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철도 불모지)] * 이 페이지에 등록되는 지역은 한국의 지역으로 제한되며, 등록 가능 조건은 '''일반선, 고속선 및 도시철도 노선이 통과하지 않는 [[시(행정구역)/대한민국|시]]와 [[군(행정구역)/대한민국|군]], [[구(행정구역)/대한민국|구]]''', 혹은 노선이 통과하지만 '''여객이나 화물을 취급하는 역이 없는 시와 군, 구'''이다. [목차] == 개요 == '''[[https://arca.live/b/city/87898675|이미지화 한 모습]]'''[* [[고속도로가 지나지 않는 도시/대한민국|고속도로가 지나지 않는 곳]]도 포함.] 대한민국에서 철도가 지나지 않는 지역을 정리한 문서다. 여기서의 철도는 대한민국 정부([[국가철도공단]]) 소유의 국유철도는 물론 [[사철(철도)|사철]]과 [[도시철도법]]상의 도시철도를 포함하며 [[경전철]]이나 대중교통 목적의 [[모노레일]]이 다녀도 이 목록에 등재될 수 없다. 다만, 철도/도시철도/경전철은 없는데 [[궤도운송법]]에서 규정하는 철도'''형 교통수단'''[* 공식적으로 철도라는 명칭을 쓸 수 없다.]만 다닌다면 제외하며 이 목록에 포함 가능하다. '''굵은 글씨'''는 [[고속도로가 지나지 않는 지역/대한민국|고속도로도 없는 곳(남한 한정, 북한은 고속도로도 국도도 없는 곳)]], __밑줄__은 경유하는 철도노선이 공사중인 곳, ''기울임체''는 과거엔 여객영업을 하는 철도역이 있었지만 지금은 폐선된 곳[* 행정구역 개편으로 인해 없어진 곳 포함.]이다. 이들 지역들은 공항이나 선착장이 있는 일부를 제외하면 거의 100% 도로 교통에 의존한다고 보면 된다. 버스 배차 간격도 매우 안 좋은 경우가 많아 운전면허 없이 여행하는 것은 매우 난도가 높다. == 노선 자체가 통과하지 않는 지역 == === [[경기도]] === * ''[[안성시]]'' - 경기 남부 지역의 마지막 남은 철도 불모지. 과거에 [[안성선]]이 지나던 지역이었으나 폐지되었다. [[평택부발선]], [[수도권 내륙선]]이 계획중이며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됐다. 그리고 수도권 내륙선이 2033년 개통으로 확정되면서 먼 미래지만 벗어날 수 있게 되었다. 가장 가까운 역은 [[평택역]]이다. * ''[[포천시]]'' - 경기 북부 지역의 마지막 남은 철도 불모지. 한때, [[경원선]] [[청산역]](당시 초성리역)이 포천군 소속이었지만 청산면이 1983년에 [[연천군]]으로 편입되었다. [[경원선]]의 지선 등 여러가지 방안이 대두되다가 결국 [[서울 지하철 7호선]]을 연장하는 형태로 [[도봉산포천선]]이 건설될 계획이다. 한편 2010년대부터 교외선을 연계하는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05016383|의정부-포천간 철도]]를 국가계획으로 추진하려고 했으나 이후로 소식이 없고 노선이 두 개나 가야 할 정도로 수요가 폭발적이지는 않는 것으로 볼 때 가까스로 붙잡은 도봉산포천선으로 만족해야 할 듯하다. 이마저도 공사비 절감을 위해 7호선 본선은 옥정중앙역까지만 운행하고 포천시 쪽은 [[옥정포천선]]으로 계통을 분리, 셔틀 형식으로 운행할 계획으로 밝혀져서 개통된다고 해도 주민들 입장에서는 철도가 있다는 그 자체 이상의 의미는 퇴색될 우려가 생겼다. 현재 포천시에서 가장 가까운 역은 1983년 포천시에서 [[연천군]]으로 편입된 [[청산역]]이다. === [[인천광역시]] === * '''[[강화군]]''' - '''섬'''이자 '''최전방.''' 섬이기는 하나 [[강화도]]는 육지와의 거리가 매우 가까워 연륙교량으로 연결되어 있기에 지리적으로 고립되어 있지는 않다. 바로 아랫쪽 섬 [[영종도]]만 보더라도 [[인천국제공항]]이라는 경제적 유인으로 인해 [[인천국제공항철도|육지와 이어진 철도]]가 활발하게 운행되고 있다. 결국 경제성이 철도 건설을 발목잡는 가장 큰 원인인데, 강화도는 최전방 농촌 지역이기 때문에 근시일 내에 갑작스럽게 철도가 들어올만큼 발전할 가능성도 아직은 희박하다. 인천시에서는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을 연장해 강화군으로 가는 방안도 거론되었지만 실현될 확률은 낮다. 가장 가까운 역은 [[양촌역]]이다. 그와 별개로 [[http://www.incheon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216399|서울]][[https://newsis.com/view/?id=NISX20220702_0001928787&cID=10802&pID=14000|5호선]]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0221111010002045|강화군 연장]]과 인천 서구의회의 [[https://www.siminilbo.co.kr/news/newsview.php?ncode=1160284059171537|7호선의 강화군 연장]]이라는 떡밥도 있다 * '''[[옹진군(인천광역시)|옹진군]]''' - '''섬.''' 그것도 남북으로 뿔뿔이 흩어진 수백 개 이상의 섬이어서[* 옹진군 최북단 [[백령면]]의 [[백령도]]부터 최남단 [[덕적면]] 울도 간의 직선거리는 무려 150km가 넘는다. 