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5 天順}}} 중국과 베트남에서 사용된 연호이다. == 중국의 연호 == === 원나라의 제7대 황제인 폐제 [[천순제(원)|라기바흐]]가 사용한 연호 === ||<-5><:><#004db1> '''[[몽골 제국|{{{#fff 원(몽골 제국)}}}]]{{{#fff 의}}} [[연호|{{{#fff 연호}}}]]''' || ||<:> [[진종(원)|이순테무르 칸]][br]치화(致和)[br],,([[1328년]]),, ||<:> {{{+1 →}}} ||<:> '''{{{#fff [[천순제(원)|{{{#fff 라기바흐 칸}}}]][br]천순(天順)[br],,([[1328년|{{{#fff 1328년}}}]]),,}}}''' ||<:> {{{+1 →}}} ||<:> [[문종(원)|자야아투 칸]][br]천력(天曆)[br],,([[1328년]] ~ [[1332년]]),, || [[원나라]]의 제7대 황제인 보르지긴 라기바흐가 사용한 연호이다. 치화 원년에 이순테무르가 사망하면서 이순테무르의 태자인 라기바흐가 즉위하고 개원하였다. 하지만 직후 투그테무르와 쿠살라가 반란을 일으켜 라기바흐를 폐위시켰고, 투그테무르가 즉위하여 천력 연호를 사용하였다. === 명나라의 제6대 황제인 영종 [[주기진]]이 사용한 연호 === ||<-5><:><#f0c420> '''[[명나라|{{{#800000 명나라}}}]]{{{#800000 의}}} [[연호|{{{#800000 연호}}}]]''' || ||<:> [[경태제|대종]][br]경태(景泰)[br],,([[1450년]] ~ [[1457년]]),, ||<:> {{{+1 →}}} ||<:> '''[[천순제(명)|{{{#800000 영종}}}]][br]{{{#800000 천순(天順)[br],,([[1457년|{{{#800000 1457년}}}]] ~ [[1464년|{{{#800000 1464년}}}]]),,}}}''' ||<:> {{{+1 →}}} ||<:> [[성화제|헌종]][br]성화(成化)[br],,([[1465년]] ~ [[1487년]]),, || 중국 [[명나라]]에서 사용된 연호이다. [[토목의 변]]으로 황제였던 영종 주기진이 [[오이라트]]에 붙잡혔다가 1457년 [[탈문의 변]]으로 복위하면서 사용하였다. 1457년부터 1464년까지 사용되었다. 본래 황제가 바뀐 이듬해부터 새 연호를 사용하는 원칙에 따르면 영종이 복위한 이듬해인 1458년부터 천순 연호를 사용해야 했으나 이 천순 연호는 예외적으로 영종의 복위 후 곧바로 개원하여 1457년부터 바로 사용하였는데, 이는 [[경태제]]의 정통성을 부인할 목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 베트남의 연호 == ||<-5><:><#fedc89> '''[[리 왕조|{{{#670000 리 왕조}}}]]{{{#670000 의}}} [[연호|{{{#670000 연호}}}]]''' || ||<:> [[인종(리)|인종]][br]천부경수(天符慶壽)[br],,([[1127년]]),, ||<:> {{{+1 →}}} ||<:> '''{{{#670000 [[신종(리)|{{{#670000 신종}}}]][br]천순(天順)[br],,([[1127년|{{{#670000 1127년}}}]] ~ [[1133년|{{{#670000 1133년}}}]]),,}}}''' ||<:> {{{+1 →}}} ||<:> [[신종(리)|신종]][br]천창보사(天彰寶嗣)[br],,([[1133년]] ~ [[1138년]]),, || 베트남 [[리 왕조]]의 제5대 황제인 [[신종(리)|신종]]이 사용한 연호이다. [[분류:연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