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기)] [include(틀:역대 채 군주)] |||||| '''{{{#ece5b6 채(蔡)나라 초대 국군[br]{{{+1 채숙 도}}}[br] 蔡叔 度}}}''' |||||||||| |||| '''[[성씨|{{{#ece5b6 성}}}]]''' |||| 희(姬) || |||| '''[[본관|{{{#ece5b6 씨}}}]]''' |||| 채(蔡) || |||| '''[[휘|{{{#ece5b6 휘}}}]]''' || 도(度) || |||| '''{{{#ece5b6 아버지}}}''' |||| [[주문왕]](周文王) 희창(姬昌)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주나라]]의 제후국 [[채나라]]의 초대 [[군주]]. [[문왕(주)|문왕]]의 오남. [[무왕(주)|무왕]]과 [[주문공|주공]]의 동복 아우. 삼감 중 한명이다. 주무왕이 상나라를 멸한 뒤 채 땅에 봉해졌다. [[성왕(주)|성왕]] 대에 관숙 선, 곽숙 처[* 다만 곽숙은 논란이 있다.]와 [[상나라]] [[주왕]]의 아들인 무경의 반란에 협력했으나 [[주공단]]에 의해 진압되었다.[* 주공이 진압했는지도 논란이 있다. 기록이 상충되기 때문이다.] 무경과 관숙은 처형되고 곽숙과 채숙은 유배된다. 채숙 도는 유배지에서 죽었고, 아들인 공자 호 대에 나라가 복국되어 채나라를 이어나가니 그가 바로 [[채중호]]다. == 생애 == 채숙 도는 주 문왕의 오남으로 태어났다. 주 문왕이 죽은 뒤 둘째 형인 주 무왕이 뒤를 이었다.[* 그 형인 백읍고는 주왕에게 잡혀 [[살해]]되었기 때문이다.] 주 무왕 원년, 주 무왕이 상나라를 멸해 [[주나라]]가 천하의 패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주 무왕은 정권을 공고하게 하기 위해 [[봉건제]]를 실시했다. 큰 공을 세운 신하들, 종실의 어른의 후손과 공로를 세운 형제들에게 분봉을 하였다. 무왕은 주왕의 아들 무경으로 하여금 상나라 유민을 다스리게 하고 무경을 감시하기 위해 관숙 선, 채숙 도, 곽숙 처를 무경의 주위에 봉건한다.. 이들을 삼감(三監)이라고 한다.[* 3명의 감시자라는 뜻.] 몇 년 뒤 주 무왕이 죽고 주 성왕이 즉위했는데, 그가 어려서 주공 단이 정사를 대신 돌보았다. 그러나 채숙 도, 관숙 선, 곽숙 처는 이것에 불만을 품고 주공 단을 모함했다. 주 성왕 2년, 채숙 도는 무경, 관숙 선, 곽숙 처와 함께 반란을 일으킨다.[* 앞서 말했듯이 곽숙은 논란이 있다.] 이것을 삼감의 난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2년 뒤인 주 성왕 4년, 주공 단이 이들의 반란을 진압하고 동쪽 이민족을 정벌한다(주공의 동정).[* 다만 주공이 권력에서 쫓겨났다는 기록도 있기 때문에 실제로 주공이 반란을 진압한 것인지 논란이 있다.] 무경과 관숙 선은 처형되고 채숙 도는 곽령 땅으로 유배되었다. 채숙 도는 유배지에서 죽었다. [[분류:채나라의 군주]][[분류:창업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