이 정도면 서울시청~대전시청 간 직선거리와 비슷하다. ] 강화도보다도 희망이 없다. 오죽하면 [[옹진군청]]조차 [[청사의 소재지가 불일치하는 행정구역|옹진군에 없다.]] 한국전쟁 이전의 경기도[* 1945년 11월에 [[38선]] 이남 옹진군과 [[벽성군]] 서부를 [[황해도]]에서 경기도로 편입했다.] [[옹진군(황해남도)|옹진군]]에는 옹진선 장둔~옹진 구간과 부포선이 지나갔다. 향후 [[서해남북평화도로]]의 1단계 구간인 영종~신도 간 연도교가 개통되면 [[북도면]] 주민들에 한해서만 배를 타지 않고 차량으로 [[운서역]]까지 가면 [[인천국제공항철도|철도를 이용해서 타 지역으로 갈 수 있다.]] 나머지 옹진군 주민들은 여객선을 타고 [[인천항]]까지 간 뒤 인천시내 철도 역을 이용해야 한다. 영종도와 용유도 역시 과거에는 옹진군이었지만 중구로 편입하고 [[인천국제공항|공항]]이 개항한 뒤에나 철도가 들어갔고, 다른 섬들도 철도 수요가 생길만큼 개발되면 그 때는 옹진군이 아닌 다른 지자체로 편입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옹진군 단위에서 철도가 들어올 가능성은 더욱 줄어든다. === [[강원특별자치도]] === 남북분단으로 인해 끊긴 동해북부선 지역과 처음부터 수요가 없어서 철도가 안 지나간 읍내로 나뉜다. 철도사업이 확정된 곳이 많아 머지않아 강원특별자치도는 전 지역 철도가 다닐 확률이 높아졌다. * ''__[[속초시]]__'' - [[동해북부선]](폐선)이 지나던 지역으로, [[동해선]], [[춘천속초선]] [[속초역]] 건설 사업이 확정되었다. * '''__[[양구군]]__''' - '''최전방'''. [[춘천속초선]] [[양구역]] 건설 사업이 확정되었다. * ''[[양양군]]'' - [[동해북부선]](폐선)이 지나던 지역[* 현재는 바로 아래 강릉에서 철도가 끝나있는 상황이다.]으로, [[동해선]] [[양양역]] 건설 사업이 확정되었다. * __[[인제군]]__ - '''최전방'''. [[춘천속초선]] [[인제역]], [[백담역]] 건설 사업이 확정되었다. * [[홍천군]] - '''대한민국에서 가장 넓은 군인데도 철도가 지나지 않는다.'''[* [[군(행정구역)/대한민국|군]]을 비롯한 [[기초자치단체]]를 넘어서 도를 제외한 대한민국의 모든 행정구역 중 가장 넓다. [[도(행정구역)|도]]를 비롯한 [[광역자치단체]]까지 포함하면 [[경상북도]]가 가장 넓다.] 다만 [[용문-홍천 광역철도]]가 계획 중에 있으며,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되었다. * '''__[[화천군]]__''' - '''최전방'''. 모노레일이 있긴 하지만 해당 노선은 궤도운송법을 적용받기 때문에 철도가 아니다. [[춘천속초선]] [[화천역]] 건설 사업이 확정되었다. 다만, 선형상 해당 역이 읍내에서 멀찍이 떨어진 [[간동면]]에 지어질 예정. === [[충청북도]] === * __[[괴산군]]__ - 한때 [[충북선]] [[증평역]], [[도안역]]이 괴산군 소속이었지만 이 지역이 2003년에 [[증평군]]으로 분리되었다. 2024년부터 [[중부내륙선]] [[연풍역]]이 연풍면에 영업 예정이다. 또한 2016년부터는 괴산읍내를 경유하는 [[http://www.ajunews.com/view/20161019152117646|서산 대산읍~울진]]간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 * [[보은군]] - [[박덕흠]] 의원이 [[오근장역]]에서 보은 속리산으로 가는 철도를 건설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웠으나 전혀 진행이 되고 있지 않다. 2005년 충청북도와 보은군이 건설교통부의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 계획안에서 보은 경유 [[http://www.boeuni.com/news/articleView.html?idxno=16395|행복도시-상주-의성 간 철도 건설]]을 추가하는 충청북도 계획안을 확정했기는 했지만 당시엔 [[서산영덕고속도로|청주상주고속도로]]를 건설하기에 바빠서 그런지 실현되지는 못했다. 박덕흠 의원은 2020년까지도 [[http://www.segyenewsagency.com/news/articleView.html?idxno=154743|해당 노선]]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는 상태. 한편, 위의 노선도 [[박덕흠]] 의원이 정치적 위기를 맞으면서 추진이 불투명해지자 [[보은군]]에서는 [[https://www.boeun.go.kr/www/downloadBbsFile.do?atchmnflNo=54609|2040 보은군 종합계획]]에서 남북축은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56&aid=0011038475|청주공항~보은~영동 간 철도]]를, 동서축으로는 행복도시~보은~의성을 잇는 동서횡단철도를 각각 추진중이며, 2021년 들어서는 이 중 전자에 더 힘을 쏟고 있다. 