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고사성어|{{{#white 고사성어}}}]]''' || ||<:> {{{+5 '''[[千]]'''}}} ||<:> {{{+5 '''[[載]]'''}}} ||<:> {{{+5 '''[[一]]'''}}} ||<:> {{{+5 '''[[遇]]'''}}} || ||<:> 일천 천 ||<:> 실을, 해 재 ||<:> 한 일 ||<:> 만날 우 || [목차] == 겉 뜻 == 천 년에 한 번 만난다. 여기에서 재(載)는 해라는 뜻으로 쓰였다. 다만 저 재(載)란 글자는 만, 억처럼 큰 숫자의 단위로도 취급되는데, 이를 곧이곧대로 받아들이면 [[재#s-2|1000재]], 즉 10^^47^^번에 한 번으로 여길 수도 있다. == 속 뜻 == 좀처럼 얻기 어려운 좋은 기회(機會)를 이르는 말 == 출전 == * [[동관한기]](東觀漢記) * [[소명문선|문선]](文選) 동진 시대의 학자로 동양 태수(東陽 太守)[* 하북성,,,河北省,,,에 있는 지역명]를 지낸 [[원굉(동진)|원굉]](遠宏)이 삼국시대의 건국 명신 20명을 찬양한 글 《삼국명신서찬(三國名臣序贊)》을 남겼는데, 그 중 후한 말 [[순욱]](荀彧)[* 자,,,字,,,가 문약,,,文若,,,이다.]을 찬양한 글에서 '천재일우 현지지가회(千載一遇 賢智之嘉會;현명한 군주와 지모가 뛰어난 신하가 만나는 기회는 천년에 한 번쯤이다)' 라는 구절에서 나온 말이다. [[분류:고사성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