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철도]]와 관련된 정보들을 정리한 문서. == [[철도 노선 정보|철도 노선 정보]] == === 종류별 목록 === ==== [[고속철도#s-3|고속철도]] ==== [include(틀:고속철도 브랜드)] ==== [[철도 노선 정보#s-2|일반철도]] ==== * [[철도 노선 정보#s-2|일반철도 목록]] 문서 참조. ==== [[광역철도/목록|광역철도]]/[[도시철도/목록|도시철도]]/[[노면전차/목록|노면전차]] ==== * [[광역철도/목록]] * [[도시철도/목록]] * [[노면전차/목록]] === 국가별 목록 === ==== [[철도 노선 정보/대한민국|대한민국]]/[[철도 노선 정보/북한|북한]] ==== * [[철도 노선 정보/대한민국]] * [[철도 노선 정보/북한]] ==== [[일본 철도 정보/노선 관련 정보|일본]] ==== * [[일본 철도 정보/노선 관련 정보]] ==== [[철도 노선 정보|기타]] ==== * [[철도 노선 정보]] == [[철도차량 관련 정보|철도차량 관련 정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철도차량 관련 정보)] == [[역 관련 정보|역 관련 정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역 관련 정보)] * [[철도역 구조 유형]] [include(틀:철도역 구조 유형)] * [[승강장]] [include(틀:철도역 승강장의 유형)] * [[환승]] [include(틀:철도 환승)] === 국가별 목록 === ==== [[역 관련 정보#s-2.2|대한민국]] ==== * [[역 관련 정보#s-2.2]] ==== [[일본 철도 정보/역 관련 정보|일본]] ==== * [[일본 철도 정보/역 관련 정보]] ==== [[역 관련 정보#s-2.3|기타]] ==== * [[역 관련 정보#s-2.3]] == 지역별 철도 현황[* 노선은 노선 문단을 참조.] == [include(틀:철도 환경 관련 문서)] * [[국제철도연맹]] * [[국제철도협력기구]] * [[철도가 없는 국가]] * [[열차의 등급]] * [[유라시아 철도]] * [[철도/영향을 받은 지역]] === 아시아 === ==== [[한국의 철도 환경|대한민국]]/[[북한의 철도 환경|북한]] ==== * '''[[한국의 철도 환경]]''' * [[한국의 철도 환경/역사]] 참조. * [[열차의 등급#s-2|한국의 열차 등급]] [include(틀:한국철도공사의 여객열차 등급)] [include(틀:한국철도공사의 연도별 여객열차 목록)] * [[관광열차/대한민국]] [include(틀:한국철도공사의 관광열차)] * [[코레일 패스]][* 구 [[KR패스]]] * [[국내여행패스]] * [[내일로]] * [[문화누리레일패스]] * ~~[[관광전용패스]]~~[* [[오트레인패스]] 문서는 해당내용을 포함하여 이 문서로 통합되었다가 [[나드리 패스]] 출시로 [[국내여행패스#s-1.5|DMZ PASS]]를 제외한 모든 패스권이 폐지되었다.] * ~~[[하나로 패스]]~~ * ~~[[나드리 패스]]~~[* 관광전용패스들을 통합하여 만든 전 구간용 관광통합패스이다. 2017년 폐지.] * [[교통카드]] [include(틀:대한민국의 교통카드)] * [[할인카드]][* 코레일의 할인카드만 서술된 문서.] *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include(틀:국가철도망 구축계획)] * [[철도가 지나지 않는 도시/대한민국]] ----- * '''[[북한의 철도 환경]]''' * [[북한의 철도 환경/역사]] * 열차 등급 [include(틀:북한의 열차 등급)] * [[한반도 종단철도]] * [[2007년 남북열차 시험운행]] ==== [[일본의 철도 환경|일본]] ==== * '''[[일본의 철도 환경]]''' * [[일본 철도 정보]] * [[일본 철도 정보/열차 등급 관련 정보]] * [[교통 패스]] [include(틀:일본의 교통 패스)] * [[스룻토 간사이 패스]] * [[청춘 18 티켓]] (JR) * [[홋카이도&동일본 