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12대 경남도의원/지역구)] ||<-4> '''[[대한민국|[[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height=20]]]] {{{#fff [[경상남도|{{{#fff 경상남도}}}]]의 [[경상남도의회|{{{#fff 의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경상남도의회|[[파일:지방의회 휘장.svg|height=70]]]]}}}||{{{#!wiki style="margin: -5px 0" '''{{{+2 {{{#fff 창원시 제5선거구}}}}}}'''[br]{{{-1 {{{#fff 중앙동, 웅남동[br]昌原市 第五選擧區[br]Changwon District 5}}}}}}}}}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창원시_제5선거구8.png|width=100%]]}}} || ||<-2> '''선거인 수''' ||<-2> 37,401명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22년]]) || ||<-2> '''상위 행정구역''' ||<-2> [[경상남도]]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성산구 일부'''[br]중앙동, 웅남동 }}} || ||<-2> '''도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 || [[이찬호(정치인)|이찬호]] ,,(초선),,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상남도의회]]의 선거구로, 성산구 서쪽인 [[중앙동]], [[웅남동]]을 관할한다. 상남동 번화가 지역도 이 선거구에 속한다. [[성산구]]에서는 [[용지동]]과 함께 가장 [[국민의힘]] 지지율이 높은 웅남동[* 물론 웅남동은 인구가 적어 큰 영향력을 행사하진 못한다.]과 그 급은 아니지만 중앙동도 평균 이상급을 자랑해 [[대한민국의 보수정당|보수정당]]의 지지세가 성산구 안에서 강한 지역 중 한곳이다. == 역대 선거 결과 == || 대수 || 당선자 || 당적 || 임기 || 비고 || ||<-5> '''창원시 제3,4선거구''' || ||<|2> 제5대 || [[박판도]] || [include(틀:민주자유당)] ||<|2>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 창원시 제3선거구 (반림동, 반지동, '''대원동''', '''내동''', '''중앙동''')][* 대동제 이전의 행정 구역으로, 이후 내동과 중앙동을 합쳐 중앙동이 되었으며, 대원동은 의창구 [[팔룡동]]에 통합되었다.] || || 한갑현 || [include(틀:무소속)] || [* 창원시 제4선거구 (가음정동, 남산동, 대방동, 성주동, '''신촌동''', '''삼귀동''')][* 대동제 이전의 행정 구역으로, 이후 신촌동과 삼귀동을 합쳐 웅남동이 되었다.] || ||<-5> '''창원시 제3선거구''' || || 제6대 ||<|3> [[박판도]] ||<|2>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3> [* 반송동, '''중앙동''', 상남동, '''웅남동'''] || || 제7대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 제8대 || [include(틀:한나라당)] || [[2006년]] [[7월 1일]] ~ [[2010년]] [[3월 2일]][* [[창원시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퇴] || ||<-5> '''창원시 제4선거구''' || || 제9대 || [[석영철]] || [include(틀:민주노동당)]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3> [* 반송동, '''중앙동''', '''웅남동'''] || || 제10대 || 박준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 제11대 || 남택욱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5> '''창원시 제5선거구''' || || 제12대 || [[이찬호(정치인)|이찬호]] || [include(틀:국민의힘)] || [[2022년]] [[7월 1일]] ~ 현재 || [* '''중앙동''', '''웅남동'''][* 구 대원동이 의창구 [[팔룡동]]에서 성산구 중앙동으로 편입됨.]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창원시 제3선거구'''}}}}}}[br]{{{#ffffff 반림동, 반지동, 대원동, 내동, 중앙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박판도]](朴判道)''' || '''16,257''' || '''1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45.23%''' || '''당선''' || ||<|2> {{{#FFFFFF {{{+5 '''2'''}}}}}} || 박용호(朴鏞浩) || 8,447 || 3위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23.50% || 낙선 || ||<|2> {{{#FFFFFF {{{+5 '''3'''}}}}}} || 이경대(李敬大) || 11,232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31.2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57,506 ||<|3> '''투표율'''[br]64.19% || || '''투표 수''' || 36,918 || || '''무효표 수''' || 982 || ||<-4> {{{#ffffff {{{+1 '''창원시 제4선거구'''}}}}}}[br]{{{#ffffff 가음정동, 남산동, 대방동, 성주동, 신촌동, 삼귀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찬구(金讚九) || 11,526 || 2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30.71% || 낙선 || ||<|2> {{{#FFFFFF {{{+5 '''2'''}}}}}} || 오경팔(吳慶八) || 3,949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10.52% || 낙선 || ||<|2> {{{#FFFFFF {{{+5 '''3'''}}}}}} || 이정혜(李正惠) || 7,242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9.42% || 낙선 || ||<|2> {{{#FFFFFF {{{+5 '''4'''}}}}}} || '''한갑현(漢甲賢)''' || '''14,807'''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39.46%'''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55,872 ||<|3> '''투표율'''[br]69.15% || || '''투표 수''' || 38,641 || || '''무효표 수''' || 1,117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창원시 제3선거구'''}}}}}}[br]{{{#ffffff 반송동, 중앙동, 상남동, 웅남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박판도]](朴判道)''' || '''23,462'''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62.96%''' || '''당선''' || ||<|2> {{{#FFFFFF {{{+5 '''4'''}}}}}} || 이재구(李載九) || 13,798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37.0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79,018 ||<|3> '''투표율'''[br]48.59% || || '''투표 수''' || 38,396 || || '''무효표 수''' || 