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373a3c,#373a3c '''{{{+1 {{{#e73268,#e73268 천}}}{{{#74bc43,#74bc43 지}}}{{{#006cb8,#006cb8 창}}}{{{#f6ac0e,#f6ac0e 조}}} {{{#74bc43,#74bc43 디}}}{{{#006cb8,#006cb8 자}}}{{{#e73268,#e73268 인}}}{{{#006cb8,#006cb8 부}}}}}}'''[br]{{{#e73268,#e73268 天}}}{{{#74bc43,#74bc43 地}}}{{{#006cb8,#006cb8 創}}}{{{#f6ac0e,#f6ac0e 造}}}{{{#74bc43,#74bc43 デ}}}{{{#006cb8,#006cb8 ザ}}}{{{#e73268,#e73268 イ}}}{{{#74bc43,#74bc43 ン}}}{{{#006cb8,#006cb8 部}}}}}}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천지창조 디자인부 단행본 만화.jpg|width=100%]]}}} || || '''{{{#ffffff,#ffffff 장르}}}''' ||[[개그물|개그]], [[판타지]] || || '''{{{#ffffff,#ffffff 작가}}}''' ||원작・원안: 헤비조, [[스즈키 츠타]][br]작화: 타라코 || || '''{{{#ffffff,#ffffff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코단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원씨아이]] || || '''{{{#ffffff,#ffffff 연재처}}}''' ||월간 모닝two || || '''{{{#ffffff,#ffffff 레이블}}}''' ||모닝 KC || || '''{{{#ffffff,#ffffff 연재 기간}}}''' ||2017년 3월호 ~ 연재 중 || || '''{{{#ffffff,#ffffff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8권 ,,(2022. 07. 22.),,[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8권 ,,(2022. 11. 24.),,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개그물|개그]] 만화. 원작・원안은 헤비조(蛇蔵), [[스즈키 츠타]], 작화는 타라코(たら子)가 담당했다. == 줄거리 == >'''이상한 생물이 보인다면 그건 우리의 소행!''' > >지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동물들. 그 동물들은 왜 ‘그러한 형태·생태’일까…. 사실 천상에는 신의 억지스런 요구에 휘둘려 생물을 디자인하는 ‘디자인부’가 있는 것이다!! > >‘유니콘은 왜 실재하지 않을까?’, ‘맛있는 생물의 조건이란?’, ‘바다 최강의 동물은?’…. 전대미문 생물 코미디 개막!! 신의 의뢰로 동물을 창조하는 회사 [[천지창조]]사의 디자인부를 배경으로, 신과 연락하는 천사나 디자이너 기술자들이 날마다 모색과 갈등을 겪어가며 생물을 만들어간다는 이야기이다. == 발매 현황 == ||
'''01권''' || '''02권''' || '''03권''' || || [[파일:천지창조 디자인부 1권 (한국).jpg|width=100%]] || [[파일:천지창조 디자인부 2권 (한국).jpg|width=100%]] || [[파일:천지창조 디자인부 3권 (한국).jpg|width=10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7년 11월 22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0년 05월 06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8년 06월 22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0년 06월 03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9년 01월 23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0년 07월 21일''' || || '''04권''' || '''05권''' || '''06권''' || || [[파일:천지창조 디자인부 4권 (한국)2.jpg|width=100%]] || [[파일:천지창조 디자인부 5권 (한국).jpg|width=100%]] || [[파일:천지창조 디자인부 6권 (한국).jpg|width=10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9년 08월 23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0년 08월 06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0년 04월 23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0년 10월 14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1년 01월 2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1년 04월 28일''' || || '''07권''' || '''08권''' || '''09권''' || || [[파일:천지창조 디자인부 