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잭 아틀러스의 왕 시리즈)]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최상급 싱크로 몬스터 카드. == 설명 == === 원작 === [[파일:DarkHighlander-JP-Manga-5D.webp]] || 한글판 명칭 ||<-4>'''천형왕 블랙 하이랜더'''|| || 일어판 명칭 ||<-4>'''[ruby(天刑王, ruby=てんけいおう)] ブラック・ハイランダー'''|| || 영어판 명칭 ||<-4>'''Dark Highlander'''|| ||<-5> [[싱크로 소환|싱크로]]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7 || [[유희왕/속성|어둠]] || [[악마족]] || 2800 || 2300 || ||<-5>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br]상대의 싱크로 소환을 무효화한다. 상대 몬스터 1장에 장착된 장착 카드를 파괴하고, 파괴한 수 x 400 데미지를 상대 라이프에 준다|| ||<-5>'''"하늘 꼭대기에 빛나는 죽음의 별이여! 지상으로 내려와 산 자를 심판하라! 싱크로 소환! 강림하라! 천형왕 블랙 하이랜더!"'''('''天頂に輝く死の星よ! 地上に舞い降り生者を裁け! シンクロ召喚! 降臨せよ! 天刑王 ブラック・ハイランダー!''')|| ||<-5>'''"하늘 꼭대기에서 빛나는 죽음의 별이여! 지상으로 내려와 산 자에게 심판을! 싱크로 소환! 강림하라! 천형왕 블랙 하이랜더!"''' - 한국판 || 코믹스판 [[유희왕 5D's]]에서의 [[잭 아틀라스]]가 사용한 싱크로 몬스터. [[염마룡 레드 데몬]]을 입수하기 전까지 이 카드를 즐겨 사용했으며, 염마룡을 입수한 이후에도 고드윈 전에서 [[천궁패룡 드래고어센션]]의 연속 싱크로 소환에 대한 대항책으로 사용했다. 상대의 싱크로 소환만을 일방적으로 틀어막는 효과를 가졌다. 작중에서는 상대의 싱크로 소환을 무효로 만든 후 소재들을 필드로 되돌리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공격명은 '''데스 폴라 슬레이(死兆星斬 / Death Polar Slay)''', 싱크로 소환 봉인 효과명은 '''데스 트로픽스(死回帰線 / Death Tropics).''' === OCG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377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명칭=천형왕 블랙 하이랜더, 일어판명칭=天刑王(てんけいおう)ブラック・ハイランダー, 영어판명칭=Dark Highlander, 속성=어둠, 레벨=7, 종족=악마족, 공격력=2800, 수비력=2300, 소재=악마족 튜너 + 튜너 이외의 악마족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서로 싱크로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1턴에 1번\, 장착 카드를 장착하고 있는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가 장착하고 있는 장착 카드를 전부 파괴하고\, 파괴한 수 × 400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코믹스판 유희왕 5D's의 1권 동봉으로 수록. 이후 프리미엄 팩 Vol.8에서 정발되었다. 소재 제한이 꽤 뼈아프기 때문에 범용성은 낮다. 하지만 레벨 7 주제에 공격력이 레벨 8의 평균치인 2800이며, 효과도 사용하기에 따라서는 상당히 강력해진다. 싱크로 소환을 봉인하는 효과는 분명히 강력한 효과이며, 두 번째 효과도 [[사이버 다크]]나 [[파워 툴 드래곤]] 주축 같은 덱에 있어서는 그야말로 재앙 그 자체.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만족룡]]이나 [[데몬 카오스 킹]], [[헬 트윈 컵]]과 싱크로 조건이 비슷하지만, 싱크로 몬스터이면서 정작 자신의 싱크로 소환도 막아버린다는 점 때문에 소재 제한과 겹쳐 사용할 수 있는 덱은 극히 한정되어 있다. 쓸 수 있는 몇몇 덱에서는 진짜 상상을 초월하는 효율을 보여준다. 그 대표적인 예가 암흑계+마굉신. 이전까지는 별로 상관이 없었지만 [[데블즈 게이트]]가 발매되면서 암흑계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강해졌고 마굉신 레이븐 덕분에 이 카드가 그냥 튀어나오는 것을 심심하면 볼 수 있다. 거기에 필드 보정을 받은 암흑계는 심심하면 공격력 2600 이상의 고화력 몬스터를 뽑아내는 상황에서 공격력이 3100까지 올라간 하이랜더를 전투로 이기는 것은 아주 힘든 일이다. 이 카드가 뜨면 싱크로는 당연히 무리이고, [[엑시즈 소환]]으로도 이 카드보다 공격력이 높은 몬스터를 단숨에 뽑는 것은 힘들기 때문. 물론 이후로 [[No.101 사일런트 아너즈 아크 나이트|강력한]] [[여휘사 벨즈뷰트|범용]] [[조총사 카스텔|엑시즈]]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몬스터]]들이 나오고 암흑계도 싱크로보다는 [[트랜스 데몬]] 등으로 그라파 일편단심의 형식을 띠게 된 후로는 그런 거 없다. 그 외에는 [[DD(유희왕/카드군)|DD]]에서 써먹을 수 있었지만 라미아와 사이프리트의 발매 이후로 싱크로의 비율이 높아진 데다 선턴 날빌 조합이 발견된 이후에는 설 자리가 없게 되었다. 특소 메타야 [[배너티 스페이스]]+사이프리드 or 오봉의 계약서의 콤보로 완벽하게 틀어막을 수 있기에 굳이 이 카드까지 넣을 이유도 없다. 싱크로 몬스터는 소수만 사용하는 추세가 되어 가는 것도 있지만, 무엇보다 이 카드의 가장 큰 약점은 '''쉽게 소환 가능한 악마족 튜너가 없다'''는 것인지라 환경이 바뀌어도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채용 가능성은 결코 높지 않아 보인다. 다만 악마족 카드군인 데다 싱크로/융합/엑시즈를 다양하게 굴리는 [[DD(유희왕/카드군)|DD]] 덱에서라면 싱크로 덱을 상대로 써먹어 볼 여지가 있다. 싱크로 소환이 주축이자 덱 자체가 굴러가는 방식인 [[퀵댄디]]는 사실상 이 카드가 뜨면 바로 망한다. 일단 효과 파괴에 대한 내성은 없으니 그걸 중점적으로 노려야 한다. 새로운 싱크로 소환 주축의 카드군인 [[룡성]] 역시 거의 모든 문제 해결을 싱크로 몬스터에 의존하는지라 거의 일방적으로 박살 낼 수 있다. [[하이스피드 라이더즈]]에서 새로 나오는 [[레드(유희왕)#s-4.2.1|레드 스프린터]] 덕분에 아무 악마족 레벨 3 튜너와의 조합으로 쉽게 뽑을 수 있게 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프리미엄 팩]] Vol.8 || PP08-KR001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코믹스판]] [[유희왕 5D's]] 1권 동봉 || YF01-JP001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코믹스판]] [[유희왕 5D's]] 1권 동봉 || YF01-EN001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분류:유희왕/OCG/악마족]][[분류:유희왕/OCG/싱크로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