패스]] (JR) * [[JR패스]] (JR) * [[교통카드]] [include(틀:일본의 교통카드)] * [[에키벤]] * [[철도가 지나지 않는 도시/일본]] ==== 중화권 ==== [include(틀:중화권의 교통카드)] ===== [[중국의 철도 환경|중국]] ===== * '''[[중국의 철도 환경]]''' * [[중국국가철로집단]] * [[중국 국가철로국]] * [[중국철도건설공단]] * 열차 등급 ||<-7>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E2910 0%, #CC0000 20%, #CC0000 80%, #DE2910);" [[열차의 등급#s-4|{{{#ffff00,#feff00 중국의 열차등급}}}]]}}} || ||<-3> [[CRH]](고속) ||<-4> 일반 || || G || D || C || Z || T || K(N) || - || ===== [[대만의 철도 환경|대만]] ===== * '''[[대만의 철도 환경]]''' * [[타이완 철로관리국]] * 열차 등급 [include(틀:타이완의 열차등급)] * [[첩운]][* 대만에서 도시철도를 가리키는 말. [[틀:대만의 도시철도 노선]]의 내용을 한정으로 하는 단어로 보면 된다.] * [[교통 패스]] * [[TR패스]][* 타이완 철로관리국][*패스] ==== 기타 ==== * '''[[말레이시아]]''' * [[말레이 철도]][* [[싱가포르]]의 [[우드랜즈 역]]도 [[말레이 철도]]가 관할한다.] * [[인터시티(동남아시아)]][*열차등급] * '''[[태국]]''' * [[태국국유철도]] * '''[[우즈베키스탄]]''' * [[우즈베키스탄 철도]] * '''[[베트남]]''' * [[베트남 국철]] * '''[[인도]]''' * [[인도 철도]] === 유럽 === ||[[철도 회사#s-2.2.3|철도 회사/유럽]] 참조.|| * [[레일팀]] [include(틀:레일팀의 회원사)] * '''[[독일]]/[[오스트리아]]''' [include(틀:독일과 오스트리아의 열차 등급)] * [[도이체반]] * [[오스트리아 연방 철도]] * [[단거리권]][*운임] * [[국토 횡단 티켓 (독일)|국토 횡단 티켓]][*패스] * '''[[영국]]''' [include(틀:영국의 철도회사)] * [[영국의 철도 환경]] * [[내셔널 레일]] * '''[[프랑스]]''' [include(틀:프랑스의 열차등급)] * [[프랑스국철]] * [[까르네]][*승차권] * [[코라유]][*열차등급] * '''[[스위스]]''' * [[스위스 연방철도]] * [[스위스 패스]][*패스] * '''[[스페인]]''' [include(틀:스페인의 열차등급)] * [[알타리아]] * [[Trenhotel]] * 이탈리아 * [[트레니탈리아]] * [[오리엔트 급행]] * [[유레일 패스]][*패스] * [[실야 라인]][* 철도 연계 [[페리(선박)|페리]]] ==== [[러시아의 철도 환경|러시아]] ==== * '''[[러시아의 철도 환경]]''' * [[러시아 철도]] === 아메리카 === ==== [[북미]] ==== [include(틀:북아메리카의 Class I 철도 회사)] * [[미국]] * '''[[미국의 철도 환경]]''' * [[캐나다]] * [[캐네디언 내셔널]] * '''[[멕시코]]''' * [[멕시코시티 케레타로 고속철도]](재추진)[* 계획 자체가 흑역사화되었다가 2018년부터 다시 추진하고 있다.] ==== 남미 ==== * [[브라질의 철도 환경]] * [[아르헨티나의 철도 환경]] * '''[[콜롬비아]]''' * --[[드라이 운하]]--(구상 중) === 아프리카/오세아니아 === * [[호주의 철도 환경]] * [[뉴질랜드의 철도 환경]] * [[모로코의 철도 환경]] == [[안내방송]]/멜로디 == * [[역 멜로디]][* [[얼씨구야]]가 수도권에서 전철을 타면 가장 많이 나오는 유명한 환승 음악이었고 2016년부터 부산의 동해선 광역전철에서도 들을 수 있다. 그러나 서교공이 [[풍년(음악)]]으로 갈아치워 대표 이미지가 퇴색됐다.] * [[안내방송/역]]: '''승강장''' 내에서 들을 수 있는 안내방송을 정리한 문서이다. * [[안내방송/열차]]: '''열차''' 내에서 들을 수 있는 안내방송을 정리한 문서이다. 