7권 (한국).jpg|width=100%]] || [[파일:천지창조 디자인부 8권 (원판).jpg|width=100%]] ||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width=10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1년 10월 2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03월 24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2년 07월 22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11월 24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년 월 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년 월 일''' || [[코단샤]]의 만화잡지 월간 모닝two에서 연재 중이며 단행본은 모닝 KC 레이블로 발매되었다. 한국어판은 [[대원씨아이]]에서 정발하고 있다. == 특징 == 각종 신기하게 생긴 생물들을 생물제작을 하청받는 천계 디자인부라는 컨셉으로 재밌게 풀어내어 소개한다. 대개 이야기의 구조는 클라이언트의 의뢰 → 디자인부의 각종 아이디어 도출 → 현실화가 어려운 이유 발견 → 개량 → 클라이언트의 채택으로 이루러진다. 물론 이때 클라이언트는 [[신]]이다. 이를테면 이런 식이다. 클라이언트(신)이 '높은 곳의 나뭇잎을 따먹는 생물'이라는 의뢰를 한다. 디자인부는 [[페가수스|날개 달린 말]], 키가 늘었다 줄었다 하는 식충 식물을 닮은 생물, 단순히 목이 긴 [[사슴]] 등의 아이디어를 내놓는다. 날개 달린 말은 무게, 근육량 등의 문제로 현실성이 낮아 기각, 키가 조절되는 식물은 중력을 버틸 수 없어 기각되고, 목이 긴 사슴은 머리까지 피를 보낼 수 없어 기각된다. 이를 개량하여 목이 짧고 다리가 긴 사슴으로 디자인을 변경하지만 이번엔 물을 못 마신다는 단점이 생기고, 절충안으로 목과 다리 길이가 비슷한 길이의 키 큰 사슴, 즉 [[기린]]이 탄생하여 채택된다. 식충 식물을 닮은 생물은 중력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심해에서 활동하는 것으로 별개 채택, [[탁구공나무해면]]이 된다. 이런 식으로 단순히 재미만이 아니라 전문적인 생물 지식으로 왜 이런 모양이면 안 되는지, 어떻게 개량해야 하는지 꽤 자세히 설명하기 때문에 위와 같이 페가수스, [[유니콘]] 같은 생물이 왜 존재하기 어려운지까지 재밌게 풀어낸다. 현실의 디자이너들에 대한 고충이 종종 보이기도 한다. 알아서 자유롭게 하라면서 애매모호하게 던져놓고 정작 결과를 받으니 마음에 안 든다고 찡찡대는 클라이언트라던가 일단 직장만 아니면 되니까 어디 멀리 떠나고 싶다는 실없는 대화라던가... == 등장인물 == * '''시모다'''(下田) {{{-1 - 성우: [[에노키 쥰야]]}}} [[파일:천지창조 디자인부 - 시모다.jpg|width=600]] 신장: 171cm, 몸무게: 60kg [* 애니 5화의 내용으로 유추.] 본작의 주인공이자 General Omnipotence Development company(약칭 GOD)의 말단 사원인 천사. 선배인 우에다와 마찬가지로 신의 말을 들을 수 있는 메신저 역할을 한다. 덕분에 신의 어려운 주문과 디자이너들의 참신한 아이디어에 휘둘린다.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아[* 태어난 지 얼마 안 됐다는 발언으로 보아 1화 직전에 만들어진 듯하다.] 호기심이 왕성하고 공부에 열심이다. 특기는 제과로, 디자이너들이 티타임을 즐길 때 같이 먹을 과자를 만들어 온다. 맛도 호평을 받고 있으며, 특히 먹는 걸 좋아하는 키무라는 늘 몰래 더 가져간다. 의외로 힙합 음악에도 조예가 있고 비트박스도 잘한다. 태어난 지 얼마 안 돼서 [[악필|글씨가 매우 개판]]이다. ---- * '''우에다'''(上田) {{{-1 - 성우: [[하라 유미]]}}} [[파일:천지창조 디자인부 - 우에다.jpg|width=600]] 시모다의 상관인 천사이며 마찬가지로 신의 말을 들을 수 있는 메신저 역할을 한다. 디자이너들의 파격적인 아이디어에 익숙해져 있어 시모다라면 놀라 자빠질 일들에 생글생글 웃으며 의연하게 행동한다. 현재까지 우에다를 놀래킬 수 있다고 확인된 존재는 신뿐이다. [[타락천사]]가 된 적이 있다. 시모다와 우나바라의 실수로 [[불가사리]]의 성질이 적용되어 무한 증식한 [[자이언트 팬더]]를 포획하려고 츠치야가 투입한 [[체체파리]]의 효과가 잘 나타나도록 저주를 걸었고 즉시 [[타락천사|타천]]하여 지옥에 좌천된 것인데, 사실 지옥에 업무로 파견된 것 뿐이었다. ~~타천=출장~~ ---- * '''츠치야'''(土屋) {{{-1 - 성우: [[이노우에 카즈히코]]}}} [[파일:천지창조 디자인부 - 츠치야.jpg|width=600]] 천지창조사 동물 디자인부의 부장. 대표적으로 창조해낸 생물체는 말. 말을 창조해내고 나서는 그 디자인에 빠져서 뭐만 하면 말을 베이스로 한다고 한다. 하지만 대부분은 기각되는 편.[* 페가수스를 만들었더니 근육량이 부족해서 날수가 없고 유니콘은 뿔을 구성하는 칼슘이 부족한 나머지 바로 뻗어버렸다. 그나마 켈피를 조정한 해마는 ~~다행이도 ~~채택.] 그래도 말에 막힌 건 아니고, 말 모양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면 참신한 디자인을 술술 생각해낸다. 