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창원문성대학교 UI.svg|width=30]] {{{#003b5c '''창원문성대학교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전문대학)] [include(틀:경상남도의 전문대학)] [include(틀:창원시의 대학)] [include(틀:USG 참여대학)] }}} || ---- ||<-2><:> {{{#F5F5F2 {{{+3 '''창원문성대학교''' }}} }}}[br]{{{#F5F5F2 '''昌原文星大學校'''}}}[br]{{{#F5F5F2 '''Changwon Moonsung University'''}}} || ||<-2><#F5F5F2><:>[[파일:창원문성대학교 UI.svg|width=250]] || ||<:>'''{{{#F5F5F2 분류}}}''' ||<#FFFFFF><:> {{{#000000 사립대학}}} || ||<:> '''{{{#F5F5F2 구분}}}''' ||<#FFFFFF><:> {{{#000000 사립 전문대학 2/3/4년제}}}|| ||<:>'''{{{#F5F5F2 건학이념}}}''' ||<#FFFFFF><:> {{{#000000 자비와 봉사}}} || ||<:>{{{#F5F5F2 '''상징'''}}} ||<#FFFFFF><:> {{{#000000 문창성(文昌星)}}}|| ||<:>'''{{{#F5F5F2 개교일자}}}'''||<#FFFFFF><:> {{{#000000 1979년 3월 5일}}}|| ||<:>'''{{{#F5F5F2 총장}}}''' ||<#FFFFFF><:> {{{#000000 이원석}}}|| ||<:>'''{{{#F5F5F2 국가}}}'''||<#FFFFFF><:> {{{#000000 [[대한민국]]}}}|| ||<:>'''{{{#F5F5F2 재학생 수}}}'''||<#FFFFFF><:> {{{#000000 학부생: 1,533명}}}|| ||<:>'''{{{#F5F5F2 전임교원 수}}}'''||<#FFFFFF><:> {{{#000000 63명}}}|| || [[대학기본역량진단|{{{#F5F5F2 '''대학기본역량진단'''}}}]] ||<#FFFFFF> '''일반재정지원대학 미선정^^(2024년)^^''' || ||<:>'''{{{#F5F5F2 주소}}}'''||<#FFFFFF><:> {{{#000000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충혼로(창원)|충혼로]] 91 ([[두대동]])}}}|| ||<:> {{{#F5F5F2 '''링크'''}}} ||<:>'''{{{#F5F5F2 [[https://ipsi.cmu.ac.kr/homepage/ipsi/intro.jsp|학교 홈페이지]] }}}''' || || [[파일:문성대학 캠퍼스.png|width=100%]] || || 문성대학교 캠퍼스 전경 사진 || || [[파일:546715_417019_2212.jpg|width=100%]] || || 문성대학교 캠퍼스 사진 || [목차] [clearfix] == 개요 == ||
[youtube(aECh4AgkPpk,width=720,height=480)] || ||<:> {{{#FFFFFF 문성대학교 소개 영상 (2018)}}}||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두대동]]에 위치한 전문대학교이다. 1979년 3월 5일 창원여자전문대학을 최초로 시작하여 2018년 창원문성대학교까지 이어나가고 있으며 2018년 대학기본역량평가에서 자율개선대학으로 최종 선정되었다. 하지만 2021년 대학기본역량진단 일반재정지원 미선정대학(2021)에 포함되었다. === 역사 === '''자세한 내용은 학교 홈페이지의[[ https://www.cmu.ac.kr/homepage/default/page/subLocation.do?menu_no=10010103|대학 연혁]] 참고''' * 1973년 3월 - 창원여자전문대학 제1회 입학식 * 1983년 9월 - 창원전문대학으로 교명 변경 * 1989년 11월 - 중소기업청 선정 기술혁신교육기관, 교육부 선정 교육시설 우수대학 * 1998년 9월 - 특성화 대학 선정 * 1999년 5월 - 교육부 구조조정 지원대학 선정, 전문대학 재정 지원대학 선정 * 2001년 7월 - 교육인적자원부 우수대학 선정 * 2003년 