또한 [[https://cc.newdaily.co.kr/site/data/html/2021/06/28/2021062800245.html|충주-보은-영동 간 철도]] 계획도 있었다. 2023년에는 충북 보도자료에서 [[중부내륙선]] 연장 격으로 청주공항~김천 노선이 소개됐다. 일단 현재로써는 생활권에 따라 청주나 대전쪽 철도역을 선택하여 이용해야하는 실정이다. 혹은 가까운 [[옥천역]]을 이용하거나. 다만 궤도운송법의 적용을 받는 모노레일이 솔향공원에 있긴 하다. * [[진천군]] - [[충북혁신도시]]의 인프라를 위하여 향후 [[수도권 내륙선]]이 계획 중에 있으며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되었다. 그 외에 중부내륙선 [[감곡장호원역]]에서 분기해 [[http://www.jb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54568|음성~혁신도시]] 간 노선을 [[http://www.anewsa.com/detail.php?number=1008839&thread=09r02|유치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 [[청주시]] * [[상당구]] - 한때 [[오근장역]]이 상당구에 있었으나 청주-청원 통합 과정에서 해당 구간이 청원구로 넘어가면서 지나가지 않게 되었다. 위의 괴산군과 같은 케이스.[* 다만 개통 예정인 중부내륙선 철도가 지나가는 괴산과는 달리 상당구는 철도 공사 계획이 아직 없다.] === [[충청남도]] === * [[금산군]] - 바로 윗 동네가 '''[[대전광역시]]'''다. 또한 일제 말에 대전-[[관촌역|관촌]] 간 철도가 경유할 예정이었다고 전해지나 실현되지는 않았고 [[남부내륙선]]도 대전-진주 대신 김천-진주로 확정되며 사실상 유야무야되었다. 2020년 대전광역시가 제안한 [[대전역]] ~ [[전주역]] 간 KTX 전용 신선에는 금산이 중간 정차역으로 되어 있으나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는 반영되지 못했다. 이 외에도 [[황운하]] 의원이 추진하는 [[http://www.redaily.co.kr/947|서대전~진주 철도]] 계획이 있다. * [[부여군]] - 과거 공주 경유로 철도가 건설될 뻔한 적이 있었으며, 1966년 [[충남선|논산~부여 간 철도]]가 착공되었으나 예산 부족으로 인해 이후 공사를 포기하였다. 물론 바로 윗 동네가 공주이긴 하지만 [[공주역/문제점|의미가 없는 수준]]. [[보령선]]이 정차할 계획이다. * [[서산시]] - 대산항에서 [[울진군|울진]]을 연결하는 중부권 동서내륙철도가 추진되고 있다. [[합덕역]]에서 분기하는 [[석문국가산업단지 인입철도]] 예비타당성이 통과되어 착공 예정이다. 이외에 [[서해안 내포철도]]를 추진 중에 있다. * [[청양군]] - 일제 강점기에 조치원~공주~청양~대천 간 철도가 계획되었으나 백지화되었다. [[보령선]]이 정차할 계획이다. * '''[[태안군]]''' - 바로 옆 서산, 당진에도 없는데[* 다만, 당진시에는 여객영업을 하진 않지만 [[당진제철소 내부 철도|철도가 있기는 하다.]] 노선은 통과하지만 여객영업을 하는 역사가 없는 도시 항목을 참조.] 바다로 튀어나온 반도인 태안군에 있을 리 만무하다. 한때 1990년대 말부터 2000년대까지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01879807|태안 안흥~천안 간 동서산업철도]]를 건설하려는 계획이 있었지만 지금은 감감무소식이고 대산항-울진 노선에 밀려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충남에서 서해안을 접하고 있는 지역 중 서산과 함께 철도교통이 없는 유이한 도시이다. 2020년 들어 [[서산시]] 등 인근 지자체와 함께 [[내포신도시]]에서 출발하는 이른바 [[서해안 내포철도]]를 [[http://www.goodmorningcc.com/news/articleView.html?idxno=243210|추진중]]에 있다. === [[경상북도]] === * [[고령군]] - [[달빛철도]]가 고령역에 정차할 계획이다. * [[성주군]] - [[남부내륙선]]이 [[성주역]]에 정차할 계획이다. * '''[[울릉군]]''' - '''아주 먼 섬.'''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태하향목지구에 [[궤도운송법]]의 적용을 받는 관광용 모노레일이 있긴 하다. 이 점은 [[인천광역시]]의 [[월미바다열차]]도 마찬가지. 2010년경에 24km 길이의 일주 순환 모노레일 설치 계획이 있었으나, 예산 등 여러 문제로 취소되었다. * '''[[영양군]]'''[* [[동청송·영양IC]]는 이름에만 영양이 들어가 있을 뿐, 영양군에 없고 청송군에 있다. 그나마 이 지역이 청송과 영양의 경계라서 이름값을 어느 정도 하긴 하지만 [[영양읍]]내로 들어가려면 또 다시 백두대간 사이 꼬부랑길을 거쳐야한다. ] - 아래 청송군과는 달리 철도 계획이 전무하다. 