도시철도 및 광역철도를 제외한 일반열차, 외국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 [[안내방송/열차/도시철도]]: 문서가 너무 길어져 위의 문서에서 국내의 도시철도 및 광역철도 안내방송을 따로 분리해 정리한 문서이다. * [[틀:지하철 안내방송 성우|안내방송 성우]]: 도시철도 및 광역철도의 현직 안내방송 성우 명단. * [[사랑을 전하세요 코레일 OO역입니다]] == 용어 == ||'''여러 교통수단에서 동시에''' 사용하는 용어는 [[교통 관련 정보]]를 참조하세요. || === 종류 === * [[전기철도]] * [[경전철]] * [[중전철]] * [[도시철도]] * [[고속철도]] * [[광역철도]] * [[노면전차]] * [[병용궤도]] * [[화물철도]] * [[산업철도]] * [[광산철도]] * [[농업철도]] * [[산림철도]] * [[카레일]] * [[피기백#s-2]] * [[마일 트레인]] * [[여객철도]] * [[보존 철도]] * [[PRT]] (Personal Rapid Transit) * --[[인차철도]]-- * --[[레일바이크]]-- === [[철도 회사]]/운영 주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철도 회사)] * [[국유철도]] * [[사유철도]] * [[철도 민영화]] * [[철도 상하분리]] === 시설 === ||역과 관련된 내용은 [[역 관련 정보]] 참조.|| * [[철도]] [include(틀:철도의 구조)] * [[철교]] * [[터널]] * [[철도의 선로 구성 방식]] * [[삼각선]] * [[연결선로]] * [[경편철도]] * [[고가철도]] * [[절연구간]] * [[경사도]]([[철도의 구배]]) * [[캔트]](편경사, 철길 높이차) * 철도 보안장치 [include(틀:철도 보안장비)] * [[폐색#s-2|폐색구간]](운전허용구간) * 안전장치 * [[데드맨 스위치]] * [[안전펜스]]-[[스크린도어]] * [[철도신호기]] * [[열차집중제어장치]] * 급경사를 극복하기 위한 시설[* 이러한 시설이 존재하는 이유는 [[스위치백]] 문서 참조.] * [[강삭철도]] * [[환형궤도]](똬리굴) * [[스위치백]] * [[치상궤도]](아프트식 궤도) * 서비스 시설 * [[갑종위탁발매소]] * [[을종위탁발매소]] * [[유실물 관리소]] * 기타 시설 * [[전철변전소]] * [[꽈배기굴]] * [[전차대]](턴테이블) * [[급수탑]] * [[건널목]] * [[차량사업소]] * [[철도 연락선]] * 기관차방호시설 === 기술/규격/건설 === * [[궤간]] [include(틀:궤간)] * [[개궤]] * [[궤간가변]] * [[듀얼게이지]] * [[공전현상|슬립/슬라이드 (공전현상)]] * [[불연재]] * [[불요불급선]] * [[선로등급제]] * [[통행방향]] * [[지하화]] * [[고속선]] * [[미건설선]] * [[폐선]] * [[사행동]] === 운영 === * [[간선철도]](주요 철도 노선) * [[지선철도]] * [[승차권]] * [[교통카드]] * [[교통카드/선불]] * [[후불교통카드]] * 전산망 * [[한국철도공사/전산망]] * [[마르스(시스템)|MARS]]([[JR 시스템]]) * [[차량사업소]] * [[라운드 하우스]] * [[회차]] * [[인상선]](끌어내는선) * [[오리카에시]](착발 운행) * [[입환]] * [[돌방입환]] * [[회송]] * [[회차지점]] * [[시운전]] * [[고립 노선]] * [[근성열차]] * [[공기수송(교통)|공기수송]] - [[가축수송(교통)|가축수송]] * [[짬뽕편성]] * [[국제열차]] * [[등산철도]] * [[셔틀열차]] * [[야간열차]] * [[침대차]] * [[쿠셋]] * [[루멧]] * [[열차의 등급]] * [[특급(철도)]] * [[급행]] * [[완행열차]] * [[관광열차]] * [[열차 운행 도표]]([[다이어]]) * [[4시간의 벽]] * [[편성]] * [[장폐단]] * [[운전정리]] * [[타절]](중간역 시종착) * [[임시열차]] * [[열리지 않는 건널목]] * 강차량(降車量) [* 하차량을 뜻한다. 