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鐵岩驛}}} || {{{+1 Cheoram Station}}} || ||<-3> {{{#ffffff {{{+2 '''철암역'''}}}}}} || || [[동대구역|{{{#!html동대구}}}]]·[[부전역(동해선)|{{{#!html부전 방면}}}]] ||<|2> [[무궁화호|{{{#!html
영동선
무궁화호
}}}]] || [[동해역|{{{#!html
동해 방면}}}]] || ||<|2> [[석포역|석 포]][br]← 10.2 ㎞ ||<|2> [[동백산역|동백산]][br]6.1 ㎞ → || ||<|2> [[동해산타열차|{{{#!html
동해산타열차}}}]] || || [[분천역|{{{#!html
분천 방면}}}]] || [[강릉역|{{{#!html
강릉 방면}}}]] || || [[분천역|{{{#!html
분천 방면}}}]][[승부역|승 부]][br]← 17.8 ㎞ || [[백두대간협곡열차|{{{#!html
V-train}}}]] || {{{-1 {{{#585858 시종착}}}}}} || ||<-3>{{{#!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철암역, 너비=100%, 높이=225px)]}}}|| ||<-3> '''{{{#ffffff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Cheoram || || [[한자]] ||<-2> 鐵岩 || || [[간체자]] ||<-2> 铁岩 || || [[가나(문자)|가나]] ||<-2> [ruby(鉄岩, ruby=チョラム)] || ||<-3> '''{{{#ffffff 주소}}}''' || ||<-3>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동태백로 389[br](철암동 370-1) || ||<-3> '''{{{#ffffff 관리역 등급}}}''' || ||<-3> [[보통역]](3급) [[태백역]] 관리/[[한국철도공사]] 강원본부 || ||<-3> '''{{{#ffffff 운영 기관}}}''' || || [[영동선]] ||<-2> [[한국철도공사]] || ||<-3> '''{{{#ffffff 개업일}}}'''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영동선]] || 1940년 8월 1일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 1986년 3월 21일 || || [[누리로|[[파일:누리로 BI.svg|width=60px]]]] || 2021년 1월 5일 || || [[동해산타열차|{{{#ffffff 동해산타열차}}}]] || 2020년 8월 19일 || || [[백두대간협곡열차|{{{#ffffff V-train}}}]] || 2013년 4월 12일 ||}}}}}}}}} || ||<-3> '''{{{#ffffff 철도거리표}}}''' || || [[영주역|{{{#!html
영주 방면}}}]][[동점역|동 점]][br]← 4.0 ㎞ || '''[[영동선]]'''[br]철 암 || [[청량신호소|{{{#!html
청량 방면}}}]][[백산역|백 산]][br]4.3 ㎞ →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_MG_0046_%BE%F7%B7%CE%B5%E5%BF%EB.jpg|width=100%]]}}} || || {{{#fff '''현 역사(1985년 준공)'''}}}[* [[http://blog.naver.com/trainmaster1|출처]]]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40.8-1985.9yuk.jpg|width=100%]]}}} || || {{{#fff '''구 역사(1956년 준공, 1985년 철거)'''}}}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철암역 스탬프.jpg]] 철암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전국에 석탄의 열기를 실어 나르다''' >1936년, 단일탄광으로는 국내 최대규모인 장성탄전의 석탄이 철암으로 운반되어오면서 이 지역에 본격적인 탄광사회가 형성된다. 1940년 8월 영업을 시작한 철암역이 바로 이 탄광사회의 중심이다. 철도가 없는 장성에서 생산된 석탄이 철암역을 통해 전국으로 퍼져나갔기 때문에 역의 위상은 대단했다. 당시 강릉역 역무원이 28명이던 80년대, 철암역에서 근무하는 역무원이 300여 명이었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였다. [[석탄 산업 합리화 정책]] 추진에 따라 활력을 잃어가던 철암역은 2013년 백두대간협곡열차의 운행과 2014년 문을 연 철암탄광역사촌과 더불어 새로운 미래를 열어가고 있다. >----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영동선]]의 철도역이자 [[석포역]]과 함께 '''영동선에서 여객 업무와 화물 업무를 모두 하는 역'''[* [[분천역]] 같은 역들도 화물 업무를 했으나 지금은 화물 업무를 안 한다.]이다.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동태백로 389(철암동 370-1)에 있다. 