한술 더 떠서 '''대한민국 본토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곳이다.''' * [[청송군]] - [[경상북도]]에서 장기계획으로 추진 중인 [[의성영덕선]]이 개통한다면 청송역이 생길지도 모른다. === [[경상남도]] === [[부울경]]으로 자주 묶이기 때문에 철도가 지나지 않는 지역이 적을 것이라는 인식과는 의외로, 과거 고속도로에 대한 집착으로 전라남도와 함께 전국에서 가장 많다. * [[거창군]] - [[달빛철도]]가 건설될 예정이다. 또한 전북에서는 전주김천간 철도사업이 잘 되고 있지 못하자 별도로 새만금과 직선으로 잇는 차원에서 [[http://www.jjan.kr/2112614|장수군 지역구 전북도의원]]이 [[https://www.jjan.kr/article/20230411580247|새만금-전주-장수간 철도]]를 만들어 달빛철도와 연계하자고 제안했지만 바로 번암면을 연결할지 장계면을 거쳐 거창으로 이어질지 두고볼 일이다. * [[고성군(경상남도)|고성군]] - [[남부내륙선]] [[고성역(경남)|고성역]]이 건설될 예정이다. * '''[[거제시]]''' - '''섬.''' [[남부내륙선]] [[거제역(남부내륙선)|거제역]]이 건설될 예정이다. * '''[[남해군]]''' - '''섬.''' [[1973년]]에 연륙교량인 [[남해대교]]가 개통하기 전까지는 배를 타야만 했던 섬마을이었다. 찻길이 뚫리기까지도 오랜세월이 흐른 것을 감안하면 철도노선의 전망이 밝지 않지만 2023년 4월 마침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906864?sid=102|대전남해철도]]가 경남도차원에서 검토중에 있다.[* 노선명에서 알 수 있듯 일단 개통만 된다면 [[통영대전고속도로]]의 교통량을 분담할 수 있게 된다.] * [[산청군]] - 과거부터 꾸준히 [[대삼선]] 등 대전-진주간 철도 계획이 있었으나 [[남부내륙선]]에 밀려 물거품이 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황운하]] 의원이 추진하는 [[http://www.redaily.co.kr/947|서대전~진주 철도]] 계획이 있다. 이후 [[진양호]] 우회 문제로 의령 대의면 대신 산청군 생비량면을 통과하게 되었다만 뚜렷한 신설운동이 부족한 상태이다. * '''[[의령군]]''' - [[남부내륙선]] 초기 계획상으로는 지나갈 계획이 있었으나, 이후 [[진양호]] 우회 문제로 의령 대의면 대신 산청군 생비량면을 통과하게 되면서 정차가 어렵게 되었다. [[남부내륙선/창원시의 노선 변경 건의|남부내륙선 창원시 건의안]]에서는 의령 읍내를 지나 함안 [[군북역]]으로 합류하므로 의령 입장에선 이에 기대를 걸었으나, 해당 노선 자체가 아주 큰 비판을 받고 외면받으면서 결과적으로 의령을 지나는 노선은 추후 남부내륙선 건설 후 지선 개념으로 창원시 안이 재추진되지 않는 이상 어렵게 되었다. * [[창녕군]] -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을 [[창녕대합산업단지]]까지 연장할 계획이 무산되고, [[대구산업선]]으로 대체하여 추진 중 또 다시 비용을 줄이기 위해 최종계획에서는 [[대구국가산업단지]]까지만 가는 것으로 확정되어 [[2019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예타를 면제받았다.]] 이후 [[창원역]]까지 연장하는 [[창원산업선]]을 추진 중에 있다. * [[통영시]] - [[남부내륙선]] [[통영역]]이 건설될 예정이다. * [[함양군]] - [[달빛철도]] 함양역이 건설될 예정이다. 그 외에도 [[황운하]] 의원이 추진하는 [[http://www.redaily.co.kr/947|서대전~진주 철도]] 계획이 있다. * [[합천군]] - [[남부내륙선]]과 [[달빛철도]]가 교차하는 [[합천역]]이 건설될 예정이다. * [[창원시]] * ''[[마산합포구]]'' 1980년대 이전에는 [[마산역]], [[구마산역]], [[신마산역]], [[북마산역]]이 있었으나 이설과 함께 폐역되어 현재 마산합포구에는 철도가 들어오지 않게 되었다. === [[부산광역시]] === * '''''[[영도구]]'' ''' - '''섬.''' 그나마 이 문서에 작성된 지역 중 가장 사정이 낫다. [[영도대교]]를 건너면 바로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남포역(부산)|남포역]]이 바로 있고 영도와 남포역을 잇는 시내버스 노선은 매우 많기에 접근성이 매우 좋다. 과거 [[부산전차]](폐선)가 [[영도대교]]를 통해 [[영도]]까지 들어왔다. 장기적으로 [[부산 도시철도 영도선]] 건설 계획이 있다. === [[울산광역시]] === * '''[[동구(울산광역시)|동구]]''' - 지형이 반도인 데다가 지역 주민들도 다른 지역으로 가려면 무조건 [[북구(울산광역시)|북구]]를 통과해야 한다. 그나마 [[울산대교]]가 개통되어 최근에는 [[남구(울산광역시)|남구]]를 통과해서도 갈 수 있다. 동구 해안가 중심으로 계획된 [[울산 도시철도 3호선]]을 추진 중. * ''[[중구(울산광역시)|중구]]'' - 한때, (구)[[동해남부선]] [[태화강역|울산역]]이 중구 소속이었지만 1992년 남구로 이설되었다. 또한 [[병영역]]이 폐지되기도 하였다. 남구를 관통하여 태화강을 건너[* 현재 도보교로 남아있는 울산교가 그 흔적. 