대표적인 사례로 [[홍해파리]]와 [[올빼미]]가 있다. 손자 바보라 켄타에게 매우 무르게 군다. 손자의 낙서를 신이 내키는 대로 채용하자[* 자신이 직접 그린 [[해마]] 암컷과 수컷의 스케치에 켄타가 낙서를 해서 암컷을 아빠로, 수컷을 엄마로 만들어 버렸다.] 미래의 인재를 좌절시킬 순 없다며 다른 디자이너들을 설득해 훌륭한 아이디어로 재탄생시키기도 했다. 켄타에게 직업을 물려줄 생각인 듯. ---- * '''키무라'''(木村) {{{-1 - 성우: [[우메하라 유이치로]]}}} [[파일:천지창조 디자인부 - 키무라.jpg|width=600]] 디자이너. 대표적으로 창조해낸 생물체는 소. 항상 웃고 있는 미남. 한없이 부드러운 분위기와 호인 포스를 뿜어대지만, 실상은 모든 것을 먹는 걸로 연결시키는 대식가다. 맛도 중요한 포인트라고 생각하고 시작한 생물을 맛보고 싶어한다. 다른 디자이너들의 작품도 노리고 있다. 그렇다 보니 자신이 창조하는 생물에 애착이 강한 우나바라는 키무라를 보고 덜덜 떨기도 한다. 하지만 맛있는 동물은 많이 잡아먹혀서 멸종하기 쉽기 때문에, 겉모습은 야생에서 끈덕지게 살아남을 것 같은 강인해 보이는 외모를 선호하는 편이다. 우나바라와 펭귄 디자인 정하기 대결에서 최대한 '안' 귀엽게 만들겠다는 각오를 드러내기도 했다. 디자인부 전원이 갈라파고스 위안 여행 에피소드에서는 금속도 녹이는 강력한 위액을 내뱉는 생물을 데려왔는데 [[제노모프|디자인이....]][* 결국 이 생물은 나베가 되어 디자인부의 한끼 식사가 되었고 디자인이 수정되어서 [[꽃게]]가 되었다.] 디자인할 동물의 특징을 완벽하게 이해하려면 직접 그 동물의 삶을 겪어야 한다고 생각해서 유독 자기 몸을 개조하는 일이 많다. ---- * '''미즈시마'''(水島) {{{-1 - 성우: [[스와베 쥰이치]]}}} [[파일:천지창조 디자인부 - 미즈시마.jpg|width=600]] 디자이너. '''혁신'''이란 키워드에 집착하면서 입고 있는 옷차림이나 안경 등 여러모로 [[스티브 잡스|어떤 분]]을 모티브로 해서 만든 것처럼 보이는 캐릭터.~~신발을 보니 빼박이다~~ 대표적으로 창조해낸 생물체는 바로 [[뱀]]이다.[* 뱀에 유독 애착이 있는지 나중에 카나모리가 뱀잡이수리를 디자인하자 제대로 경악한다.] 혁신적이고 상식에 얽매이지 않는, 공격적인 디자인이 모토. 심플한 외형과 군더더기 없는 기능을 선호한다. 미(美)보다도 실용성을 중시하다 보니 아름다운 것을 중시하는 카나모리와는 자주 앙숙이 되기도 하지만, 한때는 본인도 강하고 멋진 모습을 가진 동물을 디자인 하길 좋아했다. 그러나 당시 만들었던 [[용]] 등이 줄줄이 기각되자 지금처럼 실용성 위주의 디자인을 하게 되었다. 츠치야를 존경해서 츠치야가 고안한 유니콘을 지지한 적이 있고, 흑역사인 용도 말을 닮은 얼굴로 만들었었다. 여담으로, 추위에 약하다. 효율을 너무 중시해서 도시락을 가져왔는데 맨밥으로 만든 [[오니기리]] 두 덩이에 비타민이나 영양제로만 보충하는 기행을 보이기도 했다. 의외로 [[투블럭]] 헤어를 하고 있다.[* 잘 보면 머리 뒷 부분과 머리색이 미묘하게 색깔이 다르다.] ---- * '''카나모리'''(金森) {{{-1 - 성우: [[키시오 다이스케]]}}} [[파일:천지창조 디자인부 - 카나모리.jpg|width=600]] 디자이너. 디자이너 동료들에게는 킨쨩(金ちゃん)라는 애칭으로 불린다. [[오카마]]로서 온천욕까지도 '''다른 여성 동료들과 함께''' 여탕에서 하며 아무도 그걸 뭐라 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몸은 남자라서 동료 디자이너(주로 메이도)가 다른 종인 수컷을 강제로 성전환하는 기생생물이나 [[하이에나|음경으로 출산하는 동물]] 따위를 고안하면 주변 남자들과 함께 고간을 부여잡고 기겁한다. 대표적으로 창조해낸 생물체는 새. 보석이나 단란한 일반 가정과 같이 아름다운 것을 무척 좋아하고, 아름다움을 소중히 하는 섬세한 감성을 가졌다. 디자인을 할 때도 미(美)를 중시하고 그렇게 창조해낸 존재들에 대해 애착을 갖고 있다. 성미가 감정적이고 짜증도 잘 내서 시모다와 더불어 리액션 담당이 되기도 한다. 자신이 만들어낸 [[새]]가 미즈시마가 만든 [[뱀]]에 의해 괴롭힘을 당하자 어떻게든 하려고 발버둥친 끝에 [[뱀잡이수리|뱀 자체를 날려버리는 큰 새]]를 만들어냈는데 신이 그걸 채택해줘서 뱀을 날려버리고 유쾌해하기도 했다. ---- * '''메이도'''(冥戸) {{{-1 - 성우: [[오오조라 나오미]]}}} [[파일:천지창조 디자인부 - 메이도.jpg|width=600]] 디자이너. 대표적으로 창조해낸 생물체는 독개구리. 귀여운 생물을 너무 좋아한다. 하지만 '귀여움'의 기준이 일반인과 많이 다르고 독특해서, 독살스러운 것을 만들기 십상이다. 식인충도 만들어낼 정도로 상당히 괴팍한 센스를 가진 것으로 보이며, 귀여운 걸 만들라고 하면 우선 성기를 양갈래로 나눈다. 특히, 귀여운 생물체라며 디자인한 것이 [[연가시]]이며, 귀엽지만 귀엽지 않은 생물을 만들라고 했을 때는 [[코알라]]를 만들었는데 그 외모가 '귀엽지 않은' 부분이었다. 감정이 얼굴에 드러나지 않는 편이지만 사실 주변 분위기에 민감해서 신작을 구상할 땐 종종 동료들과 떨어진 곳에서 작업을 하며 동료들도 메이도가 집중을 할 댄 건드리지 않는다. 원래 식물부 소속이었지만 식물은 자기 기준으로 귀엽게 만들기 어렵다며 시모다가 들어오기 전에 부서를 옮겼는데, 식물부 시절에도 센스가 독특했어서 식충식물을 만들었다고 한다. ---- * '''우나바라'''(海原) {{{-1 - 성우: [[타케우치 료타]]}}} [[파일:천지창조 디자인부 - 우나바라.jpg|width=600]] 디자이너. 