현재 역사는 1985년 완공되었다. 2022년 2월 1일부터 역에서 승차권 발매를 중단해서 인터넷에서 예매하거나 차내발권을 해야한다. == 역명 유래 == 철암역이라는 역명은 이 동네에 철도가 개통된 이후 강릉 방면으로 약 4㎞ 부근에 쇠돌바위라는 기암괴석이 형성되어 그 경치가 훌륭했고, 그 이름을 따서 동명을 철암(鐵岩)이라고 칭한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 특징 == [Include(틀: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1~30호)] ||[[파일:1940.8-1985.9yuk.jpg|width=100%]] [[파일:구 철암역.jpg|width=100%]] [[파일:구 철암역 구내.jpg|width=100%]]|| || 구 역사 || 과거 [[태백시]] 지역의 [[무연탄]]을 취급하는 '''매우 큰 역'''이었지만[* 한때 철암역의 한 해 수입이 '''호남지방 모든 노선을 관할하는 순천지방철도청의 한 해 수입과 맞먹거나 그 이상이었다'''고 한다. 현재도 이 흔적이 역 안에 남아있는데 바로 승강장에 가면 보이는 거대한 선탄시설(석탄을 싣는 시설)이며, '''근대문화유산'''이라고 한다. [[백두대간협곡열차]] 탑승시 간단하게 설명을 들을 수 있다.], [[석탄]] 산업 자체가 사양되면서 역 앞도 대낮에 가도 휑했다. 하지만 [[백두대간협곡열차]]의 성공 이후 역 앞의 을씨년스러운 건물 상당수를 철거하고 철암천이 바로 보이도록 하였다. 일부만 관광자원으로써 남겨 놨다. 부산~동해간 무궁화호를 포함한 영동선 모든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아직도 화물 수요가 상당하다. 역 구내를 보면 엄청 큰데 화물이 주 업무여서 그렇고, 여객은 그냥 부수업무로 취급된다. 참고로 매표소 앞에서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를 찍을 수 있는데 도안이 화물열차가 아니라 영동관문이다. 구내 선탄(選炭)시설은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국가등록문화재]] 제21호로 지정되어있다. 남쪽에 건널목이 하나 있는데 차단기가 수동식이다. 이름은 '철암남부건널목'이다. == 관광열차 == 2013년 4월 1일 [[중부내륙순환열차]]와 [[백두대간협곡열차]]가 운행을 개시하면서 닫혀있던 창구를 개방하고 승차권 단말기도 다시 비치, 한켠에는 [[스토리웨이]]까지 입점하였다. 그리고 2014년에는 폐광촌 일부를 주민과의 협의하에 '철암탄광역사촌'이라는 박물관 및 탄광촌 풍경들을 구현한 시설로 리모델링했다. 덕분에 예전의 썰렁했던 때와 달리 협곡열차 출발 시간이 가까워오면 각지에서 온 관광객들로 붐빈다. == 승강장 == ||<-6> ↑ [[동백산역|동백산]] || || | || {{{#ffffff 3}}} || {{{#ffffff 2}}} || | || | || {{{#ffffff 1}}} || ||<-6> [[석포역|석포]] ↓ || || {{{#ffffff 1}}} ||<|2> [[영동선]] ||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동해역|동해]]·[[동대구역|동대구]]·[[부전역(동해선)|부전]] 방면 || || {{{#ffffff 2·3}}} || [[백두대간협곡열차|{{{#!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96dc; font-size: .9em" {{{#ffffff '''V-train'''}}}}}}]]·[[동해산타열차|{{{#!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495; font-size: .9em" {{{#ffffff '''동해산타'''}}}}}}]] ||[[강릉역|강릉]]·[[분천역|분천]]·[[영주역|영주]] 방면 ||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백두대간협곡열차|{{{#!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3D99C2; font-size: .9em" {{{#ffffff '''V−train'''}}}}}}]][br][[중부내륙순환열차|{{{#!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7AC141; font-size: .9em" {{{#ffffff '''O−train'''}}}}}}]][br][[동해산타열차|{{{#!