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사전적 의미 == Challenger[ˈtʃælɪndʒə(r)]. '[[도전]]하다'라는 뜻의 동사 [[챌린지|challenge]]에 행위주 [[접미사]] '-[[ER|er]]'이 결합한 것이다. 한국어로는 '[[도전자]]'라는 뜻이 된다. == 현실의 탈것 == === [[아폴로 계획]]의 챌린저호 === 인류 역사상 (현재까지) 최후의 유인 달 착륙 미션인 [[아폴로 17호]] 미션에서 달 착륙선의 이름으로 쓰였다. === 미국 [[챌린저 우주왕복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챌린저 우주왕복선)] [[STS-51-L|1986년 1월 28일의 대형사고]]로 인해 폭발했다. === [[제2차 세계 대전]] [[영국군]] [[순항전차]] [[A30 챌린저]] === [[파일:external/i104.photobucket.com/challenger.jpg|width=500]]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30 챌린저)] A30 Challenger === [[영국군]] 3세대 [[주력 전차]] [[챌린저 1]] & [[챌린저 2]] === [[파일:external/fas.org/challenger-patrol3.jpg|width=500]]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챌린저 1)] FV4030 Challenger [[파일:external/www.fprado.com/Challenger2-Iraq.jpg|width=500]]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챌린저 2)] FV4034 Challenger 2 === 미국 [[닷지(자동차)|닷지]] 사의 [[머슬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닷지 챌린저)] === 미국의 증기기관차 [[유니온 퍼시픽 챌린저]] === [[파일:external/fc03.deviantart.net/up_3977_by_pwesty-d2zr548.jpg|width=500]]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유니온 퍼시픽 챌린저)] [[미국]] [[유니온 퍼시픽]]에서 운용했었던 [[증기 기관차]]. === [[봉바르디에]]의 [[비즈니스 제트기]] === 캐나디어(Canadair)에서 개발, 현재 [[봉바르디에]]에서 생산하는 중/대형 비즈니스 제트기 시리즈. * Challenger 300 Series - 원래는 봉바르디에 컨티넨탈이었으나 이후 챌린저 시리즈에 편입되었다. 300/350 두가지 버전이 있다. * Challenger 600 Series - 캐나디어 시절부터 생산되는, 대서양 횡단이 가능한 대형 비즈니스 제트기. * Challenger 800 Series - [[CRJ200]]에서 파생된 비즈니스 제트기. 800/850 두가지 버전이 있다. == 창작물 == === [[리그 오브 레전드]]의 최고 랭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리그 오브 레전드/랭크 게임)] === [[전국마신 고쇼군]]의 [[동양비디오|동양프로덕션/D&S]] 비디오판 제목 === * [[전국마신 고쇼군]] * [[고쇼군]] 해당 판본에서 등장 메카 이름도 챌린저이다. === [[스타크래프트 맵]] === || {{{#white {{{+3 Challenger}}}}}} || || [[파일:external/img4.wikia.nocookie.net/Challenger_SC1_Game1.jpg|width=100%]] || || {{{#white You have been challenged. Will you accept? 당신은 도전을 받았습니다. 받아들이겠습니까?}}} || ||{{{#white * 크기 : 96×128 * 타일셋 : 악지 * 플레이어 : 2}}} || [[스타크래프트/1.09~1.16 패치#s-6|1.14 패치]] 이전까지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오리지널)|오리지널]] 맵 목록 맨 위에 있었던 2인용 맵이다.[* 현재는 보틀넥(Bottleneck)이 가장 맨 위에 위치한다.] 싱글 커스텀 플레이 및 멀티플레이시 맨 처음 커서가 가 있는 맵이기 때문에 맵에 대한 지식이 없던 초보들이 주로 플레이했지만, 본진 크기가 지나치게 넓어 기지 방어가 힘들고 2시와 7시의 섬멀티를 제외하면 모든 멀티가 미네랄과 가스가 따로 존재하는 등[* 오리지널 당시까지 자주 있었던 맵 배치였다.] 질적으로 썩 좋은 맵은 아니어서 자주 플레이되지는 않았다. [[임요환]]과 시각장애인 게이머 이민석(Leemin, 랜덤)의 [[https://theuranus.tistory.com/4773|이벤트 경기]]가 벌어진 맵이기도 하다(2004 Blizzard Worldwide Invitational). 훗날 2017년 11월 8일 '게임문화 체험관 10주년 컨퍼런스'에 나타나 [[https://www.donga.com/news/It/article/all/20171108/87174089/1|본인의 이야기를 전했다]]. 2023년 5~6월 특별전 [[http://esportshistory.kr/notice/view/358|한국 이스포츠의 시작 '스타크래프트]]에 본인의 이야기가 벽에 걸렸다. >'''운명을 극복하는 아름다운 승부사''' >이민석은 시각장애인이면서도 수준 높은 경기력을 보유한 아마추어 스타크래프트 플레이어이다. 2004년 황제 임요환과의 스타크래프트 경기에서 놀라운 실력을 보여준 그는 "게임 속의 각 병력이 어떻게 생겼는지 모르지만, 각기 내는 소리는 모두 다르다"며 "이 소리를 외우고, 전투 중의 비명 등을 참조해 적의 위치와 전세를 파악한다"고 설명해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했다. 한계를 뛰어넘는 그의 열정과 노력은 많은 e스포츠 팬들에게 커다란 도전과 감동을 선사하였다. === [[패밀리 컴퓨터]] 게임 [[챌린저(1985년 게임)]] === 항목 참조. == 음악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DJMAX 수록곡, rd1=Challenger(DJMAX))] [include(틀:다른 뜻1, other1=Perfume의 베스트앨범 수록곡, rd1=Challenger(Perfume))] [include(틀:다른 뜻1, other1=JO1의 싱글 3집, rd1=CHALLENGER(JO1))] [각주] [[분류:동음이의어]][[분류:영어 단어]][[분류:스타크래프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