대표적으로 창조해낸 생물체는 캥거루. 우락부락한 근육과 바위도 부수는 힘을 갖고 있지만 자상한 성격에 겁도 많아서 개성적인 동료들이 수상한 오라를 뿜을 때마다 얼굴빛이 어두워지고 욕실에서 혼자 씻다가 누가 지켜보는 느낌을 받고 벌벌 떨기도 한다. 메이도와는 달리 '''일반인 기준으로''' 귀여운 것을 좋아해서 귀여운 생물체를 주로 만들어내는데, 키무라가 오히려 근육이 없는 동물이 더 맛있다면서 우나바라가 만든 것을 노려서 덜덜 떨어대기도 하는 등 자신이 창조해낸 동물들에게 깊은 애착을 갖는 편이며 귀여워 보이는 요소를 배척하는 키무라와 자주 대치한다. [[펭귄]]을 디자인할 때는 키무라와 발표 대결을 하기도 했으며, 최대한 귀여운 동물을 만들어 보이겠다는 각오를 다졌다. ---- * '''히구치'''(火口) {{{-1 - 성우: [[토마리 아스나]]}}} [[파일:천지창조 디자인부 - 히구치.jpg|width=600]] 엔지니어. 디자인부 멤버들이 디자인해낸 동물들을 실제로 데모를 만들어내서 구현을 하는 역할을 맞고 있다. 디자인부가 터무니없는 것을 디자인을 하면 "절대 불가능"하다며 기각하고 원인을 분석해 디자이너들에게 큰 도움을 준다. 기술자로서 유능하지만 디자인부의 엉뚱한 아이디어에 농락만 당하며 고생하고 있다. 천디부가 클라이언트의 말도 안되는 요구를 디자인해야 하는 디자이너의 비애를 상징한다면 히구치는 얼토당토않은 디자인을 상품화해야하는 생산현장의 비애를 상징한다고 할 수 있다. 동물뿐 아니라 디자인에 도움이 될만한 신기(神器)도 만들어서 조종할 줄 안다. 대표적인 예로 동물의 위에 올려서 빨리 늙게 하거나 다시 어리게 할 수 있는 헤일로가 있다. 하지만 키무라가 이 헤일로를 멋대로 만져서 디자인부 사원들이 어려지는 사건이 발생한 뒤로는 신기들을 자기밖에 조종할 수 없도록 재설정했다. ---- * '''츠치야 켄타'''(土屋ケンタ) {{{-1 - 성우: [[키노 히나]]}}} [[파일:천지창조 디자인부 - 츠치야 켄타.jpg|width=600]] 츠치야 지사장의 손자. 예의 바르고 발랄한 성격이다. 말을 좋아한다. 멋있는 걸 좋아하지만 디자이너 손자 아니랄까봐 센스가 독특하다. 메이도의 안경원숭이 미완성작[* 달팽이가 붙은 나뭇가지를 들고 다니는 [[그레이(외계인)|외계인]]의 모습이었다.]에 반할 정도. 그 나이대의 남자애들이 좋아할 만한 합체로봇이나 똥에도 환장해서 [[할루키게니아|몸에 엄청 큰 똥이 붙은 동물]]을 그리거나 온갖 짐승들을 합친 키메라에 환장하는데 할아버지인 츠치야는 꽤 응석을 받아주고 있다. 디자이너 꿈나무이기도 한데, 심심풀이로 그린 [[할루키게니아|낙서]]가 채택되었다. ---- * '''요코타'''(横田) {{{-1 - 성우: [[오오사카 료타]]}}} [[파일:천지창조 디자인부 - 요코타.jpg|width=600]] 우에다의 전 조수이자 시모다의 전임자로, 현재는 지옥 테마파크 관리자다. 안대와 구속구를 착용한 쇼킹한 비주얼에 더해[* 지옥의 사원 복장은 입사했을 때 당사자인 사원이 가장 쿨하다고 생각하는 옷으로 직접 정할 수 있지만. 예산 문제 때문에 나중에 변심해도 복장을 바꿀 수 없다. 즉 한순간의 흑역사를 평생 짊어지고 가야 하는 것(...).] 살벌하고 [[중2병|중2]]력 넘치는 대사를 애용하지만, 사실 굉장히 겸허하고 친절한 성격이며 일에 관해서는 매우 성실하다. GOD 사원 시절에는 시모다처럼 평범하게 짧은 머리에 정장을 입고 있었다. 지옥의 문을 지킬 동물들의 디자인을 의뢰했는데 A팀과 B팀으로 나뉘어져서 [[케르베로스]]와 삼두 드래곤을 동시에 얻었다.[* 삼두 드래곤의 모티브는 [[킹 기도라]]인것으로 보인다. 혹은 케로베로스와 같이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히드라]]일수도.] 의뢰 내용을 세심하고 꼼꼼하게 정리하고 가끔 디자인에 직접 개입하면서도 디자이너들의 재량을 존중해 주기 때문에 디자이너들에게는 --누구와는 다르게-- 최고의 의뢰주로 통하고 있다. ---- * '''벌레부'''(虫部の面々) {{{-1 - 성우: [[미즈시마 타카히로]]}}} [[파일:천지창조 디자인부 - 벌레부.jpg|width=600]] 곤충의 개발 및 소형화를 연구하는 기술자들. 전부 안경에 체크 셔츠 차림이다. 3권에서 [[메가네우라|70cm 잠자리]]를 10분의 1로 소형화하겠다는 것으로 첫 등장한다. 우에다에게 동경을 품고 있다. 요코타가 우에다의 조수였던 시절에 들어온 신입 디자이너가 처음 [[변태#동물의 변태|곤충의 변태]]를 고안한 이후 비슷한 느낌의 동물, 즉 곤충을 여럿 개발하며 지금의 벌레부로 독립했는데, 당시에도 안경에 체크 셔츠였다. 원래는 한 사람이었지만 곤란한 상황에 놓일 때마다 스스로를 복제하고는 새로 생겨난 자기 자신으로부터 발상을 얻기를 반복해서 지금처럼 무수히 많아졌다. 즉, 저 많은 사람들은 사실 다 동일 인물(...). ---- * '''213번''' {{{-1 - 성우: [[나가에 유아]]}}} 시모다가 방문한 세계의 노동자. 아마도 벌거숭이쥐를 의인화한 것으로 추정. 참고로 이것은 VR의 형태로 만들어진 가상세계의 것이라고 한다. ---- * '''신'''(神様) {{{-1 - 성우: [[타츠타 나오키]]}}} [[파일:천지창조 디자인부 - 신.jpg|width=600]] 디자인부에 의뢰하는 주체. General Omnipotence Development company의 대표이자 말 그대로 신이며 자연을 창조하고 거기서 살아갈 동물을 만들려 했지만 일일이 구상하기 귀찮아서 하청업체, 즉 천지창조사 동물 디자인부에 맡겼다. 