8년)에 복구했다. 그러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이 창경궁을 [[놀이공원]] [[창경원]]으로 만든 후, 1930년대에 헐었다. 1983년에 창경원을 서울대공원으로 옮긴 후 1984년에 발굴 조사를 했고 1986년에 복원하여 오늘에 이른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창경궁 문정전 상량식1.png|width=100%]]}}} || || {{{#gold ''' 문정전 복원공사 상량식[* 사진 출처 - MBC Archive.] '''}}} || == 정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창경궁 문정문)] == 구조 == * [[창경궁]] 자체가 원래 [[대비]]들을 모시기 위해 지은 [[궁]]이라 규모가 작기 때문에 문정전 또한 편전 치고는 작은 편이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문정전 축.png|width=100%]]}}} || || {{{#gold ''' 명정전과 문정전의 축 '''}}} || 보통 편전은 [[정전]]의 북쪽에 위치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경복궁 사정전]]은 [[경복궁|근정전]]의 정북방에, [[창덕궁 선정전]]은 [[창덕궁 인정전|인정전]]의 동북쪽에 있고 [[경희궁 자정전]] 역시 [[경희궁 숭정전|숭정전]]의 북쪽에 있다. 하다못해 편전이 따로 없는 [[덕수궁]]의 경우에도 편전 역할을 하던 여러 건물들이 (서편에 있든 동편에 있든)[[위도]] 상으로 [[덕수궁 중화전|중화전]]보다 북쪽에 위치해있는데 [[창경궁]]의 경우는 [[창경궁 명정전|명정전]]의 바로 남쪽에 거의 붙어있다시피 자리잡고 있다. 그리고 대부분 정전들은 남향이지만 명정전은 동향이기 때문에 두 [[건물]]이 서로 토라져 등돌린 듯 마냥 틀어져 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궐도 문정전.png|width=100%]]}}} || || {{{#gold ''' 〈동궐도》에서 묘사한 문정전 일곽 '''}}} || 1530년(중종 25년) [[성종(조선)|성종]]의 계비이자 [[중종(조선)|중종]]의 어머니인 [[정현왕후|정현왕후 윤씨]]의 혼전이 설치된 것을 시작으로, [[조선]] 후기에 들어 본격적으로 혼전/빈전[* 혼전(魂殿): [[임금]]과 [[왕비]]의 [[신위]]를 임시로 봉안하던 곳. 빈전(殯殿): [[상여]]가 나갈 때까지 [[왕]]이나 왕비의 [[관(장례)|관]]을 모시던 곳.]의 기능을 주로 맡아 '''사실상 편전으로서의 역할을 상실했다.''' 이는 1781년([[정조(조선)|정조]] 5년) <[[조선왕조실록]]>의 기사를 보면 알 수 있는데, ‘[[창덕궁]]과 [[경희궁]]에는 모두 [[창덕궁 선정전|선정전]]과 [[경희궁 자정전|자정전]] 등의 편전이 있으나, '''창경궁에는 편전이 없기 때문에''' 전부터 (정전인)[[창경궁 명정전|명정전]]을 편전으로 통용하여 왔다고 했다.’라는 대목[[http://sillok.history.go.kr/id/kva_10506021_001|#]]에서 [[정조(조선)|정조]] 시기에는 이미 문정전을 편전으로 생각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인식이 혼전으로 굳어지면서 문정전의 [[정문]]인 문정문 밖에 있던 도총부와 [[승정원]] · [[홍문관]] 등의 여러 관청이 이전되었다. 임금의 업무를 돕기 위해 편전 근처에 있던 관청들인데 이 일대가 혼전의 부속 시설로 활용되면서 다른 곳으로 옮겨간 것.[br][br]이와 함께 정면에 새롭게 [[복도|복도각]]이 설치되었다. 여기서 복도각은 [[혼령]]이 드나드는 [[길]]이란 의미를 갖는다. 복도각 역시 [[일제강점기]]에 철거되었고 1986년 문정전 본전이 [[복원]]될 때 함께 지어지지 못한 채 현재에 이른다. --이쯤 되면 편전이 아니라 혼전으로 기재되어야 할 정도-- 참고로 <[[동궐도]]>를 보면 똑같은 기능이었던 [[창덕궁 선정전]]과 달리 복도각에 벽체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원래 [[창경궁 명정전|명정전]]과 숭문당 사이에 작은 담이 있어 영역이 구분되었으나 [[일본 제국|일제]] 때 훼철된 이후 [[복원]]되지 못했다. * 1단의 [[암석|돌]]로 만든 [[기단]] 위에 정면 3칸, 측면 3칸의 1층 목조 전각[* 보통 [[한옥]]의 경우 1층보다는 단층(單層)으로 말한다.]으로 구성되어 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문정전 내부.jpg|width=100%]]}}} || || {{{#gold ''' 문정전 내부 '''}}} || 내삼출목, 외이출목에 [[공포|다포]] 양식으로 지었으며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내부는 칸막이 없이 하나의 [[공간]]으로 뚫려있으며 대들보 위를 우물천장으로 가려 서까래가 바로 보이지 않게 했다. 