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반도의 평야)] ||<-2> {{{#fff {{{+1 '''철원평강용암대지'''}}}}}}[* 흔히 사용하는 명칭은 철원평야, 철원용암대지 등이 있으나, 관련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28895|연구]] 및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6159|문서]]와 평야의 절반이 [[평강군]]에도 분포한다는 점을 참고하여 철원평강용암대지로 서술하였다.][br]{{{#fff 鐵原平康熔岩臺地}}} [br]{{{#fff Cheolwon-Pyeonggang Lava Plateau}}}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PLP_LAND.png|width=100%]]}}} || || '''위치'''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br][[경기도]] [[포천시]], [[연천군]] [br]([[북한]]) [[강원도(북한)|강원도]] [[철원군(북한)|철원군]], [[평강군]], [[세포군]], [[회양군]] 일대|| || '''규모''' ||면적 650㎢[*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6159|철원평강용암대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6160|철원평야]]] || [목차]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PLP_VIEW.png|width=100%]]}}}||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risan.png|width=100%]]}}} || || '''소이산에서 본 철원평야와 오리산 (흰색 화살표)''' || [[강원도(북한)|강원도]] [[평강군]] 소재 [[휴화산]]인 [[오리산]]과 [[세포군]] [[검불랑역]] 인근 [[분화구]]의 열하분출로 인해 생성된 [[현무암]] [[용암 대지]]로,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경기도]] [[포천시]], [[연천군]] 일부와 [[북한]]의 [[강원도(북한)|강원도]] [[평강군]], [[세포군]], [[회양군]] 일대에 분포한다. 흔히 '''철원평야(鐵原平野)'''라고 불린다. 6.25 당시 [[대한민국]]이 격전 끝에 부분적으로 수복한 지역이다. 실제로 종전 이후에 [[철원 노동당사]] 빼고는 철원에 멀쩡한 건물이 한 개도 남아있지 않았을 정도이다. 사진 아래쪽 논은 대한민국의 경작지이며, 사진 중앙 녹색지대 경계부터 멀리 보이는 산들까지는 [[비무장지대]](DMZ)와 북한 지역이다. 오리산에서 분출한 용암은 비교적 점성이 낮기 때문에 화산체의 경사가 거의 평지에 가까울 정도로 완만하다. 우측 고지에 한국군 초소가 보이고 뒤쪽으로 [[군사분계선]]이 지난다. == 상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AehTfGqkv0)]}}} || [[서울특별시|서울]]과 [[원산시|원산]]을 잇는 [[추가령 구조곡]]은 [[한반도]] 중부의 신생대 화산 활동 지역으로, 열곡을 따라 [[휴화산]]이 다수 존재하는데 [[오리산]]도 그 중 하나이다. 오리산은 [[신생대]] [[제4기]] [[플라이스토세]](약 200만~1만년 전)에 최종 분화하였는데, 철원평강용암대지도 이때 만들어졌다. 분출된 용암은 [[한탄강]] 유역과 [[임진강]] 유역 등 추가령 구조곡을 메워서 평야를 형성하였으며, 북쪽으로는 [[세포등판]]과 추가령까지, 남쪽으로는 [[포천군]]일대까지 평탄한 지형이 펼쳐져 있다.[* 비슷한 시기 이 일대처럼 용암이 분출하여 용암대지가 만들어진 지역이 있는데, 바로 황해도 북동부의 [[신계군]], [[곡산군]]을 아우르는 '''신계곡산용암대지'''. [[추가령 구조곡]]과 평행하는''' 예성강 단층대'''를 따라가며, 이곳의 경우 형성 과정에서 원래 [[예성강]]의 상류였던 곡산천이 [[남강#s-3|남강]]을 통해 [[대동강]]으로 흐르도록 유로가 변경되는데 기여한 바 있다.] [[대한민국]]에서 [[호남평야]]와 함께 [[지평선]]을 볼 수 있는 몇 안되는 곳이기도 하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7/0000073928?sid=102|#]] 평야의 한가운데에 [[군사분계선]]과 [[비무장지대]]가 통과하면서 남북으로 나뉘어져 있다. 평야 지대의 면적으로 보면 북한 점유 지역이 약 70% 대한민국 점유 지역이 30% 가량이다. 위성 사진을 자세히 보면, 같은 평야로 생각하기 힘들 만큼 이질적인 형태를 보이고 있다. 가운데 동·서로 가로지르는 녹색의 비무장지대, 남쪽 대한민국의 논, 북쪽 북한 지역의 경작지가 확연히 구분된다. 현무암이 풍화된 토양 덕분에 논농사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되어 예로부터 쌀 농사가 활발하며, 특히 철원쌀이 유명하다. [[6.25 전쟁]] 때는 이곳이 '철의 삼각지대'의 중심으로,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었다. 비옥한 철원평야를 차지하기 위해 이 일대에서 [[백마고지 전투]], [[화살머리고지 전투]] 등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지금도 양측의 군사가 대치하고 있는 최전방 지역으로 군부대가 많다. 철원평강용암대지 내부에 중심을 둔 지역으로는 [[철원군]], [[평강군]], [[세포군]]이 있다. [[평강읍]]내 시가지는 휴전선 이북 지역의 평야 중간 부분에 위치하며, [[철원읍]]과 [[동송읍]]시가지는 평야의 남쪽 [[금학산]] 밑에 하나의 시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세포군]] 중심지는 평야의 북쪽으로 이어진 열곡 내부에 위치하며, [[세포등판]]으로 이어진다. 이곳은 [[경원선]]이 지나는 서울~원산 축의 정확히 중간 지점에 있어 [[철원역]]과 [[평강역(강원선)|평강역]]을 중심으로 번성하였으나, [[6.25 전쟁]] 이후에는 변방 지역으로 전락해버렸다. 현재 끊어진 경원선을 복원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으며, 향후 [[남북관계]]가 호전되고 [[남북연합]]이나 [[남북통일|통일]] 단계까지 발전한다면, 이곳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평야 내 비무장지대에는 [[태봉]], [[고려시대]] 도성인 [[태봉국 철원성|철원성]]이 있다. == 관련 문서 == * [[화산]] * [[추가령 구조곡]] * [[한탄강]] * [[오리산]] [[분류:한반도의 평야]][[분류:강원특별자치도의 지리]][[분류:강원도(북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