디자인부에 생물 디자인을 의뢰하지만 두루뭉술한 키워드가 전부이거나 디자이너들을 당황하게 하는 분화된 의뢰가 많다.[* 켄타가 장난삼아 낙서로 그린 [[할루키게니아]]를 재미있어보인다고 채택해놓고는 말도 안되게 비주얼이 살벌하고 흉폭한 생물이 완성되어버리자 '''"저거 어떻게 좀 해봐"'''(...)라는 무책임하기 짝이 없는 의뢰를 날리기도 했다.]지옥에 보낼 영업부 신설 기념 선물을 기념 파티에 참석한 디자인부에게 곧바로 의뢰해 버릴 정도로 디자이너들을 험하게 굴리지만, 함부로 저주를 쓴 우에다나 슬럼프를 겪어서 꾀병을 부린 우나바라를 용서하는 등 상냥한 면도 있다. 주로 디자인이 마음에 들면 '''"채택"'''이라고 말하면서 등장한다. ---- * '''나레이션''' {{{-1 - 성우: [[타치키 후미히코]]}}} ---- * '''요우, 코우'''(ヨウ, コウ) 식물부 소속의 개발자들. 현재는 동물부 소속인 메이도의 후배다. 둘 다 유흥업소 호스트처럼 차려입고 상대를 남녀노소 안 가리고 프린세스나 신데렐라라 부르며 추파를 던져 당황시킨다.[* 사실 움직이는 존재는 다 동물로 간주하기 때문에 똑같이 대하는 것이다.] 그래서 생긴 별명이 '식물부의 쌍둥이 왕자'. 다만 벌레부 사람들과 달리 각자 미묘하게 성격이 다르다. 최근 동물부에서 식물을 먹는 동물을 계속해서 만드는 바람에 바빠졌다고 한다. ---- * '''니캬쿠''' 천계의 인기 잡지인 <천계최전선>의 전문 카메라맨. 카메라같이 생긴 머리가 특징으로, 그 머리로 직접 사진을 찍는다. 천지창조사 디자인부 특집 기사를 쓰기 위해 우에다의 안내를 받아 디자인부를 직접 방문했는데 하필 디자인부에서는 '도망을 잘 치는 동물'을 만들다 놓쳐서 난장판이 되어 있었지만, 그 상황에서 진지한 분위기를 형성하고 각 부원의 대표작과 성향을 알기 쉽도록 연출을 해 잡지에 실릴 만한 사진을 찍어 냈다. ---- * '''나카다(中田)''' 시모다의 선배이자 GOD의 조사부 관리과[* 창조한 동물들이 많아지자 관리하기 귀찮다고 신이 새로 만든 부서. 생물의 생존 환경을 관리한다.] 소속 사원. 검은 피부에 곱슬머리를 했으며 양복 바지에 회사 잠바를 입고 다니는 중성적 외모의 소유자이다. 시모다에게는 시뮬레이션을 동원해 업무 내용을 세세히 설명해주는 좋은 선배이다. 48화에서 '소를 돕는 새'를 구상하기 위해 카나모리와 함께 갈라파고스에서 소를 잔뜩 풀어 놓고 관찰하던 키무라를 UFO[* 본인 자가용이다(...). 49화에 밝혀진 바에 의하면 천계의 교통수단은 개인용은 UFO고 대중교통은 [[워프|이공간 문]]이다.]로 납치해 소의 지나친 번식이 소의 트림으로 발생하는 메탄 가스의 양을 늘려 지구 온난화를 일으킨다며 주의를 주는 모습으로 첫등장했다. == 미디어 믹스 == === 애니메이션 === ||<-2>
{{{#373a3c,#373a3c '''{{{+1 {{{#e73268,#e73268 천}}}{{{#74bc43,#74bc43 지}}}{{{#006cb8,#006cb8 창}}}{{{#f6ac0e,#f6ac0e 조}}} {{{#74bc43,#74bc43 디}}}{{{#006cb8,#006cb8 자}}}{{{#e73268,#e73268 인}}}{{{#006cb8,#006cb8 부}}}}}}''' (2021)[br]{{{#e73268,#e73268 天}}}{{{#74bc43,#74bc43 地}}}{{{#006cb8,#006cb8 創}}}{{{#f6ac0e,#f6ac0e 造}}}{{{#74bc43,#74bc43 デ}}}{{{#006cb8,#006cb8 ザ}}}{{{#e73268,#e73268 イ}}}{{{#74bc43,#74bc43 ン}}}{{{#006cb8,#006cb8 部}}}}}}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천지창조 디자인부 애니 키 비주얼 (2).jpg|width=100%]]}}} || ||<-2>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ffffff,#ffffff 원작}}}''' ||헤비조(蛇蔵)[br][[스즈키 츠타]][br]타라코(たら子) || || '''{{{#ffffff,#ffffff 감독}}}''' ||[[마스이 소이치]] || || '''{{{#ffffff,#ffffff 시리즈 구성}}}''' ||[[요코테 미치코]] || || '''{{{#ffffff,#ffffff 캐릭터 디자인}}}''' ||오오하시 사치코(大橋幸子) || || '''{{{#ffffff,#ffffff 프롭 디자인}}}''' ||이마카도 타쿠야(今門卓也) || || '''{{{#ffffff,#ffffff 미술 디자인}}}''' ||시시도 쿠미코(宍戸久美子) || || '''{{{#ffffff,#ffffff 미술 감독}}}''' ||<|2>네모토 히로유키(根本洋行) || || '''{{{#ffffff,#ffffff 미술 설정}}}''' || || '''{{{#ffffff,#ffffff 색채 설정}}}''' ||타나카 미호(田中美穂) || || '''{{{#ffffff,#ffffff 3D CG 디렉터}}}''' ||사나다 타케시(真田竹志) || || '''{{{#ffffff,#ffffff 촬영 감독}}}''' ||테라모토 유키(寺本友紀) || || '''{{{#ffffff,#ffffff 편집}}}''' ||혼다 유우키(本田優規) || || '''{{{#ffffff,#ffffff 음악}}}''' ||마츠오 하야토(松尾早人) || || '''{{{#ffffff,#ffffff 음악 제작}}}''' ||[[에이벡스 픽쳐스]] || || '''{{{#ffffff,#ffffff 음향 감독}}}''' ||이이다 사토키(飯田里樹) || || '''{{{#ffffff,#ffffff 