11월 - 중소기업청 중소기업협력단 시범운영기관 선정, 일본 후지가미 복지의료 전문학교 자매결연, 캐나다 Georgian college 자매결연 체결 * 2009년 6월 - 지역사회서비스청년사업단 운영기관 선정, 지역인재육성사업 운영기관 선정 * 2016년 1월 - '''창원문성대학교'''로 교명 변경, 대학청년고용센터 4년 연속 우수 등급 획득 * 2018년 10월 - 대학기본역량평가 자율개선대학 최종 선정 === 역대 총장 === === 특징 === 학과에 따라 분위기가 다르고 방향성도 다르겠지만, 학교 내 학생들끼리는 전체적으로 부조리나 똥군기가 없는편에 속한다고한다. 선배와 후배사이가 아예 남남일처럼 서로 터치를 안하는 경우도 있고, 경우에 따라 선후배 관계의 딱지를 떼고 우리는하나를 시전하는 경우도 있다고한다. == 상징 == * [[파일:창원문성대학교 시그니처.svg|height=150]] * '''문창성(文昌星)'''은 북두칠성의 여섯번째 별로 '''학문(學文''')을 맡아 다스리는 별, '''지혜(智慧)'''의 별이라는 의미가 있다. '''문(文)'''자를 별 모양으로 형상화 하여 미래의 별인 문성인, 학문의별이 될 창원문성대학교를 상징하여 엠블렘 형태로 디자인되었다고한다. == 학과 == '''4년제 학과''' 간호학과 '''3년제 학과''' 스마트팩토리학과 문헌정보과 유아교육과 첨단항공기계과 첨단모빌리티공학과 '''2년제 학과''' 첨단항공기계과 웹툰그래픽과 미용예술과 호텔조리제빵과 사회복지과 장례행정복지과 재활레저스포츠과 == 캠퍼스 == 캠퍼스 중앙에는 작은 공원이 자리잡고 있으며 캠퍼스 산책로를 따르면 약 1km를 넘어가는편이다 === 기숙사 === 문성 생활관 === 도서관 === 도서관에 자격증 문제집, (간호 해당)국가고시 문제집이 많으니 한 번 쯤 가보는 것을 추천한다. 도서관을 입장할 때, 책을 빌릴 땐 학생증이 꼭 필요하다. 도서관 아래층에는 열람실이 있으나 그 공간에서 공부를 할 수 없다. 재학생 수가 줄어드니 관리를 하기 귀찮은가보다. === 편의시설 === == 대학 생활 및 문화 == === 대학가 === 상당히 도심지에 위치해있으면서도 대학가는 의외로 심심한편에 속하는데, 작은 식당(학교 식당은 정말 맛이 없다)이나 카페, 편의점(편의점도 방학 중엔 그 큰 캠퍼스에 딱 한 군데만 문을 열어서 불편함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헤어샵 정도가 대학가의 끝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학교 바로 옆에는 [[더시티세븐자이|시티세븐]]이 있거니와 버스나 자전거로 몇 분만 타고 달려가면 경남 최대 번영가인 [[상남동(성산구)|상남동]]이 나오는데 대학교 옆에 번영가가 워낙 많다보니 대학가 자체는 많이 심심해져버린편이다. 열심히 놀고싶다면 시티세븐이나 상남동으로 나가는것이 좋다. 학교 안에서 밥이라도 한끼 먹으려고 하면 교내 식당이나 분식점을 이용해야 하는데 식당은 정말 맛이없고 그나마 분식점이 나은 편이다. 공강 시간이 짧다면 무조건 배달 음식을 시켜먹어야 할 정도다. === 축제 === 축제에 상당히 많은 투자를 하는편이다. 매 축제마다 유명 연예인이 오는것은 기본 소양일 정도로 진행되고있으며 2018년 축제엔 지코, 2017년엔 에일리, 2016년엔 제시, 2015년엔 여자친구, 2014년엔 홍진영 ... ... ... 등등 매 년 축제마다 상당히 큰 즐길거리를 남겨준다. 투자가 적극적이고 매 년 연예인이 기본 소양으로 초청될만큼 축제가 성대하게 열리지만, 반대로 유흥, 연예인에 큰 관심이 없는 학생들은 뭔가 손해(...)를 보는 느낌이 날 정도로 축제가 진행된다는점도있다. --본인도 학자금을 내는데 관심없는 축제에 많은 투자가 들어간다면 손해를 본다는게 틀린 말은 아니다.-- 2020-2022년까지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축제가 열리지 않았으나 2023년부로 코로나 경보 전면 해제됨에 따라 축제의 재개최가 기대되고 있다. == 입학 관련 정보 ==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학과들이 경쟁률은 어느정도 있는편이지만, '''커트라인이 굉장히 낮다.'''[* 최저 합격자 등급이 7~ 9등급인 학과가 다수 존재한다.] 