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유희왕]]의 필드 마법 카드. == 원작 == [[파일:1000gam.png|width=400]] || 한글판 명칭 ||'''천화의 감옥'''|| || 일어판 명칭 ||'''[ruby(天火, ruby=てんぴ)]の[ruby(牢獄, ruby=ろうごく)]'''|| || 영어판 명칭 ||'''Fire Prison'''|| ||<-2> 필드 마법 || ||<-2><(>①: 이 카드는 이 카드 이외의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②: 자신 필드의 드래곤족 몬스터의 수비력은 300 올린다. ③: 양쪽 플레이어는 서로의 필드의 링크 몬스터 중 링크 마커의 수가 가장 많은 몬스터보다 링크 마커의 수가 적은 몬스터를 링크 소환할 수 없고, 링크 몬스터 이외의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다. ④: 필드에 사이버스족 링크 몬스터가 2장 이상 존재할 경우, 이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가 필드 존에 존재하는 한, 서로의 필드 / 패 / 묘지의 사이버스족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고, 공격 및 효과의 대상이 되지 않으며, 효과는 무효화된다. 이 때,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사이버스족 몬스터를 컨트롤하는 플레이어에게 하는 공격은 직접 공격이 된다.''' ⑤: 이 카드의 ④의 효과가 적용된, 필드에 존재하는 사이버스족 몬스터가 필드에서 벗어날 때, 이 카드는 파괴된다.|| [[유희왕 VRAINS]] 10화에서 [[코가미 료켄|리볼버]]가 [[후지키 유사쿠|Playmaker]]와의 마스터 듀얼에서 사용. [[벨트링크 월 드래곤]]과의 연계로 링크 소환에 제약을 걸었다. 잇후 Playmaker의 필드에 [[디코드 토커]]와 [[인코드 토커]]가 소환되자 사이버스족 몬스터를 전부 무력화시켰다. 그러나 다음 화에서 2장의 [[코드 토커]]를 소재로 [[파이어월 드래곤]]을 링크 소환하자 5번의 자괴 효과로 파괴된다. 오랜만에 돌아온 [[오리컬코스의 결계#s-2|원작]] [[독사신 베노미너거|특유의]] [[No.6 오파츠 아틀란타르|아무]] [[No.53 위해신 Heart-eartH|쓸데없이]] [[No.92 위해신룡 Heart-eartH Dragon|길고]] [[CNo.5 망롱룡 카오스 키메라 드래곤|복잡한]] 효과가 특징. 결국 OCG화되면서 간략화되었다. 카드명의 천화(天火)는 AI를 프로메테우스의 불에 대해 빗대 이그니스라 명명한 것을 의미하며, 때문에 듀얼 외적으로 아이까지 무력화시키고 있었다. 또 VRAINS는 마법, 함정 카드의 효과 연출을 그냥 카드만 빛나는 걸로 때우는 경우가 많은데, 특이하게도 이 카드는 새장 모양의 감옥이 둘러싸는 연출이 있다. == OCG == [[파일:天火の牢獄.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 명칭=천화의 감옥, 일어판 명칭=天火(てんぴ)牢獄(ろうごく), 영어판 명칭=Fire Prison, 효과1=①: 필드의 드래곤족 몬스터의 수비력은 300 올린다., 효과2=②: 서로\, 필드의 링크 몬스터보다 링크 마커의 수가 적은 링크 몬스터를 링크 소환할 수 없으며\, 링크 몬스터 이외의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다., 효과3=③: 필드에 사이버스족 링크 몬스터가 2장 이상 존재할 경우\, 이하의 효과를 적용한다., 효과4=●사이버스족 몬스터가 발동한 효과는 무효화된다., 효과5=●필드의 사이버스족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으며\, 공격 대상이 되지 않고\, 효과의 대상도 되지 않는다.)] [[극한의 힘]]에서 OCG화되었다. 거의 대부분의 효과가 살아 남았지만, 자괴 효과는 삭제. [[지박신|공격 대상으로 할 수 없으며]]라는 텍스트 덕분에 필드에 사이버스족만 남아도 직접 공격이 발생하지는 않는다.[* 즉 쓸데없는 타이밍에 메타를 잡기 위해 이 카드를 사용하면, 오히려 자신이 못 공격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으므로 주의하자.] 또한 사이버스족 몬스터가 '''발동'''한 효과이므로 지속 효과는 유효하기 때문에 이 점을 유념하자. 사실상 대 사이버스족용으로 나온 카드지만 ③의 효과에 달린 저 어려운 조건 때문에 사실상 사용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 카드를 쓴답시고 미리 발동하면 상대는 이 카드의 효과를 알았으니 링크 소환을 자제할게 뻔하고, 그렇다고 나중에 발동 조건이 될 때 발동한답시고 기다렸다가는 링크 몬스터가 전개된 순간 이후로 이 카드를 쓸 순간이 다시는 안 올지도 모른다. 대부분 링크 몬스터가 여러마리가 준비될 정도의 상황이면, 이미 만전으로써 그 턴 안에 게임이 끝날 확률이 높기 때문에 대 사이버스족용으로 쓸 일은 거의 없다. 정 쓰고 싶다면 [[종언의 땅]], [[무대회전]]. [[메타버스(유희왕)|메타버스]] 등의 카드로 상대 필드에 사이버스족 링크 몬스터가 2장 이상 모이기를 기다려 기습적으로 발동해야 할 것이다. 상대 필드의 상황에 의존하면서 발동 타이밍을 재기보다는 차라리 2번 효과를 이용해 공격 봉쇄용으로 쓰는 게 더 나을 수도 있을 것이다. 상대가 링크 소환 위주의 덱이 아니라면 꽤나 귀찮게 해줄 수 있고 이 쪽에서 먼저 고링크를 내놓아 저 링크 몬스터를 소환하는 걸 방해할 수도 있다. 물론 상대도 링크 소환 위주라면 별 효력이 없고 상대 쪽에서 먼저 고링크 몬스터를 소환한다면 오히려 역관광 당할 수 있으니 그 점은 유의할 것.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극한의 힘|EXTREME FORCE]] || EXFO-JP052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극한의 힘]] || EXFO-KR052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분류:유희왕/OCG/필드 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