음향 제작}}}''' ||[[마우스 프로모션|스튜디오 마우스]] || || '''{{{#ffffff,#ffffff 치프 프로듀서}}}''' ||마츠무라 카즈히토(松村一人)[br]이토 요헤이(伊藤洋平) || || '''{{{#ffffff,#ffffff 프로듀서}}}''' ||히노 료(日野 亮)[br]카와조에 치요(川添千世)[br]이이즈카 아야(飯塚 彩)[br]야마오카 유키(山岡勇輝)[br]나베이와 아키코(鍋岩晶子)[br]오오모리 신지(大森慎司)[br]사이토 히로오(齋藤宙央)[br]스즈키 유토(鈴木勇人)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코우치야마 타카시(河内山 隆)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제작}}}''' ||[[아사히 프로덕션]] || || '''{{{#ffffff,#ffffff 제작}}}''' ||천지창조 디자인부 [[제작위원회]] || || '''{{{#ffffff,#ffffff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21년 1월|2021. 01. 07.]] ~ 2021. 03. 25. || || '''{{{#ffffff,#ffffff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AT-X]] / (목) 23:3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맥스 코리아]] / (토) 00:00 || || '''{{{#ffffff,#ffffff 스트리밍}}}''' ||[[Laftel]] [[https://laftel.net/item/40146|▶]][br][[네이버 시리즈온]] [[https://serieson.naver.com/v2/broadcasting/418634|▶]] || || '''{{{#ffffff,#ffffff 편당 러닝타임}}}''' ||24분 || || '''{{{#ffffff,#ffffff 화수}}}''' ||전12화 + 특별편 1화 || || '''{{{#ffffff,#ffffff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2 {{{#373a3c (주제, 언어, 선정성)}}}}}} || || '''{{{#ffffff,#ffffff 관련 사이트}}}''' ||[[https://tendebu.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endebu_PR)] || }}}}}}}}}}}} || [[TV 애니메이션]]화가 결정되었다. 감독은 [[마스이 소이치]]. 방영 시기는 [[애니메이션/2021년 1월|2021년 1월]]. ==== 공개 정보 ==== =====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84mE3FVikA)]}}} || || '''티저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3hsD6PH2gE)]}}} || || '''본 PV''' || ==== 줄거리 ==== >빛, 물, 대지를 만들고- 그리고, 거기에 살고 있는 생물을, 동물을 만들자... 라고 생각했지만, 귀찮아져서 하청을 주었다..?! >신(클라이언트)으로부터 생물의 창조를 의뢰받은 천지창조사. >지상에 존재하는 생물은 천지창조사의 디자이너들이 만들어 내고 있었다. >이 생물은 왜 이런 모습일까? 이 생물은 왜 이런 상태일까? >생물 탄생의 뒤편에는 신의 무리한 요구를 독창적인 아이디어로 실현하려는 디자이너와 엔지니어들의 고뇌와 환희의 드라마가 있었다. >---- >''― [[https://www.animaxtv.co.kr/programs/ceonjicangjo-dijainbu|애니맥스]]'' ==== 주제가 ==== ===== OP ===== ||<-2>
'''{{{#373a3c,#373a3c OP[br]Give It Up?}}}'''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QrHXsdhHULE, width=100%)]}}} || ||<-2> '''{{{#ffffff,#ffffff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tW7I4Nhl8os,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 [[96猫]] || || '''작사''' ||<|2> S-kit[br]Sylo || || '''작곡''' || || '''편곡''' || GROUND-LINE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 [[마스이 소이치]] || || '''연출''' || 쿠마다 켄타(熊田健太) || || '''작화감독''' || 오오하시 사치코(大橋幸子) || }}}}}}}}} || ||<-2> {{{#!folding 가사 ▼ ||