역 관련 항목에 나온 '''강차량은 제외'''의 뜻.] * [[직통운전]] * [[선로공유]] * [[복합열차]] * [[병결]] * [[중련]] * [[열차지연]] * [[지연증명서]] * [[철도 교통/이용 방식]] [include(틀:대중교통의 좌석 등급)] * [[입석]] * [[자유석]] * [[도어컷]] * [[주박]] * [[부역명 유상판매 정책]] === 동호활동/속어 === * [[명절 기차표 예매]] * 행사 * [[종운식]] * [[철도의 날]] * [[철도 동호인]] * [[철도동호회]] * [[철도 갤러리]] * [[철싸대]] * 잡지 * [[KTX 매거진]] * [[레일러]] * [[철도 모형]] * [[철도박물관]](한국) * [[철도박물관(동음이의어)]](해외)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 [[오마와리]] * [[서대동부]] * [[선개통 후완공]] * [[티스푼 공사]] * [[드리프트/철도]] === 관계 법령 === * [[철도사업법]] * [[철도건설법]] * [[도시철도법]] * [[궤도운송법]] * [[철도건설규칙]] * [[도시철도건설규칙]] * [[철도안전법]] * [[철도산업발전기본법]] * [[철도차량운전규칙]] * [[도시철도운전규칙]] * [[역세권의 개발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역세권법) *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광역교통법, 대광법) * [[대중교통의 육성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대중교통법) * [[철도물류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철도물류산업법) === 학문 === * [[철도공학]] * [[철도신호공학]] === 직종 === * [[역장]] * [[역무원]] * [[차장]] * [[철도교통관제사]] * [[철도 기관사]] * [[철도경찰]] * [[지하철보안관]] / [[질서지킴이]] * [[푸시맨]] * [[TMO|철도수송지원반]] (TMO) * [[철도 사회복무요원]] * [[1인 승무]] ==== 철도 관련 [[자격증]] ==== [include(틀:철도 분야 자격증)] 이 단락은 기술자격/자격증의 명칭에 직접적으로 '철도'가 명시, 언급되거나 주 업무가 철도현장에서 이뤄지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자격증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이외에 보조적으로 철도 업무와 연관지을 수 있는 자격증(예를 들어 물류관리사 같은)은 아래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더 많다. 과거에는 객화차정비기능사 1, 2급이나 철도동력차기관정비기능사 1, 2급, 보선기능사 1, 2급, 열차조작기능사같이 세분화되어~~ 골라먹는 재미~~ 그 수가 훨씬 많았던 적도 있으나 이들 모두를 통폐합하면서 지금에 이른다. 덧붙여, 철도 관련 기술자격증이라고 되어 있지만 사실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이 자격종목들을 분류해놓은 분류군을 보면 의외로 제법 흩어져있다. 다시 말해, '철도'라는 분류에 들어가는 자격종목은 의외로 몇 없다는 이야기. 일례로 철도토목 관련 자격종목은 '토목'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철도신호 및 전기철도 관련 자격종목은 '전기'로, [[철도운송산업기사]]는 '운전운송'으로 분류되어 있다. 