1,136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창원시 제3선거구'''}}}}}}[br]{{{#ffffff 반송동, 중앙동, 상남동, 웅남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박판도]](朴判道)''' || '''26,122'''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72.66%''' || '''당선''' || ||<|2> {{{#FFFFFF {{{+5 '''3'''}}}}}} || 정병윤(鄭昞允) || 9,829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27.3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76,524 ||<|3> '''투표율'''[br]48.72% || || '''투표 수''' || 37,285 || || '''무효표 수''' || 1,334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창원시 제3선거구'''}}}}}}[br]{{{#ffffff 반송동, 중앙동, 상남동, 웅남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2'''}}}}}} || '''[[박판도]](朴判道)''' || '''27,518'''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73.06%''' || '''당선''' || ||<|2> {{{#FFFFFF {{{+5 '''6'''}}}}}} || 김용남(金用男) || 10,146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26.9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73,621 ||<|3> 투표율[br]52.31% || || '''투표 수''' || 38,512 || || '''무효표 수''' || 848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창원시 제4선거구'''}}}}}}[br]{{{#ffffff 반송동, 중앙동, 웅남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정성동(鄭聖東) || 18,330 || 2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47.78% || 낙선 || ||<|2> {{{#FFFFFF {{{+5 '''5'''}}}}}} || '''[[석영철]](石永喆)''' || '''20,028''' || '''1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52.21%'''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64,473 ||<|3> '''투표율'''[br]60.80% || || '''투표 수''' || 39,203 || || '''무효표 수''' || 845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창원시 제4선거구'''}}}}}}[br]{{{#ffffff 반송동, 중앙동, 웅남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박준(朴俊)''' || '''19,183'''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52.10%''' || '''당선''' || ||<|2> {{{#FFFFFF {{{+5 '''3'''}}}}}} || [[석영철]](石永喆) || 17,632 || 2위 || || [include(틀:통합진보당)] || 47.8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64,025 ||<|3> '''투표율'''[br]59.30% || || '''투표 수''' || 37,967 || || '''무효표 수''' || 1,152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창원시 제4선거구'''}}}}}}[br]{{{#ffffff 반송동, 중앙동, 웅남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남택욱(南澤旭)''' || '''19,869'''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7.81%''' || '''당선''' || ||<|2> {{{#FFFFFF {{{+5 '''2'''}}}}}} || 박준(朴俊) || 14,610 || 2위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35.15% || 낙선 || ||<|2> {{{#FFFFFF {{{+5 '''6'''}}}}}} || 정영주(鄭永珠) || 7,076 || 3위 || || [include(틀:민중당)] || 17.0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64,189 ||<|3> '''투표율'''[br]66.33% || || '''투표 수''' || 42,582 || || '''무효표 수''' || 1,027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창원시 제5선거구'''}}}}}}[br]{{{#ffffff 중앙동, 웅남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영진(1964)|김영진]](金榮鎭) || 6,697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38.10% || 낙선 || ||<|2> {{{#FFFFFF {{{+5 '''2'''}}}}}} || '''[[이찬호(정치인)|이찬호]](李贊鎬)''' || '''10,553''' || '''1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60.03%''' || '''당선''' || ||<|2> {{{#FFFFFF {{{+5 '''4'''}}}}}} || 하호근(河浩根) || 327 || 3위 || || [include(틀:우리공화당)] || 1.86%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37,401 ||<|3> '''투표율'''[br]47.77% || || '''투표 수''' || 17,868 || || '''무효표 수''' || 291 || [[2021년]] [[7월]] [[용지동]]을 비롯한 [[의창구]] 일부 지역이 [[성산구]]로 넘어가면서 도의회 선거구도 이에 맞출 필요가 생겼다. 그리하여 [[반송동]]을 [[창원시 제4선거구]]에 넘겨주고 대원동 지역이 의창구 [[팔룡동]]에서 성산구 [[중앙동(성산구)|중앙동]]으로 바뀌면서 그 대원동이 추가된 중앙동과 [[웅남동]]으로 창원시 제5선거구를 구성한다. 창원시 4선거구의 신설로 인해 이 지역구의 번호가 밀려 창원시 제5선거구로 변경되었다. 이 지역을 관할하는 [[더불어민주당]] 소속이던 남택욱 도의원이 2021년 탈당하고 [[국민의힘]]에 입당하였다. 막상 그리고 나서 의령군수 출마를 노리게 되면서 이 곳에는 자연스럽게 불출마가 확정되었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김경영 비례대표 도의원이 반송동과 이 지역에서 지역활동을 주로 하였으나, 반송동이 주 기반인지 [[창원시 제4선거구]]에 도전하였고, 경선에서 승리하였다. 그리고 그 경선에서 밀려난 [[김영진(1964)|김영진]] 후보가 대신 여기에서 공천받았다. 국민의힘은 이 지역에서 시의원 4선[* [[창원시(통합 이전)|구 창원]] 시절 1회 포함]을 지낸 이찬호 전 시의회 의장을 단수공천했다. [[우리공화당]]에서는 의창구 당협위원장인 하호근 후보가 출마하였다. 선거 결과 이찬호 후보가 60% 득표율로 여유롭게 당선되었다. 웅남동에서 62.6%, 중앙동에서 60.05%로 두 동에서 모두 골고루 득표했다. 물론 김영진 후보는 자신의 지역기반이 아님에도 중앙동에서 38%, 웅남동에서 35.4%을 받아 소속 정당의 이번 지방선거의 성적을 생각해보면 나름대로 나쁘지 않은 성적이다. 하호근 후보는 2%도 못 받아 전혀 존재감을 과시하지 못했다. [[분류:선거구/경상남도]][[분류:성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