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채 군주)] |||||| '''{{{#ece5b6 채(蔡)나라 18대 국군[br]{{{+1 영후}}}[br] 靈侯}}}''' || |||| '''[[성씨|{{{#ece5b6 성}}}]]''' || 희(姬) || |||| '''[[본관|{{{#ece5b6 씨}}}]]''' || 채(蔡) || |||| '''[[휘|{{{#ece5b6 휘}}}]]''' || 반(般) || |||| '''{{{#ece5b6 아버지}}}''' || [[채경후]](蔡景侯) 희고(姬固)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531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542년 ~ 기원전 531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춘추시대]] [[채나라]]의 제18대 [[군주]]. [[채경후]]의 아들. [[채평후]]의 형. == 생애 == === 한 여자를 두고 패륜이 일어나다 === 아버지인 채 경후가 초나라에서 세자 반, 즉 채 영후의 아내를 맞았는데 그 며느리와 채 경후가 간통해버렸다. 이에 빡친 세자 반은 아버지 채 경후를 죽여버리고 그 뒤를 이으니 그가 바로 채 영후다. === 즉위 후 === 채 영후 원년(기원전 542년), 아버지 채 경후의 시신을 안장했다. 채 영후 2년(기원전 541년) 정월, 채영후는 공자 귀생을 [[노나라|노(魯)나라]]의 숙손표(叔孫豹), [[진(춘추오패)|진(晉)나라]]의 [[조무(춘추시대)|조무]](趙武), [[제(춘추전국시대)|제(齊)나라]]의 국약(國弱), [[송(춘추전국시대)|송(宋)나라]]의 상술(向戌), [[진(춘추전국시대)|진(陳)나라]]의 공자 초, [[정나라]]의 한호 등과 옛 괵나라 땅에서 회맹했다. 그 이유는 송나라에서 맺은 우호를 다지기 위해서이다. 채 영후 5년(기원전 538년) 여름, 채 영후는 [[초(춘추전국시대)|초(楚)나라]], 진(陳)나라, 정나라와 신 땅에서 회맹했다. 겨울에 오나라를 치는데 참여해 제나라의 간신 [[경봉]]을 처치했다. 채 영후 6년(기원전 538년) 겨울, 채 영후는 다시 초나라, 진나라, [[월나라]]와 함께 [[오(춘추시대)|오나라]]를 쳤다. === 초 영왕에게 죽다 === 채 영후 12년(기원전 531년), [[초영왕]]은 채 영후가 아버지 채 경후를 죽인 죄를 묻기 위해 잔치에 초대해 그가 꽐라가 된 틈을 타 숨겨 놓은 무사들에게 처치해버리게 했다. 그리고는 초 영왕이 공자 기질[* 훗날의 [[초평왕]].]을 불러 채나라가 혼란한 틈을 타서 쳐서 멸한 뒤 공자 기질이 채공[* 채현의 현령.]이 되어 채나라를 관리하게 했다. === 채 영후의 사후 복국 === 3년 뒤 채공 공자 기질이 초 영왕을 죽이고 왕이 되니 그가 바로 [[초평왕]]이다. 초 평왕은 채 영후의 아우인 공자 려(廬)를 채나라의 군주로 세우니 그가 바로 채 평후다. [각주] [[분류:채나라의 군주]][[분류:기원전 531년 사망]][[분류:살해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