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병용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SSG 랜더스 개막전 선발 투수)] ---- ||
'''채병용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파일:SK 와이번스 우승 엠블럼 V1.svg|width=50]][[파일:SK 와이번스 우승 엠블럼 V2.svg|width=50]][br]'''KBO 리그 한국시리즈[br]우승반지''' || || '''[[2007년 한국시리즈|{{{#ffffff 2007}}}]]''' || '''[[2008년 한국시리즈|{{{#ffffff 2008}}}]]''' || ---- ||
[[KBO 리그 역대 타이틀홀더/투수#s-6|[[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50]]]] [br] '''{{{#ffffff 2008 KBO 리그 승률왕}}}''' || ---- ||<-5> '''{{{#fff [[SK 와이번스|{{{#ffffff SK 와이번스}}}]] 등번호 45번}}}''' || || [[강민규(야구)|강민규]][br](2000) || {{{+1 →}}} || '''채병용[br](2001~2009)''' || {{{+1 →}}} || [[문광은]][br](2010) || || 강석훈[br](2011) || {{{+1 →}}} || '''채병용[br](2012~2019)''' || {{{+1 →}}} || [[이원준(야구선수)|이원준]][br](2020) || ||<-5> '''{{{#fff [[SSG 랜더스|{{{#ffffff SSG 랜더스}}}]] 등번호 79번}}}''' || || [[최창호(야구선수)|최창호]][br](2014~2021) || {{{+1 →}}} || '''채병용[br](2022~2023)''' || {{{+1 →}}} || 결번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채병용2023.png|width=100%]]}}} || ||<-2> '''{{{+2 채병용}}}[br]蔡秉龍 | Chei Byungyong''' || ||<|2> '''출생''' ||[[1982년]] [[4월 25일]][* 음력 4월 2일.] ([age(1982-04-25)]세) || ||[[전라북도]] [[군산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군산초 - 군산중 - [[신일고등학교 야구부|신일고]][* 군산에서 [[오승환]]과 함께 [[한서고등학교 야구부|한서고]]로 스카우트되었다. 2학년 때 신일고로 전학했으며, 오승환도 경기고로 전학갔다.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npb&ctg=news&mod=read&oFFice_id=382&article_id=0000161512|오승환의 인터뷰]]] || || '''신체''' ||185cm, 100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01년/신인드래프트#s-3.2|2001년 2차 4라운드]] (전체 34번, [[SK 와이번스|SK]]) || || '''소속팀''' ||'''[[SK 와이번스]] (2001~2019)''' || || '''지도자''' ||[[SSG 랜더스/2군|SSG 랜더스 2군]] 투수코치 (2022~2023)[* ~9월 2일] [br] [[SSG 랜더스]] 1군 불펜코치 (2023)[* 9월 3일~] || || '''프런트''' ||[[SSG 랜더스]] 원정 전력분석원 (2021) || || '''등장곡''' ||Donots - We Got The Noise || || '''본관''' ||[[평강 채씨]][* 목사공파(牧使公派)-성산 도암 종중 27세 병(秉) 항렬. 아버지 채양수(蔡良洙, 1938. 6. 21 ~ )는 26세 수(洙) 항렬.] || || '''가족''' ||배우자, 슬하 2남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SK 와이번스]] 소속 우완 [[투수]]. 前 [[SSG 랜더스]] 1군 불펜코치. [[이승호(1981)|이승호]]와 함께 저연차 시절부터 팀의 주축 투수로 활약하며 팀에 기여하였고, [[조웅천]], [[정대현(1978)|정대현]], [[김원형]]과 함께 2000년대 [[SSG 랜더스|SK 와이번스]]를 지탱한 대표적인 프랜차이즈 스타 투수이다. 궂은 일을 도맡아 하며 [[김광현]]의 등장 이전까지 팀의 국내 에이스 역할을 했던 선수로, [[2007년 한국시리즈|왕]][[2008년 한국시리즈|조]][[2009년 한국시리즈|시]][[2010년 한국시리즈|절]] 팀의 [[2007년 한국시리즈|연속]] [[2008년 한국시리즈|우승]] 시기에 주역으로 활약하였으나, 이듬해 부상을 겪으며 무너졌고, 2010년대엔 과거의 모습을 회복하지 못하였다. 때문에 빈볼 사건, 한국시리즈 끝내기 홈런 등과 묶여 안타깝게도 왕조 이후의 팬들에게 저평가를 받기도 한다. == [[채병용/선수 경력|선수 경력]] == ||<-5>