'''この星の将来どうだい?''' || || 이 별의 미래는 어때? || || '''壮大な未来は見えそうかい?''' || || 웅장한 미래가 보일 것 같아? || || '''僕の描く 将来どうだい?''' || || 내가 그리는 미래는 어때? || || '''So, エビバディ Yeah,''' || || So, Everybody Yeah || || '''It’s show time''' || || It’s show time || || '''日々追われ 日々揉まれ 内心''' || || 날마다 쫓기고 시달리다 보니 마음속으론 || || '''もうやめたい 投げだしたい 悩み''' || || 전부 다 때려치우고 싶어서 고민하지만 || || '''その中で 諦めず 探し''' || || 그러면서도 포기하지 않고 찾으면서 || || '''イケるかも 自分イケるかも''' || || 난 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지 || || '''I will go これが''' || || (I will go) 여기가 바로 || || '''I will need 僕の''' || || (I will need) 내가 || || '''I will shine ずっと輝く場所''' || || (I will shine) 영원히 빛난 수 있는 곳 Yes! || || '''この星の将来どうだい?''' || || 이 별의 미래는 어때? || || '''壮大な未来は見えそうかい?''' || || 웅장한 미래가 보일 것 같아? || || '''僕の描く 将来どうだい?''' || || 내가 그리는 미래는 어때? || || '''So, エビバディ Yeah,''' || || So, Everybody Yeah || || '''It’s show time''' || || It’s show time || || '''あいつもこいつもそいつもどいつも言いたい放題''' || || 모든 사람들이 제멋대로 지껄이네 || || '''もう あれとこれとそれとどれと回転 脳内''' || || 모든 것들이 빙글빙글 도는 머릿속 || || '''自分らしさ 忘れないで''' || || 나다움을 잊지 마 || || '''出した答え 相手も納得 It’s alright''' || || 내 대답을 상대도 납득했지 It’s alright || || '''I will go ここが''' || || (I will go) 여기가 바로 || || '''I will need 僕の''' || || (I will need) 내가 || || '''I will shine きっと羽ばたく場所''' || || (I will shine)반드시 날아오를 수 있는 곳 Yes! || || '''この星の将来どうだい?''' || || 이 별의 미래는 어때? || || '''壮大な未来は見えそうかい?''' || || 웅장한 미래가 보일 것 같아? || || '''僕の描く 将来どうだい?''' || || 내가 그리는 미래는 어때? || || '''So, エビバディ Yeah,''' || || So, Everybody Yeah || || '''It’s show time''' || || It’s show time || || '''弾けろ!Yes! all right! all right!''' || || 뛰어올라 Yes! all right! all right! || || '''そう、創り出せ!未来を''' || || 그래, 미래를 만들어내 || || '''踏み出せ!Yes! all right! all right!''' || || 한 발짝 내딛어봐 Yes! all right! all right! || || '''So, エビバディ Yeah,''' || || So, Everybody Yeah || || '''It’s show time''' || || It’s show time || }}} || ===== ED ===== ||<-2>
'''{{{#373a3c,#373a3c ED[br]DESIGNED BY HEAVE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fkgAVqQusTA, width=100%)]}}} || ||<-2> '''{{{#ffffff,#ffffff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38IcvANx5U,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 パライソ☆吐貝スターズ || || '''작사''' ||<|3> TECHNOBOYS PULCRAFT GREEN-FUND || || '''작곡'''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니시야마 유키(西山祐樹) || || '''연출''' || }}}}}}}}} || ||<-2> {{{#!folding 가사 ▼ ||
'''''' || || 좋은 디자인에는 분명 || || '''''' || || 마음을 울리는 이유가 있어요! || || '''''' || || “높은 곳에 있는 나뭇잎을 먹게 하고 싶어“ || || '''''' || || 목을 길게 다리를 길게 늘려 봤습니다 || || '''''' || || (기린은 채택!) || || '''''' || || “멋진 무기를 갖게 해주고 싶어“ || || '''''' || || 말에 긴 뿔을 달았더니 픽 쓰러졌습니다 || || '''''' || || (유니콘은 탈락!) || || '''''' || || 상당히 두루뭉술한 의뢰 || || '''''' || || (고객은 신이랍니다) || || '''''' || || 왜 이렇게 개성이 다양한 건지… || || '''''' || || (이것도 저것도 기분 내키는 대로!) || || '''''' || || 하지만 모두의 스타일은 특별하지 || || '''''' || || 모두 모여 있는 우주 그곳이… || || '''''' || || 시끌벅적한 원더랜드 (천지창조) || || '''''' || || 천지창조 에볼루션 (그려보는 거야) || || '''''' || || 어떤 장면일까? (어떻게 진화할까?) || || '''''' || || 어떤 생물이 (완성될까?) || || '''''' || || 그대가 살고 있는 세계에 흘러넘치는 || || '''''' || || 신와 계시와 신의 은혜를… || || '''''' || || (채택, 탈락, 채택, 탈락 채택, 채택!) || || '''''' || || 찾아봐! || }}} || ==== 회차 목록 ==== * 전화 각본: [[요코테 미치코]] ||
