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learfix] == 개요 == [[捷]][[解]][[新]][[語]]. [[조선]] 중기 [[1676년]]에 강우성(康遇聖)이 저술한 [[일본어]] 교습서. 총 10권 10책.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저자인 강우성은 [[1581년]]생으로 [[임진왜란]] 당시 [[2차 진주성 전투]]에서 [[포로]]로 잡혀 [[일본]]에 끌려간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동군 소속으로 [[세키가하라 전투]]에 종군까지 하고 돌아온 인물로, 이후 조일관계 정상화와 포로 쇄환에 힘썼다.[[http://dylanzhai.egloos.com/m/3532894|출처: 세키가하라의 조선인]] == 내용 == > けくて 御さるほとに ゆるさしられ ,,(원본 가나 표기 일본어),, > 계군뎨 ᅁᅩᅀᅡ루혼도니 유루사시라례 ,,(원본 한글 독음 일본어),, > 下口ㅣ오니 마ᄅᆞ쇼셔 ,,(원본 한국어),, > 下口でござるほどに許さしられ ,,(현대 일본어 표기),, > 술을 잘 못하는 사람[下口]이니 (술을 주지) 마십시오. ,,(현대 한국어 번역),, >---- > つしまにても こなたわ しやうくと ききおよひまるしたほとに しんしやく めさるな ,,(원본 가나 표기 일본어),, > [[쓰시마 섬|주시마]]니뎨모 고나다와 쇼웅구또 기기오욤비마루시따혼도니 신샤구 몌사루나 ,,(원본 한글 독음 일본어),, > 對馬島셔도 자ᄂᆡᄂᆞᆫ 上口ㅣ신 줄 聞及ᄒᆞ엿ᄉᆞ오니 斟酌 마ᄋᆞᆸ소 ,,(원본 한국어),, > 対馬でもこなたは上口と聞き及びまるしたほどに斟酌めさるな ,,(현대 일본어 표기),, > 대마도에서도 그대는 술을 잘 먹는 사람[上口]이라 들었으니 사양하지 마시오. ,,(현대 한국어 번역),, >---- > '''첩해신어 원간본(1676년) <1:18b> 2. 送使船問情 중''' --술 못 마신다고 거절하는데도 사양치 말라고 [[술 강요|계속 권하는 건]] 동아시아 공통-- [[https://www.hanmalgeul.org/307|원본 및 해석본을 볼 수 있는 사이트]] [[중국어]]나 [[몽골어]], [[만주어]] 교습서는 [[고려]] 말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노걸대]]가 있었으나 왜어노걸대는 전하지 못했다. 때문에 [[외국어]]의 번역과 통역 업무를 담당하던 관청인 사역원(司譯院)의 [[역관]](譯官) 강우성이 일본어 학습을 위하여 책을 편찬하기 시작하는데, [[1618년]]([[광해군]] 10년)에 처음 원고가 탈고되었고 [[1676년]]([[숙종(조선)|숙종]] 2년)에 교서관(校書館)에서 활자로 간행되었다. 권1에서 권4까지는 [[동래]]와 부산포의 조선 [[관리]]와 [[부산]]의 [[왜관]](倭館)에 거주하는 [[일본인]]과의 대화를 중심으로, 일본인의 내왕과 접대, 무역할 때 사용되는 회화들을 문답체로 엮었다. 권5에서 권8까지는 저자인 강우성이 [[1617년]], [[1624년]] ∼ [[1625년]], [[1636년]] ∼ [[1637년]] 세 차례에 걸쳐 [[조선통신사]]로 일본에 다녀왔는데 그 경험을 토대로 [[대마도]], [[오사카]]를 거쳐 [[에도]]를 왕복하는 동안에 일어난 일들을 학습하기 쉽게 대화체로 엮어 놓았다. 권9에서는 당시 일본의 8주(州)의 이름과 그에 속한 66군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으며, 권10은 당시 대왜관계에 쓰이던 각종 공문서나 [[候|소로문]]체(候文體)의 서간문 서식을 담았다. == 표기 == [[히라가나]]를 한 문장씩 쓰고 [[한글]] 음을 나란히 쓴 다음, 연이어 한글로 뜻을 풀이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당시 일본에서의 관습대로 일본어 문장에는 [[탁음]] 부호를 표기하지 않았다.