그리고 실내에도 [[단청]]을 칠하여 보존성을 높임과 동시에 화려함을 나타내었다. 바닥은 [[마루]]이기 때문에 주로 [[늦봄]]에서 [[가을|초가을]]까지 사용했다. 제일 북쪽 중앙에 [[옥좌]]가 있으며 당가[* [[옥좌]] 위에 만들어 다는 [[집]] [[모형]].]를 설치하여 [[왕]]의 [[권위]]를 돋보이게 했다. 옥좌는 원래 [[경복궁 사정전]]처럼 단 위에 있어야하나 [[복원]]할 당시 재현하지 못했다. == 여담 == * 편전이긴 하지만, 정작 [[왕]]들이 [[정사]]를 돌보거나 [[경연]]을 한 경우는 많지 않았고 여러 [[잔치]]들을 이 곳에서 많이 열었다. [[연산군]]이 주로 연회를 즐겼고, 1517년([[중종(조선)|중종]] 12)에 [[궁궐]] 잔치 중 하나인 진풍정(進豐呈)[* 진연보다 성대한 [[잔치]]로, 글자 그대로 풀면 ([[임금]]이나 [[왕후]] 등에게) [[음식]]을 풍성하게 차려서 올리는 일을 뜻한다. 참고로 [[한정식]] [[음식점]] 진풍정의 이름이 여기서 따왔다.]이 열리기도 했다. 문정전을 편전으로 가장 많이 사용한 임금은 [[인조]]이다. [[인조반정]], [[이괄의 난]] 등으로 [[창덕궁]]이 --중건한 지 얼마나 됐다고-- 몇 번 불타자(...) 창경궁 문정전을 편전으로 사용했던 것. *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혀 죽은 곳이 바로 이 문정전 앞 마당이다. === 사건사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문정전 방화.png|width=100%]]}}} || || {{{#gold ''' 불타는 문정전 문짝[[https://imnews.imbc.com/replay/2006/nwdesk/article/1988077_29291.html|#]] '''}}} || 2006년 4월 26일 [[창경궁]]에 들어온 만 67세의 한 [[채종기|노인]]이 문정전 문짝에 [[불]]을 지르다가 [[체포]]되어 [[경찰]]에 조사를 받았다. 이 때 '''[[집행유예]]'''를 받았다가 2년 여 뒤 대형 화재사고를 일으키니... '''바로 [[숭례문 방화 사건]]의 범인 채종기였다.''' [[문화재]] 연쇄 [[방화범]]으로 알려졌다. 숭례문 화재 때에는 [[문화재 보호법]] 위반 및 문화재 [[방화죄|방화]] 혐의로 [[구속]]되었고 [[징역]] 10년 형을 받아 복역했으며 2018년 2월에 만기 출소했다. --저 때 [[감옥]]에 집어넣었으면 [[숭례문 화재 사고|숭례문]]도 안 탔을거 아니야-- 다행히 근처에 있던 시민들이 옆에 있던 [[소화기]]로 신속하게 [[진화]]해서 문짝만 살짝 탔을 뿐 건물 전체는 무사했다. [[목조]] 건물은 심각하게 [[화재]]에 취약해서 5분 안에 불을 못끄면 크게 번질 수 있다. 빠른 대처가 아니었다면 정말 큰일날 뻔 했던 것. 자칫 잘못했다간 바로 옆의 [[창경궁 명정전|명정전]]까지 소실될 뻔 했다. [[문화재청]]에서는 이 시민들에게 감사의 뜻으로 '고궁 평생 무료 입장권'을 줬다고 한다.[[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hagov&logNo=220692609181|#]] == 대중매체에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문정전 뒤주.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BS 장희빈 문정전.png|width=100%]]}}} || || {{{#gold ''' MBC 《조선왕조 500년 - 한중록》에 나온 문정전 '''}}} |||| {{{#gold ''' SBS 《장희빈》에서 중궁전 뜰로 나온 문정전 '''}}} || [[궁궐]] 촬영이 비교적 쉬웠던 2000년대 초 이전에 [[조선시대]]를 다룬 [[사극]], 특히 [[17세기]] 이후를 [[배경]]으로 한 [[사극]]에 자주 나왔으나 스쳐가는 배경으로 등장해 존재감은 없다. 그나마 비중있게 등장한 작품은 1989년 [[MBC]] 《[[조선왕조 오백년|조선왕조 500년 - 한중록]]》과 1995년 [[SBS]] 《[[장희빈(SBS)|장희빈]]》. 《한중록》에서는 뒤주에 갇힌 [[사도세자]]의 모습을 '''실제 현장'''인 이 곳 뜰에서 촬영했고 《장희빈》에서는 [[희빈 장씨]]가 중전이던 시절 중궁전 외곽의 일부로 간간히 나왔다.[* 중궁전 외곽 메인은 [[창덕궁 대조전]]의 뒷뜰인 함원전에서 촬영했다.] 그리고 특이하게 [[고려]]나 [[신라]] [[왕궁]]으로 나온 적이 있었는데 《[[용의 눈물]]》에서 개성의 [[수창궁]] 일부로, 《[[태조 왕건]]》에서 신라의 [[월성|서라벌 궁궐]]으로 등장했던 것. 물론 여기서도 지나가는 배경으로만 나왔다.(...)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창경궁, version=215, paragraph=4.2.2)] [[분류:창경궁]][[분류:사도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