참고로 시내 한가운데를 지나는 '[[구교로(울산)|구교로]]'는 구간 전체가 옛 선로부지 위에 만들어졌고 중간에 '''구철길 사거리'''가 있다.] 중구도 관통하였다. 구 울산역사는 [[이마트 학성점]](구 [[월마트/대한민국|월마트]]) 자리였으며[* 하지만 해당 매장은 매출이 부진하여 땡처리 매장으로 버티다가 결국 뉴스테이 주택 건설을 이유로 2017년 말에 폐점했다.] 그쪽에 있는 재래시장을 아직도 구역전시장이라고 부른다. [[울산 도시철도 2호선]], [[울산 도시철도 4호선]]을 추진 중이다. === [[전북특별자치도]] === * [[고창군]] - [[대한민국 제3공화국|제3공화국]] 시기인 1967년 부안-고창-영광을 잇는 [[서해안선]]이 착공되었으나 경제성 문제로 사실상 폐기되어 [[서해안고속도로]] 부지로 전환된 이후, 2000년대부터 지역 정치권 차원에서 [[서해안선|군산목포선]]을 [[http://www.dailian.co.kr/news/view/83769|건설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전라북도청]]에서는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일단 새만금~목포 철도로 신청하였으나, 2021년 4월 22일 열린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공청회에서 추가 검토 사업에만 선정되어 추진에 적신호가 켜졌다. * [[부안군]] - [[대한민국 제3공화국|제3공화국]] 시기인 1967년 부안-고창-영광을 잇는 [[서해선#s-7|서해안선]]이 착공되었으나 경제성 문제로 사실상 폐기되어 [[서해안고속도로]] 부지로 전환된 이후, 2000년대부터 지역 정치권 차원에서 [[서해안선|군산목포선]]을 [[http://www.dailian.co.kr/news/view/83769|건설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전라북도청]]에서는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일단 새만금~목포 철도로 신청하였으나, 2021년 4월 22일 열린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공청회에서 추가 검토 사업에만 선정되어 추진에 적신호가 켜졌다. * [[순창군]] - [[달빛철도]]가 [[순창역]]을 경유할 계획이다. * [[무주군]] - 현재로써는 그나마 가장 가까운 역이 [[영동역]]이고 고속철도역 중에서는 [[대전역]]이 가장 가깝다. [[전주김천선]]이 지나갈 계획이다. 남북축 철도로는 대전-진주간 철도를 건설하려는 움직임도 있었지만 [[남부내륙선]]에 밀려 물거품이 되었고 [[달빛철도]]와 연계되는 남원-영동간 철도마저 소식이 없다. 이 외에 [[황운하]] 의원이 추진하는 [[http://www.redaily.co.kr/947|서대전~진주 철도]] 계획이 있다. * [[진안군]] - 일제강점기 때 대전-관촌간 철도 부설 계획에 따라 철도가 들어올 기회가 있었으나 태평양 전쟁이 터지면서 유야무야되었다. [[전주김천선]]이 지나갈 계획이다. 또 별개로 진안군 출신 지역인사가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강원-진안-전남간 [[https://blog.naver.com/ybc9100/222773897583|강전고속철 유치]]를 제안.주장하는 칼럼을 올렸다. * [[장수군]] - 무주와 비슷한 처지로 남북축 대전-진주 간 철도를 건설하려는 움직임도 있었지만 [[남부내륙선]]에 밀려 물거품이 되었고 [[달빛철도]]와 연계되는 [[https://n.news.naver.com/article/032/0000023080|남원-영동간 철도]](또는 [[http://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0410&sc_section_code=S1N1|광주-남원-영동간 철도]]) 마저 소식이 [[https://n.news.naver.com/article/052/0000043279|없지만]] 다행히 최근에는 구 [[88올림픽고속도로]] 노선처럼 번암면 한정으로나마 [[달빛철도]] 유치에 합류했다. 그 외에 [[황운하]] 의원이 추진하는 [[http://www.redaily.co.kr/947|서대전~진주 철도]] 계획이 있다. 또한 전북에서는 전주김천선이 잘 되고 있지 못하자 별도로 새만금과 직선으로 잇는 차원에서 [[http://www.jjan.kr/2112614|장수군 지역구 전북도의원]]이 [[https://www.jjan.kr/article/20230411580247|새만금-전주-장수간 철도]]를 만들어 달빛철도와 연계하자고 제안했지만 바로 번암면을 연결할지 장계면을 거쳐 거창으로 이어질지 아니면 울산에서 추진중인 [[http://www.uj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334781|울산-전주간 고속철도]]처럼 함양으로 거쳐가게 될지 두고볼 일이다. === [[전라남도]] === * __[[강진군]]__ - 2024년 [[경전선#s-5.5]] [[강진역]]이 개통 예정이다. * [[고흥군]] - [[2020년]] [[77번 국도]] 여수-고흥 연륙연도교 구간이 개통되기 전까지만 해도 타지로 진출하려면 고흥반도의 목 부분에 해당하는 [[보성군]]을 반드시 거쳐야만 했다. 