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중구(서울특별시)의 철도역]][[분류:2개 노선 환승역]][[분류:신당동(서울)]][[분류:수도권 전철 5호선]][[분류:서울 지하철 5호선 구간]][[분류:서울 지하철 6호선]][[분류:개명한 역]][[분류:1996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 ||<-3> {{{+2 '''청구역'''}}} || ||<-3> [[수도권 전철 5호선|[[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30]]]] [[서울 지하철 6호선|[[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30]]]] || || [[방화역|{{{#585858 {{{#!html
방화 방면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동대문역사[br]문화공원]][br]← 0.9 ㎞ || [[수도권 전철 5호선|{{{#ffffff {{{#!html
5호선
(537)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0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ffffff,#1f2023; letter-spacing: -1.35px" {{{#!wiki style="margin: -6px -10px" [[하남검단산역|{{{-2 {{{#585858,#a7a7a7 하남검단산}}}}}}]]{{{-2 {{{#585858,#a7a7a7 ·}}}}}}[[마천역|{{{-2 {{{#585858,#a7a7a7 마천}}}}}}]] {{{-2 {{{#585858,#a7a7a7 방면}}}}}}}}}}}}[br][[신금호역|신금호]][br]0.9 ㎞ → || || [[응암역|{{{#585858 {{{#!html
응암순환
}}}}}}]][[약수역|약 수]][br]← 0.8 ㎞ || [[서울 지하철 6호선|{{{#ffffff {{{#!html
6호선
(634)
}}}}}}]] || [[신내역|{{{#585858 {{{#!html
신내 방면
}}}}}}]][[신당역|신 당]][br]0.7 ㎞ → || ||<-3> [include(틀:지도, 장소=청구역, 너비=100%, 높이=100%)] || ||<-3> '''역명 표기''' || || [[서울 도시철도 5호선|{{{#fff 5호선}}}]] ||<-2><|2> '''청구'''[br]{{{-2 Cheonggu[br]靑丘 / チョング}}} || || [[서울 도시철도 6호선|{{{#ffffff 6호선}}}]] || ||<-3> '''주소''' || ||<-3>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청구로 지하77 ([[신당동(서울)|청구동]] 294) || ||<-3> '''소속 영업사업소''' || || [[수도권 전철 5호선|{{{#ffffff 5호선}}}]] ||<|2><-2> [[광화문영업사업소]] 청구역[* 5호선, 6호선 통합 환승역이다.] || || [[서울 지하철 6호선|{{{#ffffff 6호선}}}]] || ||<-3> '''운영 기관''' || || [[수도권 전철 5호선|{{{#ffffff 5호선}}}]] ||<|2><-2> [[서울교통공사]] || || [[서울 지하철 6호선|{{{#ffffff 6호선}}}]] || ||<-3> '''개업일''' || || [[수도권 전철 5호선|{{{#ffffff 5호선}}}]] ||<-2> [[1996년]] [[12월 30일]] || || [[서울 지하철 6호선|{{{#ffffff 6호선}}}]] ||<-2> [[2000년]] [[12월 15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2층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br]지하 4층 ([[수도권 전철 5호선|5호선]])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섬식 승강장]] / 발빠짐 주의 ([[수도권 전철 5호선|5호선]])[br]복선 [[상대식 승강장]]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 6호선은 상하선으로 게이트가 구분되어 있어 대합실을 통한 횡단은 불가능한 구조이지만 환승통로를 통한 횡단은 가능하다.]) || ## 상단 역명란은 정보만을 전달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절대 개드립을 적지 마세요. (https://namu.wiki/thread/ThePlacidAndSincereDirection) [목차] [clearfix] == 개요 == [[수도권 전철 5호선]] 537번, [[서울 지하철 6호선]] 634번.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청구로 지하77 ([[신당동(서울)|청구동]] 294) 소재. == 역 정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청구역 안내도.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45deg, #996cac 50%, #cd7c2f 50%)" '''{{{#ffffff 역 안내도[* 안내도에 나온 것과는 다르게 지하 1~2층에는 에스컬레이터가 없다.]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청구역 대합실.jpg|width=100%]]}}} || || 대합실 || 5호선 승강장은 지하 4층, 6호선 승강장은 지하 2층에 있다. 2기 지하철 환승을 염두에 두고 설계해서 그런지 [[개념환승]] 축에 끼는 역이다. 출근시간에 6호선에 사람이 굉장히 많이 몰리는데, [[신당역]]과 이 역을 지나면 금세 출근시간에도 한산한 열차가 되는 걸 볼 수 있다.[* 실제로 5호선 열차는 [[왕십리역]]을 지난 이후로 한산해졌다가 이 역에서 다시 혼잡해진다. 그리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바로 다음 역]]을 지나면 다시 한 번 가축수송 시작. 