제대로 '철도' 분류군에 속한 자격종목은 차량 및 차량정비가 전부. 2021년부터는 필기시험 응시 가능 횟수가 2년에 한 번씩으로 줄어드는 종목도 있다. 2022년 검정시행 조정제도 안내문([[http://www.q-net.or.kr/crsedt/websource/jsp/NamoCrsEdtMediaView.jsp?fileName=/images/000033/20210615181035352.jpg|1]][[http://www.q-net.or.kr/crsedt/websource/jsp/NamoCrsEdtMediaView.jsp?fileName=/images/000033/20210615181047136.jpg|2]])을 보면, '''22년 검정시행 조정(22년 필기시험 미실시)''' 제도 적용 대상 종목이 나오는데 그 대상은 '''최근 3년간(공고 당시 기준은 2017년~2019년) 필기시험 연평균 응시인원이 50명 미만인 종목'''이다. 이 공고문에서 언급된 종목은 바로, '''[[철도토목기능사]]''', '''[[철도차량정비기능사]]''', '''[[철도차량산업기사]]''', '''[[철도차량기사]]'''이다. [[철도토목기능사]]는 3년간 평균 필기응시인원이 '''40.7명''', [[철도차량정비기능사]]는 3년간 평균 필기응시인원이 '''21.4명''', [[철도차량산업기사]]는 3년간 평균 필기응시인원이 '''9명''', [[철도차량기사]]는 3년간 평균 필기응시인원이 '''8.8명'''이라, 그 대상에 포함된 것이다. 2021년에 필기가 시행되었으니, 2022년에는 필기가 시행되지 않고, 2023년이 되어야 다음 필기시험이 시행된다. 그리고, [[철도토목산업기사]]는 2022년에 폐지되었다. ||||'''철도 관련 기술자격증 일람'''|| ||<|3>'''[[기능사]]'''||[[철도차량정비기능사]]|| ||[[철도전기신호기능사]]|| ||[[철도토목기능사]][* 당초 본 문서에는 보선기능사(1998년 5월 9일 대통령령 제 15794호에 의해 보선기능사 2급에서 보선기능사로 통폐합됨.)로 등재되어 있었으나 해당 자격증이 ~~ 드디어~~ 2012년 12월 21일 고용노동부령 제 71호에 의해 철도토목기능사로 변경되었다. 다른 자격증 명칭 개정보단 상당히 늦은 편이다. 예를 들어 철도운송산업기사만 해도 2005년에 개정된 것.]|| ||<|5>'''[[산업기사]]'''||[[철도운송산업기사]][* 열차조작기능사로 시작된 이 자격증은, 현재 이 문서에 명시된 철도 관련 및 운전운송 분류군의 국가기술자격증 중에서 유일하게 비상대비자원관리법의 관리 하에 있는 자격증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 이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더불어 관련 업종에 근무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전시에 군사작전지원, 군수지원업무 등에 기술인력으로 차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 ||[[철도차량산업기사]]|| ||[[철도신호산업기사]]|| ||[[전기철도산업기사]]|| ||[[철도토목산업기사]][* 2022년 폐지]|| ||<|4>'''[[기사]]'''||[[철도차량기사]]|| ||[[철도신호기사]]|| ||[[전기철도기사]]|| ||[[철도토목기사]]|| ||<|1>'''[[기능장]]'''||[[철도차량정비기능장]]|| ||<|4>'''[[기술사]]'''||[[철도차량기술사]]|| ||[[철도신호기술사]]|| ||[[전기철도기술사]]|| ||[[철도기술사]][* 특이한 점이라면, 이 자격종목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철도' 분류에 넣지 않고 상기한 철도토목 관련 자격종목과 함께 '토목' 분류에 분류했다. 이는 1974년 10월 16일 대통령령 제 7283호에 의해 이 자격종목이 시작될 당시에는 '토목기술사(철도)'였기 때문이기도 하고 이 자격종목이 목표하는 인재상 역시 '''철도 분야의 토목 기술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을 요하는 직무를 수행하는 것이기 때문. 1991년 10월 31일 대통령령 제 13494호에 의해 '철도기술사'로 개명되고서도 죽 이어져오고 있다.]