다행히도 군계를 넘어가면 [[벌교역]]이 코앞이지만, 이곳은 선로 상태가 워낙 불량해 여객열차의 경쟁력이 낮기로 국내에서 손꼽히는 '''서부[[경전선]]''' 구간이다. 따라서 이 동네 사람들은 보통 벌교역 앞에 서는 [[순천 버스 88|순천 88번 버스]]를 타고 [[순천역]]까지 이동한 뒤에야 비로소 철도를 이용하는 패턴을 보인다. 2005년에 [[http://www.jnilbo.com/read.php3?aid=1105023600132195064|벌교~녹동 철도 건설]]이 제안된 적은 있었으나, 이듬해인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4회 지선]]에서 [[진종근]] 고흥군수의 재선 실패 이후 인근 [[보성군]]과 [[벌교읍]]의 관심과 공론화조차도 없어 수면 아래로 가라앉고 말았지만 16년 만인 민선 8기 공영민 군정 출범 이후 KTX 고흥역과 녹동역 건설의 [[https://ysmbc.co.kr/article/NiCguTosMjeAFWALtL|타당성 조사]]를 위해 고흥군은 본예산에 4억 8천 만 원의 용역비를 반영하며 [[http://www.thesegye.com/news/view/1065576549131796|벌교~고흥(도양) 간 철도 건설]]에 [[http://www.shina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46370|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youtube(L8PDHm7zzgA)][youtube(Vzhg9gMJslk)] * [[구례군]] - 군 이름을 딴 [[구례구역]]이 있긴 하지만 이 역은 구례군이 아니라 [[순천시]] 황전면에 있다. 그래도 역 바로 앞의 [[섬진강]]만 건너면 구례읍이고, 구례 주민들이 실제로도 역을 애용하며, 구례 수요를 잡기 위해 KTX도 정차하니 그럭저럭 이름값은 하는 편. 일각에서는 순천시 황전면 비촌리와 선변리를 구례군으로 편입하자는 주장을 하고 있는데 실현되면 구례군에도 철도가 생길 듯. 그리고 [[https://n.news.naver.com/article/032/0000023080|남원-영동간 철도]]도 얘기가 나오고 있다. * ''[[담양군]]'' - [* 이름이 비슷한 '''[[단양군]]'''은 철도 노선이 있다.][[전남선]](폐선)이 지나던 지역이다. [[달빛철도]]가 [[담양역]]에 정차할 계획이다. 또한 담양군 차원에서 [[http://www.dyjachi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914|광주-담양 경전철]]사업을 추진중이다. * '''[[신안군]]''' - '''섬'''이다. 위의 인천 옹진군과 사정이 같다. '''섬이 너무 많고 비좁아서''' 일일이 철도를 놓기가 불가능에 가깝다. * [[영광군]]: [[대한민국 제3공화국|제3공화국]] 시기인 1967년 부안-고창-영광을 잇는 [[서해안선]]이 착공되었으나 경제성 문제로 사실상 폐기되어 [[서해안고속도로]] 부지로 전환된 이후, 2000년대부터 지역 정치권 차원에서 [[서해안선|군산목포선]]을 [[http://www.dailian.co.kr/news/view/83769|건설하자는 목소리]]가 지금까지도 있지만 타당성 문제 때문에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전라남도]]에서는 [[서해안선|목포~군산 간 철도]]를 관철시키기 위해 [[달빛철도]]를 [[http://www.simin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229183|광주에서 영광으로 연장]]하려는 [[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220630010017856|움직임도]] 있다. 앞서 2021년 지방 민선7기 당시 3선의 영광군의원도 [[http://www.weeklypeople.net/view.do?seq=17524|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적극적인 움직임은 없다. 별개지만 영광군 차원에서 [[http://www.yg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2904|광주송정역~영광 간 경전철]] [[http://www.yg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2826|공론화]] 중이다. * '''[[완도군]]''' - '''섬.''' 1990년대 전라남도가 [[http://www.wan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7202|나주-완도 간 철도]]를 계획하기는 했지만 경제성 부족으로 [[강진광주고속도로]]로 대체되었다. 