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철완 아톰)] [목차] == 개요 == [[데즈카 오사무]]의 만화 [[철완 아톰]]의 애니메이션을 다루는 문서. == TVA == === [[철완 아톰(1963)|1963년 애니메이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철완 아톰(1963))] === [[철완 아톰(1980)|1980년 애니메이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철완 아톰(1980))] === [[ASTRO BOY 철완 아톰|2003년 애니메이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STRO BOY 철완 아톰)] === 로봇 아톰 === [[파일:1356900.jpg]] [[데즈카 프로덕션]] 및 [[요미우리 TV 방송]]에서 [[나이지리아]]의 방송국 와 제휴해 제작한 애니메이션. 2014년에 총 8부작으로 이루어져 있다.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만들어졌기에 악역이나 스토리 진행이 이전 시리즈에 비해 상당히 가볍고 유아틱하다. 국내 방영을 하지 않아 국내에는 이 애니메이션의 존재조차 모르고 있는 사람들이 꽤 많다. 세계관과 등장 캐릭터들이 타 시리즈에 비해 꽤 많이 바뀌었으며, 가장 큰 특징 및 이전 작들과의 차이점은 시리즈의 주 연령층이 많이 어려진 만큼 아톰의 정신 및 신체 연령 역시 9세에서 4세 정도로 내려간 것. 이 때문에 히어로 이미지였던 이전 작과 비교해서 보면 상당히 충격을 느낄 정도로 좋게 말하면 유아틱한 순수함, 나쁘게 말하면 백치 속성이 가미된 아톰을 볼 수 있다. * '''OP''' [youtube(MgnMQtc47-8)] * '''ED''' [youtube(PnOXMDx3koQ)] === [[아톰: 더 비기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톰: 더 비기닝)] === GO!GO! 아톰 === [[파일:sp_logo.jpg]] 여섯 번째 작인 '''GO!GO! 아톰''' - [[2019년]] [[10월]]부터 [[2020년]] [[9월]]까지 [[TV 도쿄]][[https://www.tv-tokyo.co.jp/anime/gogo-atom/|에서 방영]]. [[영유아]]를 [[아동용 애니메이션|대상으로 한 애니메이션]]으로, 과학 상식 [[학습만화]] 비스무리한 성격의 [[TVA]] 작품이다. [[프랑스]]의 [[유럽 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회사와 공동 제작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그림체에서 묻어나오는 엄청난 [[양키센스]]를 볼 수 있다. 그 때문인지 캐릭터 디자인에는 호불호가 심하게 갈리며, [[양덕]]들조차 부담스러워하기도 한다. 2020년 8월 14일부터 [[https://laftel.net/item/39889|[[파일:라프텔 로고.svg|width=100px]]]]에서 더빙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아톰의 성우는 [[윤아영]]으로 바뀌었으며, 2021년부터 [[부메랑(미국 방송)|부메랑]] 한국 채널에서도 방영 중이다. 그외 한국어 더빙판 성우진은 [[현경수]], [[이장원(성우)|이장원]] 등 * OP [youtube(pQUVTzOsdF8)] 1963년도와 1980년도의 주제가를 현대식으로 재해석해 편곡한 곡. DOBERMAN INFINITY가 맡았다. * 일본판 CM [youtube(SBZUk43PM08)] == WEB == === [[PLUTO(만화)/애니메이션|PLUTO]]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PLUTO(만화)/애니메이션)] == 극장판 == === [[아스트로 보이: 아톰의 귀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스트로 보이: 아톰의 귀환)]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철완 아톰, version=532)] [[분류:철완 아톰/애니메이션]][[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