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495; font-size: .9em" {{{#ffffff '''동해산타열차'''}}}}}}]] ||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br]{{{#!wiki style="margin: -0px -9px" [[누리로|[[파일:누리로 BI.svg|width=68]]]]}}} || {{{#ffffff '''총합'''}}} || {{{#ffffff '''비고'''}}} || || 2003년 ||<|10> || 193명 ||<|10> || || || 2004년 || {{{#f55839 234명}}} || || || 2005년 || 184명 || || || 2006년 || 131명 || || || 2007년 || 115명 || || || 2008년 || 105명 || || || 2009년 || 94명 || || || 2010년 || 91명 || || || 2011년 || 72명 || || || 2012년 || 83명 || || || 2013년 || {{{#3d99c2 757명}}} || 176명 || {{{#red 933명}}} || [* O-train, V-train의 자료는 개통일인 4월 12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264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14년 || 543명 || 233명 || 776명 || || || 2015년 || 448명 || 169명 || 617명 || || || 2016년 || 282명 || 191명 || 473명 || || || 2017년 || 355명 || 170명 || 525명 || || || 2018년 || 269명 || 156명 || 425명 || || || 2019년 || 268명 || 146명 || 414명 || || || 2020년 || 77명 || 44명 || 121명 || || || 2021년 || 22명 || 35명 || 57명 || || ||<-5> {{{#ffffff '''출처'''}}} || ||<-5>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List.do?bbsNo=202&key=1421|철도통계연보]] || }}} == 시간표 == ||||||||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상행) |||||||| || 시간 || 열차종별 || 열차번호 || 종착역 || || 07:16 || 무궁화 || 1680 || 영주 || || 09:52 || 무궁화 || 1672 || 동해 || || 14:28 || 무궁화 || 1682 || 동해 || || 22:04 || 무궁화 || 1674 || 동해 || ||||||||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하행) |||||||| || 시간 || 열차종별 || 열차번호 || 종착역 || || 12:13 || 무궁화 || 1671 || 동대구 || || 17:03 || 무궁화 || 1681 || 부전 || || 19:03 || 무궁화 || 1673 || 동대구 || || 19:17 || 무궁화 || 1683 || 동해 || |||||||| [[동해산타열차|{{{#!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495; font-size: .9em" {{{#ffffff '''동해산타열차'''}}}}}}]] (상행) |||||||| || 시간 || 열차종별 || 열차번호 || 종착역 || || 12:22 || 동해산타열차 || 2502[*관광 수 ~ 일요일에만 운행] || 분천 || |||||||| [[동해산타열차|{{{#!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495; font-size: .9em" {{{#ffffff '''동해산타열차'''}}}}}}]] (하행) |||||||| || 시간 || 열차종별 || 열차번호 || 종착역 || || 16:22 || 동해산타열차 || 2503[*관광] || 강릉 || |||||||| [[백두대간협곡열차|{{{#!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96dc; font-size: .9em" {{{#ffffff '''백두대간협곡열차'''}}}}}}]] (상행) |||||||| || 시간 || 열차종별 || 열차번호 || 종착역 || || 12:35 || 백두대간협곡열차 || 2512[*관광] || 분천 || || 15:53 || 백두대간협곡열차 || 2514[*관광] || 영주 || == 여담 == [[이명세]] 감독의 대표작인 [[인정사정 볼 것 없다]]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박중훈]]과 [[안성기]]의 빗속 맨몸 격투장면이 이 곳의 선탄시설에서 촬영되었다. 드라마 [[굿 닥터]]의 주인공인 [[박시온]]이 성장한 곳이 이 일대로 추정된다. 1회 내용 중 박시온이 레지던트로 근무하기 위해 고향인 태백을 떠나 서울로 가기 위해 [[청량리역]]으로 가는 기차를 기다리는 장면이 있는 데 이 장면이 촬영된 역이 철암역이다. 다만 극이 방영되던 시기 철암역에서 청량리역으로 한 번에 연결하는 무궁화호는 존재하지 않았다. 극 중 고증 오류에 해당. 물론 지금도 없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영동선의 역 목록)] [include(틀:태백8경)] [[분류:1940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철도역]][[분류:영동선]][[분류: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백두대간협곡열차]][[분류:태백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