'''통합 선수 경력: [[채병용/선수 경력]]''' || ||<-5> [[KBO 리그|[[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10]]]]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2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e3466 80%, #ff0000 85%)" [[채병용/선수 경력#s-2.1|'''{{{#ffffff 2001~2006년}}}''']]}}} || [[채병용/선수 경력#s-2.2|'''{{{#ffffff 2007년}}}''']] || [[채병용/선수 경력#s-2.3|'''{{{#ffffff 2008년}}}''']] || || [[채병용/선수 경력#s-2.4|'''{{{#ffffff 2009년}}}''']] || [[채병용/선수 경력#s-2.5|'''{{{#ffffff 군 복무}}}''']] || [[채병용/선수 경력#s-2.6|'''{{{#ffffff 2012년}}}''']] || [[채병용/선수 경력#s-2.7|'''{{{#ffffff 2013년}}}''']] || [[채병용/선수 경력#s-2.8|'''{{{#ffffff 2014년}}}''']] || || [[채병용/선수 경력#s-2.9|'''{{{#ffffff 2015년}}}''']] || [[채병용/선수 경력#s-2.11|'''{{{#ffffff 2016년}}}''']] || [[채병용/선수 경력#s-2.12|'''{{{#ffffff 2017년}}}''']] || [[채병용/선수 경력#s-2.13|'''{{{#ffffff 2018년}}}''']] || [[채병용/선수 경력#s-2.14|'''{{{#ffffff 2019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AKCIg5iy-U)]}}} || || '''버팀목''' || == 지도자 경력 == 2022 시즌부터 1981년 출생의 좌완투수였던 [[이승호(1981)|이승호(1981)]], [[브랜든 나이트(야구)|나이트]] 코치와 함께 [[SSG 랜더스/2군|SSG 랜더스 2군]]의 투수코치를 맡게 되면서 코칭 커리어를 시작하게 되었다. 2022 시즌 SSG 랜더스 퓨처스팀은 타고투저 속에서 전체 11개 팀 중 평균자책점 전체 6위[* 1위 상무 ERA 3.65, 2위 NC ERA 3.87, 3위 LG ERA 4.22, 4위 한화 ERA 4.25, 5위 고양 ERA 4.32.], 자책점 전체 6위, 홀드 전체 6위, 피안타 전체 7위, 피홈런 전체 공동 9위, 볼넷 전체 5위 등 중위권 정도의 성적을 기록하면서 준수하게 시즌을 마무리하였다. 다만 선발 투수진의 이닝 소화는 크게 부족한 편이었는데 853이닝으로 전체 구단 중 꼴등을 기록했으며, 마찬가지로 마무리 투수 또한 부족하여 13세이브로 11개 구단 중 꼴등이다. 2023 시즌도 퓨처스팀에서 불펜코치를 역임하고 있었으나 8월 들어 SSG 랜더스의 타선과 투수진이 급격히 흔들리자 9월 3일, [[김원형]] 감독은 분위기 전환을 위해 코치진 보직 변경을 단행했고 타격 파트에서 [[정경배]] 1군 QC코치를 1군 타격코치, [[박정권]] 퓨처스 타격코치를 1군 보조 타격코치, 투수 파트는 이승호 1군 불펜코치가 1군 투수코치, 채병용 퓨처스 투수코치는 1군 불펜코치를 맡게 된다. 반대로 1군의 [[이진영]], [[오준혁]] 타격코치와 [[조웅천]] 투수코치는 2군으로 내려갔다. 시즌 후 재계약 불가 통보를 받고 팀을 떠났다. == 프런트 경력 == === [[SSG 랜더스]] === 은퇴 이후 구단의 지원 하에 해외 지도자 연수를 다녀올 계획이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으로 해외 연수를 가지 못했고 결국 강화 [[SK 퓨처스 파크]]에서 2군 선수들의 지도를 돕고 있던 도중 [[김대진(야구)|김대진]] 前 루키팀 책임코치와 함께 2021 시즌부터 [[SSG 랜더스]] 원정 전력분석원을 담당하게 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145402a-0764-4082-93e3-d46af2e20041.jpg|width=100%]]}}} || 2021년 10월 3일, 선수 생활을 은퇴한지 2년이 지나서야 은퇴식을 열었다. 