[* 탁음과 촉음 표기가 의무화된 것은 20세기에 들어서이다.[[https://ja.wikipedia.org/wiki/%E6%BF%81%E7%82%B9|#]]] 한편 한글 발음 표기는 탁음을 반영하고 있는데, [ɡ](が행의 자음 발음)는 '[[ᅁ]]', [z](ざ행의 자음 발음)는 '[[ㅿ]]', [d](だ행의 자음 발음)는 '[[ㅦ]]', [b](ば행의 자음 발음)는 '[[ㅮ]]'로 표기했다. ('ㅿ'를 제외하면) 표기코자 하는 탁음과 같은 조음 위치의 '''[[유성음|유성]]''' [[비음]]자([[ㅇ]], [[ㄴ]], [[ㅁ]])를 먼저 써 준 후, 같은 조음 위치의 [[무성음|무성]] '''[[파열음]]'''자([[ㄱ]], [[ㄷ]], [[ㅂ]])를 이어 써서 탁음, 즉 '''유성 파열음'''임을 표기한 것.[* 참고로 현대 [[그리스어]]에서 [b\], [d\], [ɡ\] 발음을 표기할 때도 비슷한 방식을 사용한다. [b\]와 [d\]는 같은 조음 위치의 유성 비음자 + 무성 파열음자로 표기하고\(μπ\(mp), ντ\(nt)), [ɡ\]는 같은 조음 위치의 유성 [[마찰음]]자 + 무성 파열음자로 표기한다\(γκ\(ɣk)).(사실 카파 앞의 감마는 본디 연구개 비음을 가리키는 글자였으므로 위의 표기 방식은 모두 그 성격이 같다.)] 그리고 탁음이 어중에 들어가는 경우엔 'ᅁ, ㅦ, ㅮ' 합용자 내의 앞 비음자를 앞 음절의 [[종성]]으로 당겨 씀으로써 합용자를 두 음절 표기에 걸쳐 나누어 표기한 것도 특징이다. 예를 들어 위 예문 첫머리의 'けくて'는 '계군뎨'로 옮겨져 있는바, 결국 '계구ᄕᅨ'가 되니 ([[え]]단의 모음자를 '[[ㅖ]]'로 표기했음을 감안하면) 'げくで'를 의도한 표기임을 알 수 있다.[* 어두의 한글 평음자는 일어의 청음일 수도, 탁음일 수도 있어 현대어 후대형 없이는 확정하기 어렵다.] 뜻은 현대어로는 げこ(下戸)+で이며 해석된 대로 '술 못 마시는 사람+이니'이다.[* 원간본에는 げく(下口)로 되어 있으나 개수본부터는 げこ(下戸)로 표현이 바뀐다. 개수본에서 여러 일본어 표현을 당대 쓰임에 맞게 고쳤다고 하는데 실제로 현대에는 げこ(下戸)가 주로 쓰인다.] 참고로 이렇게 비음자를 먼저 써서 탁음을 표기한 것은 일본어의 역사와도 유관하다. '[[상대 특수 가나 표기법#s-6|탁음의 선비음화설]]' 참고. == 목차 == || '''권차''' || '''장차''' || '''원문 제목''' || '''번역''' || ||<|2> 권1 || 1 ||與代官初相接 ||대관과 처음 서로 만나다 || || 2 ||送使船問情 ||송사선(送使船)에 대해 문정하다 || ||<|3> 권2 || 3 ||茶禮講定 茶禮問答 ||논의하여 [[다례]]를 정하고, 다례에 대하여 묻고 답하다 || || 4 ||茶禮問答 ||찬품 [[그릇]] 논란 || || 5 ||封進物看品 ||봉진물(封進物)을 간품하다 || ||<|3> 권3 || 6 ||下船宴問答 ||하선하여 잔치를 벌이면서 대화하다 || || 7 ||始行中盃禮 ||처음 가는 도중에 술잔치 의식을 행하다 || || 8 ||送使催答書 ||송사에게 답신을 재촉하다 || || 권4 || 9 ||公木入給 ||공목을 주고 받다 || ||<|3> 권5 || 10 ||[[조선통신사|信使]]探候船 ||[[조선통신사]]가 일본 배가 [[무역]] 상대선인가 탐문하다 || || 11 ||信使到馬島 ||신사가 [[대마도]]에 도착하다 || || 12 ||請改小童衣服 ||어린 아이의 의복을 다시 청하다 || ||<|2> 권6 || 13 ||信使與島主語 ||통신사가 대마도주(對馬島主)와 대화를 나누다 || || 14 ||對馬島主向[[에도|江戸]] ||대마도를 떠나 [[에도|강호]](江戸)로 향하다 || ||<|3> 권7 || 15 ||[[후쿠오카|築前主]]禮候信使 ||[[후쿠오카|축전주]](築前主)가 신사에게 예를 갖추다 || || 16 ||信使接江戶使 ||통신사가 강호의 사신을 만나다 || || 17 ||入江戶見關白 ||강호에 들어가 [[관백]](關白)을 [[알현]]하다 || ||<|3> 권8 || 18 ||信使不受金 ||신사가 [[금화]]를 받지 아니하다 || || 19 ||信使還到[[오사카 성|大坂城]] ||신사가 [[오사카 성|대판 성]]에 돌아오다 || || 20 ||島主請信使餞宴 ||대마도주가 잔치를 베풀며 [[조선]] 음악을 청하다 || ||<|3> 권9 || 21 ||與代官相約振舞 ||대관과 더불어 잔치를 약속하다 || || 22 ||振舞時請若衆躍 ||잔치할 때에 젊은 사람들과 놀기를 청하다 || || 23 ||[[일본어|和語]]謙讚 ||[[일본어|일본말]] 사용할 때 겸손함을 칭찬하다 || 장차별 제목은 원간본까지는 없다가 개수본에서 추가되었다. == 의의 == [[http://academic.naver.com/search.nhn?field=0&dir_id=1&query=%EC%B2%A9%ED%95%B4%EC%8B%A0%EC%96%B4&gk_qdt=&qvt=1&q_title=&q_author=&q_journal=&q_source=&q_keyword=&q_volume_issue=&q_applicationnum=|237건의 학술논문]]이 있을 정도로 조선 중기 일본어와 [[한국어]]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자질문자]]인 한글의 특성상 과거 일본어의 자음이 어떻게 발음되었는지를 알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된다. 예를 들어 일본어 [[は]](하)행 자음의 경우, 처음에는 발음이 /p/였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순음퇴화|발음이 무너져]] /p > ɸ > h/ 순으로 변화되었다. 일본 문헌상으로는 글자는 그대로이고 발음만 변한 것이기에 이러한 변화를 알기 어려우나 첩해신어 원간본에는 '화(は)' 등으로 적혀 있어 학자들이 당시 발음을 유추할 수 있게 해 준다. [[https://instiz.net/pt/6394648|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rS3DFmjvTvU|관련 영상]][* 참고로 [[15세기]]인 [[1492년]]경에 [[조선]]에서 만들어진 [[일본어]] 교재 [[이로하 노래|이로파(伊路波)]]에서는 は(/ɸa/)를 'ᄫᅡ'로 적었다.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713/read/27701891?|링크]]] 이후 만들어진 [[일본어]] 교습서인 [[인어대방]]과 함께 일본어 교육의 주교재로 자주 사용되었으며, 이 교재들은 현재도 [[일본어/고전문법|일본어 고전문법]]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https://www.fmkorea.com/3723686833|첩해신어로 보는 한일 양국 언어 비교 1]] [[https://www.fmkorea.com/3740323371|2]] [[https://www.fmkorea.com/3761533296|3]] [[https://www.fmkorea.com/3773286890|4]] [[https://www.fmkorea.com/3815440040|5]] [[분류:조선의 도서]][[분류:훈민정음]][[분류:100대 한글 문화 유산]][[분류:조선 통신사]][[분류:규장각 소장품]][[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분류:일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