|| ||<|2>'''기타'''||[[교통안전관리자|철도교통안전관리자]]|| ||[[철도교통 관제자격증명]]|| ||<|6>'''[[철도차량 운전면허]]''' ||고속철도차량운전면허|| ||제1종 전기차량 운전면허|| ||제2종 전기차량 운전면허|| ||디젤차량운전면허|| ||철도장비운전면허|| ||노면전차운전면허|| ==== 철도 관련 학과가 존재하는 대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철도대학)] == 관련 문서 == * [[교통 관련 정보]] * [[지리 관련 정보]] * [[철도 노선 정보]] * [[역 관련 정보]] * [[철도차량 관련 정보]] === [[철도 사건사고]] === [[철도 사건사고]] 항목을 참조. === 기록 === ==== 한반도 ==== * 극점 [include(틀:대한민국의 최극단 철도역)] {{{#!folding [ 세부사항 펼치기 · 접기 ] ||<-3><#0000ff> '''{{{#fff 도시철도/광역철도 한정}}}''' || || || 남한만 || 북한 포함 || || 최동단 ||<-2> [[동해선 광역전철|동해선]] [[태화강역]] || || 최서단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용유역]][* 궤도운송수단 격하로 빠질 가능성이 높다.] || [[평양 지하철도 혁신선|평양 혁신선]] [[광복역]] || || 최남단 ||<-2> [[부산 1호선]] [[다대포해수욕장역]] || || 최북단 || [[수도권 1호선]] [[소요산역]][* 해당 노선의 연천구간의 연장이 완료될 경우 이 기록은 [[연천역]]이 갱신할 예정이다.] || [[평양 지하철도 혁신선|평양 혁신선]] [[락원역(혁신선)|락원역]] || ||<-4>
<#aaa> '''{{{#fff 최고/최저점}}}'''[* 특별한 표시가 없을 시 해발고도를 의미함.] || ||<|2><#00bfff>최고||남한만|| [[태백선]] [[추전역]] || +855m || ||북한 포함|| [[백무선]] [[북계수역]] || +1,750m || ||<|3><#e57733>최저||<|2>남한만|| [[서해선]] [[김포공항역]][*※ 지표면 기준] || -83m || || [[수도권 전철 5호선]] [[여의나루역]] || -27.5m || ||북한 포함|| [[평양 지하철도]] ???역 || 최소 -100m 이상[* [[영광역]] 깊이가 150m 이상이라는 말이 있다.] || }}} * 가장 깊은 신호장 || [[대관령신호장]] || 약 -350m || * 일일 이용객 수(승하차) 최다 ||철도 전체|| [[서울역]] || 294,098명[* 광역/도시철도(192,179명)+고속/일반철도(101,919명), 2019년 기준] || ||도시철도|| [[강남역]] || 202,174명[* 2호선만 집계. 2019년 기준] || * 가장 긴 노선 || [[평라선]] || 801.9km || * 가장 긴 터널 || [[수서평택고속선]] [[율현터널]] || 50.3km || * 북한과 가장 가까운 전철역 || [[경의중앙선]] [[임진강역]] || 5.8km || ==== 세계 ==== * 가장 긴 편성 || [[러시아]] [[야로슬라브스키 역]]~[[북한]] [[평양역]] || 10,214 km[* [[http://www.guinnessworldrecords.com/records-1/longest-train-journey-without-changing-trains/|기네스북 기록]]] || * 가장 긴 노선 || [[러시아]] [[시베리아 횡단철도]] || 9,334 km || * 최북단 역 || [[러시아]] [[무르만스크 역]] || 북위 68도 58분 || * 가장 높은 역 || [[중국]] [[칭짱철도]] 탕구라 역 || 해발 5,072m || * 이용객수 최다 || [[일본]] [[신주쿠역]] || 일일 이용객수 364만 명 || * 세계 최초 노선 ||정규노선[* 시범용은 전에도 있었으나 정식은 아니다.]||[[스톡턴-달링턴 철도]]||1825년|| ||지하철||[[런던 지하철]]||1863년|| === [[철도 관련 정보/미디어|미디어]] === [[철도 관련 정보/미디어]] 참조. [[분류:철도]][[분류:메타 문서/교통]][[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