그나마 [[제주 해저터널]]을 건설하게 되면 무조건 지나야 하므로 해당 군에서 희망을 걸고 있다. * __[[장흥군]]__ - [[경전선#s-5.5]]이 정차할 계획으로, 2024년 [[장동역(경전선)|장동역]]과 [[장흥역(경전선)|장흥역]]이 영업 예정이다. * '''[[진도군]]''' - '''섬.''' 2019년 김영록 전남지사가 진도군을 방문하여 [[https://jnilbo.com/view/media/view?code=2019031416175662695|목포~군산 간 철도]]진도 연장을 검토한 바 있지만 추가적인 소식은 없다. * __'''[[해남군]]'''__ - '''큰 반도.''' 2024년 [[경전선#s-5.5]] [[해남역]]이 개통 예정이다. 1990년대 전라남도가 [[http://www.wan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7202|나주-완도 간 철도]]를 계획하기는 했지만 경제성 부족으로 [[강진광주고속도로]]로 대체되었다. === [[제주특별자치도]] === 섬 지역으로, 도 전체에 철도가 없다. 정치인들이 끊임없이 트램 등의 철도를 제안하고 있지만 선형 문제와 교통체증 문제 등 여러 난관에 봉착하여 추진부터 쉽지가 않은 상황이며, 제주 해저터널 역시 계획은 있으나 지지부진하다. * ''' ''[[제주시]]'' ''' - 관광용 협궤철도가 [[에코랜드]] 테마파크에 존재하긴 한다. 과거에는 [[제주도순환궤도]]가 현재의 [[제주시]] 지역에 있었으나 폐지되었다. * '''[[서귀포시]]''' - 위의 순환궤도는 완성되지도 못하여 서귀포시엔 들어서지도 못했다. 해저터널이 뚫려도 [[한라산]] 때문에 서귀포시까지 도달할지는 미지수. == 노선은 통과하지만 여객영업을 하는 역사가 없는 지역 == * [[강원특별자치도]] * ''' ''[[고성군(강원특별자치도)|고성군]]'' ''' - [[동해북부선]]의 [[제진역]]이 들어와 있지만 [[민간인 출입통제선|민통선]] 내부에 위치한 데다 [[북한]]의 [[감호역]] 방면으로만 선로가 나 있을 뿐이다. 따라서 열차 운행도 불가능하고 역세권 또한 없어 현재는 그저 정치적 상징으로만 작용할 뿐이다. 그러나 2020년 4월 27일 [[동해선]] [[강릉역]]~[[제진역]] 구간 추진 기념식이 제진역에서 이루어졌고, 정부에서 이 사업을 남북교류추진사업으로 지정하기로 방침을 정해서 [[예비타당성조사]]가 면제되었다. 이 와중에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이 발생하면서 추진이 무산될 뻔 했지만, 2020년 8월 이미 [[http://www.molit.go.kr/USR/BORD0201/m_69/DTL.jsp?id=N01_B&mode=view&idx=242508|환경영향평가와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한 상태이다. 2021년 말에 착공할 계획이라고 한다. 따라서 [[동해선]] [[강릉역]]~[[제진역]] 구간이 완공되면 철도가 지나지 않는 도시에서 벗어날 것이다. * ''' ''[[철원군]]'' ''' - [[경원선]]의 [[백마고지역]]이 있지만 전철화 공사로 인해 [[통근열차(한국의 열차등급)|통근열차]]가 운행을 중단하고 [[경원선 대체운송버스(2019년)]]로 대체되면서 철도운송은 멈추게 됐다. 과거엔 백마고지역 대신 [[철원역]]이 있었고, 노선은 [[금강산선]]까지 운행했었으며 경원선은 [[월정리역]]까지, 금강산선은 [[정연역]]까지 총 8개의 역이 있었다. 소요산-연천 광역전철 연장공사가 끝난 후에는 정작 [[DMZ train]]이 폐지되어 운행 재개는 요원해졌는데, 2024년 말에 무궁화호 등급으로 부활할 예정이다. * [[충청북도]] * [[청주시]] * [[서원구]] - [[경부선]]과 [[경부고속선]]이 현도면을 지나가지만 역은 없다. 경부고속선의 경우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으로 나갔다가 남이면으로 한번 더 들어온다. (구)[[충북선]]이 지나가던 적도 있었지만, 역시 역은 없었다. 만약 청원군 부용면이 세종특별자치시로 편입되지 않고 청원군에 잔류해 있다가 그대로 통합청주시의 일원이 되었다면 [[부강역]]의 존재로 인해 이 문서에 서원구가 낄 일은 없었을 것이다. * [[충청남도]] * __ [[당진시]]__ - [[현대제철]]이 운영하는 [[당진제철소 내부 철도]]가 있으나, 여객영업은 하지 않는다. 참고로 제철소 전용선은 다른 철도와 이어져 있지 않다.[* 이 제철소 내부 철도는 후술할 서해선의 지선 격인 석문산단 인입철도가 완성된다면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 [[서해선]]이 정차할 계획으로, 2024년 [[합덕역]]이 영업 예정이다. * [[경상북도]] * ''__[[울진군]]__'' - 한때 [[영동선]] [[승부역]]이 울진군 소속이었지만 일대가 1983년 [[봉화군]]으로 편입되었다. [[영동선]]의 [[분천역]]~[[승부역]] 구간에서 [[울진군]]을 두 번 스쳐 지나가지만 역은 없다. 상류 쪽 방향으로 200m, 하류 쪽 방향으로 300m 정도. 그래도 그나마 [[양원역(영동선)|양원역]]이 두 군의 경계선에 달라붙어 있다시피 하고 2024년 [[동해선#s-5.3]] [[울진역]]이 개통 예정이다. 1990년대 말부터 [[http://www.cnbnews.com/news/article.html?no=320325|울진~봉화 분천 간 철도 건설]] 계획도 있지만 타당성 문제로 아직까지 시행되고 있지 못하고 있어 울진군에서는 어떻게든 추진시키려고 하고 있다.