다만 아쉽게도 [[사회적 거리두기/대한민국#s-3.2.3|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 격상으로 인해 무관중으로 진행됐다. 팬들은 전력분석원 부임 이후로 오랜만에 채병용을 보게 되어 반가워하는 동시에 팀을 위해 묵묵히 희생했던 선수가 관중없이 쓸쓸하게 은퇴하는 것이 아쉽다는 반응이다. OBS [[돌아온 불타는 그라운드]] 14화에 [[박정권]]과 함께 출연했다. 원정 전력분석원으로서의 일과와 본인만의 노하우를 다루었고, 박정권, [[박정배]]와 함께 현역 시절을 추억하며 담소를 나누었다. == 피칭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채병용 투구.gif|width=100%]]}}} || || '''140km/h 포심 패스트볼''' [br] vs [[나성범]] (2016년 7월 19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채병용 슬라이더.gif|width=100%]]}}} || || '''137km/h 슬라이더''' [br] vs [[박민우(야구선수)|박민우]] (2016년 7월 19일) || 평균적으로는 140km 안팎의 포심 패스트볼을 뿌리는데, 강속구 투수들이 득세하고 있는 요즘 추세에 비교하면 느린 편이다. 하지만 뛰어난 제구력과 '돌직구'로 불리는 뛰어난 구위로 이를 상쇄하고 있다. 타자를 상대할 때는 우타자가 나오면 바깥쪽으로 흘러나가는 [[슬라이더]]를, 좌타자가 나오면 몸쪽으로 떨어지는 종으로 변하는 슬라이더를 주로 던지기 때문에 좌타라도 방심하다가는 루킹삼진을 당하기 십상. 군복무 후 전성기에서 내려온 채병용은 구속의 한계+반발계수 증가로 뜬공 및 장타 허용이 많은 편이어서 가진 제구력에 비해서는 피해가는 승부를 하는 편이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채병용너클볼.gif|width=100%]]}}} || || '''2014 시즌부터 사용하기 시작한 너클볼''' [br] vs [[박한이]] (2014년 5월 8일) || 2014년 이후로는 [[너클볼]]을 던지기 시작했는데, 꽤 우수한 위력을 보여 주고 있다. 패스트볼이나 슬라이더처럼 좋은 위력을 보여 주는 구종은 아니지만 타이밍을 빼앗는 무기나 결정구로 사용할 만한 퀄리티는 있다. [[크리스 옥스프링]]에 비하면 부족하지만 KBO의 유일한 토종 너클볼러로서 기대를 모았다.[* 2스트라이크 이후 결정구로 쏠쏠하게 써먹었는데, 회전이 거의 안걸리고 존 직전에 뚝 떨어지는게 일품. 다만 컨트롤은 약간 미숙하다.] == [[채병용/선수 경력|연도별 주요 성적]] == * '''{{{#blue,#0000ff 푸른 글씨}}}'''는 KBO 최다, '''{{{#red,#ff0000 붉은 글씨}}}'''는 1위 입상 성적. '''진한 글씨'''는 리그 5위 내 입상 성적. ||<-17>
{{{#ffffff 역대 투수 기록}}} || || 연도 || 소속 || 경기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한국프로야구/2001년|2001]] ||<|19> [[SK 와이번스|SK]] ||<-15> 1군 기록 없음 || || [[한국프로야구/2002년|2002]] || 51 || 141 || 7 || 9 || 11 || 2 || 0.438 || 3.19 || 120 || 20 || 44 || 51 || 51 || 50 || 1.16 || || [[한국프로야구/2003년|2003]] || 34 || 114 || 9 || 5 || 4 || 2 || 0.643 || 4.82 || 113 || 9 || 59 || 84 || 66 || 61 || 1.51 || || [[한국프로야구/2004년|2004]] ||<-15> 1군 기록 없음 || || [[한국프로야구/2002년|2005]] || 26 || 121 || 8 || 8 || 0 || 1 || 0.500 || 4.24 || 103 || 18 || 54 || 96 || 63 || 57 || 1.30 || || [[한국프로야구/2006년|2006]] || 27 || 152⅔ || 7 || 8 || 0 || 0 || 0.467 || 3.07 || 136 || 10 || 55 || 97 || 