'''회차'''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6> '''본편''' || || 안건 1 || [[마스이 소이치]] || 코바야시 타카시[br](小林孝志) || 마츠오카 히데아키[br](松岡秀明) ||<|4> 미즈타케 슈지[br](水竹修治) || 日: 2021.01.07.[br]韓: 2021.01.09. || || 안건 2 || 나무라 히데토시[br](名村英敏) || 나카니시 요스케[br](中西陽介) || 무라카미 후미아키[br](村上史明)[br]도 카오리[br](堂 佳織)[br]와다 카츠유키[br](和田勝之) || 日: 2021.01.14.[br]韓: 2021.01.16. || || 안건 3 || [[오구로 아키라]] || 쿠마다 켄타[br](熊田健太) || 후지와라 아키토[br](藤原彰人) || 日: 2021.01.21.[br]韓: 2021.01.23. || || 안건 4 ||<-2> 에지마 야스오[br](江島奏男) || 사코에 사라[br](迫江沙羅)[br]시게쿠니 히로코[br](重国浩子)[br]쿠보야마 요코[br](久保山陽子)[br]미즈타케 슈지[br]도 카오리 || 日: 2021.01.28.[br]韓: 2021.01.30. || || 안건 5 || 시키시마 히로히데[br](敷島博英) || 나카니시 요스케 || 오오츠카 아키라[br](大塚あきら)[br]시마자키 카츠미[br](島崎克実) || 오오하시 사치코[br](大橋幸子) || 日: 2021.02.04.[br]韓: 2021.02.06. || || 안건 6 ||<|2> 나무라 히데토시 || 코바야시 타카시 || 마츠오카 히데아키[br]와다 카츠유키 ||<|3> 미즈타케 슈지 || 日: 2021.02.11.[br]韓: 2021.02.13. || || 안건 7 || 오오츠카 타카히로[br](大塚隆寛) || 이시도 노부하루[br](石堂伸晴)[br]쿠보야마 요코 || 日: 2021.02.18.[br]韓: 2021.02.20. || || 안건 8 ||<|2> 오구로 아키라 || 나카니시 요스케 || 무라카미 후미아키[br]도 카오리[br]시게쿠니 히로코 || 日: 2021.02.25.[br]韓: 2021.02.27. || || 안건 9 || 코바야시 타카시 || 이케다 유키[br](池田結姫)[br]이마카도 타쿠야[br](今門卓也)[br]이치카와 사오리[br](市川沙織)[br]마츠모토 마미코[br](松本まみ子)[br]시키시마 히로히데 || 미즈타케 슈지[br]시시도 쿠미코[br](宍戸久美子)[br]이마카도 타쿠야[br]미야이 카나[br](宮井加奈)[br]이치카와 사오리 || 日: 2021.03.04.[br]韓: 2021.03.06. || || 안건 10 ||<-2> 에지마 야스오 || 츠쿠마 타케노리[br](津熊健徳)[br]오오츠카 아키라[br]시마자키 카츠미[br]마츠오카 히데아키 ||<|3> 미즈타케 슈지 || 日: 2021.03.11.[br]韓: 2021.03.13. || || 안건 11 || 나무라 히데토시 || 나카니시 요스케 || 쿠보야마 요코[br]마츠오카 히데아키 || 日: 2021.03.18.[br]韓: 2021.03.20. || || 안건 12 || 마스이 소이치 || 코바야시 타카시 || 무라카미 후미아키[br]시게쿠니 히로코[br]츠쿠마 타케노리[br]도 카오리[br]이케다 유키[br]이마카도 타쿠야[br]이치카와 사오리[br](市川沙央里)[br]마츠오카 히데아키[br]쿠보야마 요코[br]미즈타케 슈지[br]오오츠카 아키라[br]시모지 사토코[br](下地聡子) || 日: 2021.03.25.[br]韓: 2021.03.27. || ||<-6> '''특별편''' || || 특별편 || 나무라 히데토시 || 에지마 야스오 || 오오하시 사치코[br]시마자키 카츠미[br]오오츠카 아키라[br]츠쿠마 타케노리 || - || 日: 2021.04.02.[br]韓: 2021.04.10. || == 기타 == * 일본 문화청과 도쿄 국립 과학박물관의 콜라보레이션 기획으로 [[https://tendebu.jp/news/detail.php?id=1089160|천지창조 디자인부 캐릭터들에 의한 국립 과학 박물관의 음성 가이드]]가, 애니메이션 공식 홈페이지에서 2021년 3월 31일까지 기간 한정으로 일반 공개 중. * 도쿄 이케부쿠로 선샤인 수족관에서 2021년 3월 12일부터 4월 4일까지 [[https://natalie.mu/comic/news/419951|콜라보레이션 이벤트]] 실시. * 한 때 애니메이션 그림체가 [[일곱개의 대죄]]와 너무 비슷하게 그려져서 잠깐 화제가 되기도 했다. * 작품내의 하계는 아직 미완성작이기 때문인지 현재의 인류는 존재하지 않는다. 48화에서 지구 온난화의 원인인 소가 너무 늘어날 것을 걱정하는 시모다에게 키무라가 소는 맛있으니 괜찮다며 [[인간|일부러 소를 가축화해 늘어나게 하려는 생물]]이 존재하지 않는 한 괜찮다며 간접적으로 언급한다.--하계의 평화를 위해서라도 인간은 끝까지 안 만드는 게...-- [[분류:일본 만화/목록]][[분류:2017년 만화]][[분류:이 만화가 대단하다!]][[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21년 1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일본 만화 원작 애니메이션]][[분류:요코테 미치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