[[http://n.news.naver.com/article/001/0004440768|#]] * __[[영덕군]]__ - [[영덕역]], [[강구역]], [[장사역]]이 군내에 있으나 운행이 중단되었는데, 이유는 동해선 [[포항역]]~[[영덕역]] 구간은 비전철화가 되어 있고 해당 구간을 전기 없이 다닐 수 있었던 [[RDC 디젤동차]] 무궁화호가 2023년 12월 17일 퇴역하여 현재 이 구간을 운행할 열차가 부재하여 2024년 12월 31일까지 운행을 멈춘 것이다. 대신 운행 중단 기간동안 영덕역과 포항역을 오가는 대체운송버스 노선이 임시로 개통하여 접근성이 그렇게까지 나쁘진 않다. * [[포항시]] * ''[[남구(포항)|남구]]'' - [[괴동선]]의 [[괴동역]]과 [[효자역(포항)|효자역]]이 있으나, 여객영업은 하지 않는다. 포스코 통근열차가 운행하던 시절에는 [[괴동선]]의 [[괴동역]]과 (구)[[동해남부선]]의 [[양학동역]]에서 여객취급을 하였으나, 통근열차가 폐지된 후에 양학동역은 폐역되었다. * [[경상남도]] * [[창원시]] * ''''' [[성산구]] '' ''' - [[진해선]]의 [[성주사역]]과 [[남창원역]]이 있으나, 여객영업은 하지 않는다. 또한, [[경전선]]이 지나가지만 [[창원중앙역]]은 구 경계를 지나가서 있다. * ''[[진해구]]'' - [[진해선]]의 [[통해역]], [[진해역]], [[경화역]]이 있으나, 여객영업은 하지 않는다. [[통해역]]은 애초부터 [[진해기지사령부|민간인 출입이 불가능하고]] 나머지 역들도 [[진해 군항제]]에만 운영하는 셔틀열차도 사라져서 이용할 수 없다. 현재 진해선을 활용하여 [[창원 도시철도 2호선]]이 진해역까지 개통할 예정이다. * [[전북특별자치도]] * [[전주시]] * [[완산구]] - [[전라선]]이 지나가지만 역이 없다. [[전북권 광역철도]] 계획이 있긴 하지만 이 노선은 기존선을 개량하는 방식이라 [[전주역]] 종착으로 계획되어 있고 설령 연장돼도 [[아중역]]에서 끝날 가능성이 높다. * [[전라남도]] * __[[영암군]]__ - [[대불선]]의 [[대불역]]이 있으나, 여객영업은 하지 않는다. 2024년 [[경전선#s-5.5]] [[영암월출역]]이 개통 예정이다. 1990년대 전라남도가 [[http://www.wan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7202|나주-완도 간 철도]]를 계획하기는 했지만 경제성 부족으로 [[강진광주고속도로]]로 대체되었다. == 이북5도 == ※ 행정구역은 광복 당시의 이북 5도 행정구역을, 철도 노선은 현재의 것을 따른다. * [[미수복 경기도]]: [[장단군]] [[판문역]]. 2016년 [[개성공단 폐쇄]]로 영업 중단 상태에 있다. 단 폐역인 [[장단역]]과 현업역인 [[도라산역]]은 휴전선 이남이므로, 여기에 해당되지는 않는다. * [[미수복 강원도]]: [[김화군]], [[회양군]], ~~[[통천군]]~~[* [[금강산청년선]]이 있긴 하나 사실상 폐선 상태.] * [[황해도]]: [[안악군]], [[수안군]], [[곡산군]] * [[평안남도(이북5도위원회)|평안남도]]: [[영원군]] * [[평안북도(이북5도위원회)|평안북도]]: [[창성군]], [[벽동군]], [[초산군]], [[위원군]], [[운산군]][* 운산선 폐선] * [[함경남도(이북5도위원회)|함경남도]]: [[갑산군]][* 1944년 [[혜산군]] 분군] * [[함경북도(이북5도위원회)|함경북도]]: 없음 == [[북한]] == 여기서는 위의 이북 5도와는 별도로 현 북한에서 쓰는 행정구역 기준으로 철도가 지나지 않는 도시를 작성한다. === [[강원도(북한)|강원도]] === * ''[[금강군]]'' - [[회양군]] 시절 [[금강산선]]이 있었으나 6.25전쟁으로 폐선되어 철도가 지나지 않는다. * ''[[회양군]]'' - [[일제강점기]] 당시 현 [[금강군]] 지역에 금강산선이 있었으나 6.25전쟁으로 폐선되어 철도가 지나지 않는다. * ''[[창도군]]'' - 김화군 시절 금강산선이 있었으나 6.25전쟁으로 폐선되어 철도가 지나지 않는다. * ''[[김화군]]'' - [[일제강점기]] 당시 금강산선이 있었으나 6.25전쟁으로 폐선되어 철도가 지나지 않는다. * ''[[철원군(북한)]]'' - [[일제강점기]] 당시 금강산선이 있었으나 6.25전쟁으로 폐선되어 철도가 지나지 않는다. * [[법동군]] === [[황해북도]] === * '''[[연탄군]]''' - '''only 지방도 시리즈 1'''. 철도는 물론 국도도 없다. * [[장풍군]] * '''[[린산군|인산군]]''' - '''only 지방도 시리즈 2'''. 이쪽 역시 철도는 물론 국도도 없다. * [[연산군(황해북도)|연산군]] * [[토산군]] * [[수안군]] * [[곡산군]] * [[신평군]] == 관련 문서 == * [[역 관련 정보/권내 역에 지자체명 없는 지역]] * [[철도가 없는 국가]] * [[고속도로가 지나지 않는 지역/대한민국]] [[분류:한국의 철도]][[분류:철도가 없는 기초자치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