60 || 52 || 1.25 || || [[한국프로야구/2007년|2007]] || 28 || 146 || 11 || 8 || 0 || 0 || 0.579 || '''2.84''' [br] (2위) || 137 || 8 || 47 || 84 || 51 || 46 || 1.26 || || [[한국프로야구/2008년|2008]] || 27 || 136⅔ || 10 || 2 || 0 || 1 || 0.833 || '''2.70''' [br] (4위) || 126 || 10 || 43 || 81 || 43 || 41 || 1.24 || || [[SK 와이번스/2009년|2009]] || 28 || 61⅓ || 3 || 3 || 2 || 3 || 0.500 || 4.70 || 66 || 11 || 25 || 53 || 32 || 32 || 1.48 || || [[SK 와이번스/2010년|2010]] ||<-15><|2> 군복무(공익근무요원) || || [[SK 와이번스/2011년|2011]] || || [[SK 와이번스/2012년|2012]] || 14 || 62⅔ || 3 || 3 || 0 || 0 || 0.500 || 3.16 || 67 || 3 || 22 || 42 || 22 || 22 || 1.42 || || [[SK 와이번스/2013년|2013]] || 12 || 20⅓ || 0 || 3 || 1 || 0 || 0.000 || 7.97 || 30 || 2 || 16 || 12 || 18 || 18 || 2.26 || || [[SK 와이번스/2014년|2014]] || 27 || 130 || 8 || 12 || 0 || 0 || 0.400 || 6.37 || 151 || 27 || 49 || 87 || 94 || 92 || 1.54 || || [[SK 와이번스/2015년|2015]] || 33 || 83 || 4 || 4 || 0 || 1 || 0.500 || 6.07 || 103 || 17 || 27 || 78 || 56 || 56 || 1.57 || || [[SK 와이번스/2016년|2016]] || 68 || 83⅔ || 6 || 3 || 2 || 9 || 0.667 || 4.30 || 77 || 9 || 29 || 67 || 43 || 40 || 1.27 || || [[SK 와이번스/2017년|2017]] || 43 || 50 || 6 || 4 || 0 || 6 || 0.600 || 6.84 || 62 || 8 || 18 || 43 || 40 || 38 || 1.54 || || [[SK 와이번스/2018년|2018]] || 29 || 30 || 2 || 1 || 1 || 3 || 0.667 || 4.80 || 33 || 8 || 8 || 15 || 16 || 16 || 1.37 || || [[SK 와이번스/2019년|2019]] || 4 || 3⅔ || 0 || 0 || 1 || 1 || - || 9.82 || 7 || 2 || 4 || 3 || 4 || 4 || 2.73 || ||<-2> '''[[KBO 리그|KBO]] 통산''' [br] (14시즌) || 451 || 1336 || 84 || 73 || 22 || 29 || 0.535 || 4.21 || 1331 || 161 || 496 || 968 || 659 || 625 || 1.37 || ||<-3>
{{{#ffffff 완투, 완봉 기록}}} || || 연도 || 완투 || 완봉 || || 2002 || '''2완투''' [br] (5위) || '''{{{#red,#ff0000 2완봉}}}''' [br] (1위) || || 2014 || '''1완투''' [br] (2위) || 0완봉 || || '''[[KBO 리그|KBO]] 통산''' || 3완투 || 2완봉 || ||<-14>
{{{#ffffff 역대 타자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장타율 || 출루율 || || 2002 ||<|4> [[SK 와이번스|SK]] || 1 || 0 || - || 0 || 0 || 0 || 0 || 0 || 0 || 0 || - || - || || 2009 || 1 || 0 || - || 0 || 0 || 0 || 0 || 0 || 0 || 0 || - || - || || 2015 || 1 || 0 || - || 0 || 0 || 0 || 0 || 0 || 0 || 0 || - || - || || 2016 || 2 || 0 || - || 0 || 0 || 0 || 0 || 0 || 0 || 0 || - || - || ||<-2> '''[[KBO 리그|KBO]] 통산''' || 5 || 0 || - || 0 || 0 || 0 || 0 || 0 || 0 || 0 || - || - || 타자 기록이 있는 5경기 모두 지명타자 소멸로 인한 것으로 실제 타석에 들어선 적은 한 번도 없다. == 여담 == * 팬들이 지어준 친근한 별명으로 "'''육수'''"가 있다. 