대체적으로 '''낮은 커트라인과 중간적인 경쟁률'''을 띄고있어 면접 때 자신의 능력, 학력보단 의지, 가능성을 강조하는것이 더 좋을수도 있는데 단정한 교복 또는 정장,[* 단정한 사복도 문제없다.] 기본적인 예절, 준비만 지켰다면 큰 문제없이 면접을 진행할 수 있다. 다만, 예외도 존재하는데 '''간호학과'''는 타 학과와 비교할 때 '''커트라인과 경쟁률이 매우 강하다.''' 아무래도 간호학과는 인기가 많은 학과이다보니 타 학과에 비해 쏀편이며 못하더라도 경쟁률 10 대 1은 기본으로 나오니 준비를 특히 더 해야할 필요가 있다. === 수시 모집 === ''' 수시 1차 ''' 평균 경쟁률은 약 5:1 정도이며, 면접 당일 결시 인원[* 면접 포기, 지각, 개인적 사유 등]이 다소 존재하기 때문에 실제 경쟁률은 표기보다 미묘하게 낮은 편이다. ''' 수시 2차 ''' 평균 경쟁률은 약 13:1 정도이며, 수시 2차 역시 면접 당일 결시 인원이 다소 존재하기 때문에 실제 경쟁률은 표기보다 미묘하게 낮은 편이다. === 정시 모집 === == 출신 인물 == * [[홍지민]] - 배우, 유아교육과 * [[김유나(치어리더)|김유나]] - 치어리더, 관광과. * [[배한성(정치인)|배한성]] - 정치인. 전 창원시장. 행정과 == 사건사고 == === [[2011년 양산 버스 추락 사고|MT 버스 추락 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11년 양산 버스 추락 사고)] === 교학처 화재 사건 === [[http://www.kn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079|뉴스기사]] 2018년 7월 23일에 발생한 화재 사건. 창업보육센터 1층 전산 사무실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약 500만원의 재산 피해가 난 사고이다. 다행히 빠른 시간내에 화재가 진압되었고 인명 피해도 없었기 때문에 비교적 가벼운 피해로 해결 될 수 있었다. 현재는 잘 수복되어 다시 본래의 모습을 되찾았다. == 평판 == 학생과 교사들 사이에서 평판이 매우 좋지 못한 편이며 흔히 말하는''' [[지잡대]]'''로 인식되고 있다. --문성대+창신대+마산대(문성대, 창신대, 마산대를 합쳐 MCM이라고도 불린다.)--[* 최근에는 여기에 입학정원을 대폭 축소했음에도 이 3개 대학처럼 대규모 정원 미달이 일어나고 있는 경남대도 사실상 동급이라며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다만 경남대는 그래도 전성기에는 꽤 잘나갔던 대학이라는 점이라도 있고 MCMK보다 MCM이 찰지고 [[MCM(브랜드)|브랜드]]도 있기에 보통은 MCM으로 많이 불린다.] --오죽하면 바로 옆에 있는 문성고에서 공부하기 싫을때는 옆을 보라고 할까-- 혹시 공부를 좀 하는 학생들 사이나 교사에게 얘기를 꺼내기라도한다면 '얼마나 갈 대학이 없으면...' 하는 시선을 받기도 하며 다시 한 번 생각해보라는 식의 답변이 돌아오기도 한다. 아무래도 [[전문대]]의 좋지 못한 인식과 지방에 위치한 대학, 그 상태에서 사립 대학교이기도 하며 바로 옆엔 국립 대학교인 [[창원대학교]]가 위치하고 있다 보니 매우 낮은 인식을 지닐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이미지를 가지게 된 요소들을 모두 나열해보면 '''전문대 + 지방 + 사립 + 낮은 커트라인[* 간호학과 제외] + 어중간한 경쟁률 + 국립 대학의 존재''' 등등으로 인식이 까일대로 까여 있으며 무엇보다 저 요소들은 모두 '''사실'''이기까지 하다. 이러한 인식은 지금까지 지속되어 왔고 앞으로도 쉽게 떨어지지 않겠지만, 그렇기에 창원문성대학교가 지속적으로 풀어나가야 할 숙제이기도 하다. == 여담 == * [[창원문성고등학교]]와 굉장히 가까운편인데 '''아예 대학 캠퍼스 안에 있다!''' 도로 하나만 건너면 문성고등학교와 대학교를 오가는 게 가능한데, 간혹 점심과 석식을 먹지 않는 학생들이 넘어오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분류:창원시의 대학교]][[분류:1979년 개교]][[분류:대한민국의 전문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