등판해서 땀을 워낙 많이 흘렸기 때문에 이런 별명이 붙었다. 바리에이션으로 육수갑, 육수형, 육쇼 등이 있다.[* 2008년 대체 외국인 선수로 영입된 흑인 투수 [[에스테반 얀]]의 별명이 흑병용이었다. 채병용과 덩치가 비슷했던데다 이 선수 역시 땀 방출량이 어마무시했기 때문.] * [[선동열]], [[김응용]] 등과 마찬가지로 가끔 이름이 '채병용'이 아닌 '채병룡'으로 표기될 때가 있다. * 어릴 적 집안이 찢어지게 가난하여 유년기 시절부터 [[http://mlbpark.donga.com/bbs/view.php?bbs=mpark_bbs_kbo&idx=447398|고생한 사연이]] 많다. 오죽했으면 훈련장까지의 장거리를 급하게 가야 하는데 [[택시]]를 타본 적이 없어서 택시타고 가야겠다는 생각도 못했을 정도. * [[2009년 한국시리즈]]에서 [[나지완]]에게 시리즈를 끝내는 끝내기 홈런을 [[허용투수|허용한 적이 있기 때문에]] 나지완이 어디서 끝내기라도 치면 무조건 채병용의 이름이 언급되며, '''나지완이 은퇴식하면 꽃다발은 채병용이 전해줘라'''는 식으로 계속 1패를 당하고 있다.[* 아쉽게도 나지완의 은퇴식 날 채병용은 나오지 않았지만 대신 경기 전과 은퇴식을 진행하면서 나오는 영상에 매번 2009년 한국시리즈 끝내기 홈런이 나왔으며 은퇴식 행사 중 하나도 2009년 한국시리즈 7차전을 재현하는 것이어서 졸지에 끝내기 홈런만 여러번 맞은 투수가 되어버렸다.] 심지어 이 때 홈런으로 인해 [[KIA 타이거즈 갤러리]]에서는 잊을 만 하면 언급되는 사실상 명예 갤주행. * 비단 나지완에게 허용한 끝내기 홈런 이외에도 한날 한시에 [[강정호]]의 유격수 최초 40홈런과 [[서건창]]의 국내 최초 단일 시즌 200안타 신기록을 허용한적이 있다. 덕분에 나무 위키 [[허용투수]] 문단에도 특별 멤버로 이름이 올라가있다. * [[파일:attachment/1249980109_47.jpg|width=400]] 언젠가 [[인천 SSG 랜더스필드|인천 SK행복드림구장]]에서 경기를 하던 중, [[MBC SPORTS+|MBC ESPN]]의 매의 눈에 덕아웃에서 채병용이 여성용 가발을 머리에 쓰고 있는 장면이 걸렸고, 채병용의 별명은 '''문학녀'''가 되었다. 장발 짤이 하나 더 있다. [[:파일:EcIPhu0.jpg|화질이 낮아 혐짤취급]]이긴 하지만... * SK 원정 버스기사가 "본인에게 제일 친절하게 대해준 사람"으로 채병용을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525&aid=0000000126&redirect=false|꼽았다.]] 2016년 10월 8일 [[전병두]] 선수의 은퇴 경기에서 [[전병두]]를 위해 송사를 불렀으며 감정에 복받쳐 우는 모습을 보이기도. * 고등학교 시절의 별명이 '''채뱅용'''이였다 한다. * 한서고 시절 한솥밥을 먹었던 [[오승환]]의 훈련량을 보고 놀랐다고 한다.[[http://www.sportsseoul.com/news/read/68048#csidx943bf381ce2b3ebb3233e9b30e6968f|SK 채병용 "오승환 고교때부터 미친 놈이었다"]] * 한서고에서 지금의 배우자를 만났다.[[http://sports.hankooki.com/lpage/baseball/200812/sp2008121820405957390.htm|#]] * [[스톡킹]]에 출연하였다. 배우자를 만나게 된 스토리, 회비도 안 내는데 밥을 많이 먹어서 다른 학부모들에게 구박받은 스토리를 [[정용검]]이 풀어내자 깜짝 놀라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채병용 본인이 선수 시절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풀어낸 내용인데 기억을 못하였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82년 출생]][[분류:2002년 데뷔]][[분류:2019년 은퇴]][[분류:군산시 출신 인물]][[분류:신일고등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SK 와이번스-SSG 랜더스/은퇴, 이적]][[분류:KBO 승률왕]][[분류:원클럽맨]][[분류:평강 채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