출근시간에 가 보면 알겠지만, 환승 수요가 은근히 많다.] 그 외에 이따금 5호선 열차 내의 역 정보판이 오류를 일으켜서 청구역이 사라지는 상황도 있다. 그래서 [[신금호역]]에서 출발했는데 다음 역이 신금호역이고 언제부턴가 6호선과 환승이 가능해진 신금호역에 도착한다. --뫼비우스의 5호선?-- 5, 6호선이 [[공덕역]]에서 만난 후 다시 한 번 이 역에서 만난다. 우연하게도 이 역도 공덕역과 마찬가지로 5호선이 섬식 승강장 6호선이 상대식 승강장 형태의 구조다. 게다가 공덕역과의 정거장 수는 5호선, 6호선 둘 다 8정거장 차이나는 것도 똑같다. 소요시간도 양쪽 모두 15분이다.[* 다만 길이는 미세하게 6호선이 더 짧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6호선의 경우 [[공덕역]]과 똑같이 게이트가 분리되어 6호선 게이트를 통한 횡단이 안 된다. 통합설계를 하면서 [[맞이방]]을 6호선에만 두었다. 엘리베이터 역시 6호선 개통과 동시에 설치되었다. 따라서 맞이방에서 무조건 6호선 승강장을 통해서 내려가서 환승통로를 거쳐야 5호선 승강장으로 갈 수 있다. [[군자역]]과는 반대로 [[세븐일레븐/한국|세븐일레븐]]이 [[GS25]]의 공세를 지켜내고 그 자리를 지키는 역이다. 공덕역과는 달리 이 역에는 GS25가 없다. 6호선은 공덕역과 더불어 개찰구가 분리돼 있다. 그래서 반대편 승강장으로 가려면 환승통로를 이용하면 된다. 6호선 승강장의 경우 천장이 매우 낮다. 보통 2기 지하철 역의 경우 1기보다 천장이 높은 편인데, 이 역은 평균적인 1기 역보다도 훨씬 더 낮은 편이다. 따라서 천장에 매달려 있는 열차 도착안내 모니터 역시 다른 역보다 한층 더 작은 사이즈의 모니터를 사용한다. 6호선 도심구간 4연속 환승역들[* 약수, 청구, 신당, 동묘앞] 중 유일하게 6호선 개통 첫날부터 환승역으로서의 제 구실을 한 역이다.[* [[약수역]]은 시공업체의 도산으로 6호선 역이 3개월쯤 늦게 개통되었고, [[신당역]]은 2호선과의 환승통로 공사가 끝나기 전이었고, [[동묘앞역]]은 6호선 개통 당시 1호선 역이 있지도 않았다.] === 역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b7FWs_U0AAxQRP.jpg|width=100%]]}}}|| || '광희문역'이라고 표기된 예전 지하철 노선도[* '금호1가역'이라고 표기된 역은 [[신금호역]]이다. 그리고 자세히 보면 신당역에서 [[신내역]] 방면으로 [[동묘앞역|1호선과 교차하지 않고]] 바로 빠지는데, 6호선을 처음 계획했을 당시는 1호선에 동묘앞역을 신설할 계획이 없었다.] || 1996년 12월 5호선 개통 당시 역명은 '''광희문역'''(光熙門驛)으로, 이 명칭은 1991년 서울시지하철역명선정위원회를 통해 결정된 역명이다. 1991년 당시 주민들은 이 일대를 이르는 지명이자 신당4동이 1955~1970년까지 쓰던 [[행정동]] 이름인 [[청구]](靑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405508&cid=740&categoryId=2295|청구동, 서울지명사전(네이버 지식백과)]]]를 제안했으나 서울시 지명위원회는 이 제안을 기각하고 광희문으로 확정했다.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1996092500281|관련 한국경제 기사]] 그러나 주민들은 이후에도 수차례에 걸쳐 청구역으로 역명을 개정할 안건을 청원했다. 이들은 [[광희문]](남소문)이 정작 광희문역이 아닌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동대문운동장역]]과 가깝다는 점, [[광화문역]]과 혼동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 광희문이 과거 [[한양도성]] 내부의 시체를 성외로 반출하던 장소로써 인식이 좋지 않은 점 등을 구체적인 사유로 거론했다. 당시 [[중구(서울)|서울 중구]]에서도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역명 개정을 건의했고, 결국 1997년 3월 26일에 서울시는 지명위원회를 재개최하여 역명을 현재의 청구역으로 개칭하였다. 5호선 착공 직후에는 역 앞에 바로 흥인국민학교가 있다는 이유로, '''흥인[[국민학교|국교]]앞'''역이라고 명명된 적이 있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7NLjL0I9Krk|당시 대한뉴스 보도 자료]] 그밖에 전 역에 [[https://blog.naver.com/lakebigyw/220837582048|광희문역이 별도로 표기된 노선도]]가 있는데, 이는 동대문운동장역(현,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의 가칭이다. === 출입구의 변천 === [[파일:attachment/청구01.png|width=240]] → [[파일:attachment/청구02.png|width=240]] → [[파일:attachment/청구03.png|width=240]] 5호선이 개통했을 때에는 2개의 출구가 만들어져 있었는데 이 두 출구는 계단만 있었고 폭도 좁았다(편의상 구 1번, 구 2번이라 한다). 이후 6호선이 개통하면서 널찍하고 에스컬레이터 등이 완비된 출구 2개소(이쪽은 신 1번과 신 2번이라고 하자)를 새로이 만들었다. 그러다보니 일시적으로 1번 출구가 둘, 2번 출구가 둘이 있는 2001년 이전스러운 상황이 연출되었지만 여하튼 넘어가자. 그러면서 구 1번, 구 2번 출구는 폐쇄, 철거하려 했으나 이 중 구 2번 출구는 신 1번쪽에서 보면 다산로 건너편, 신 2번 쪽에서 보면 청구로 건너편이 되어 기존의 구 2번 출구 이용자는 횡단보도를 건너와야 하는 불편이 생기는 점을 감안하였는지 구 2번은 존치하는 것으로 바뀌어 구 2번이 현재의 2번 출구가 되고 신 2번 출구는 현재의 3번 출구가 되었다. 신 1번 출구가 바로 옆에 생긴 구 1번 출구는 폐쇄되어 철거되었다. 여담으로 6호선 개통 전에는 화장실이 2번 출구 중간의 계단참으로 이어져 있었는데 [[강남역]], [[신답역]]과 함께 보기 드문 남녀 공용 화장실이었다. == 역 주변 정보 == 주택지구가 대부분이라 승객이 많은 편은 아니라서 출구도 3개 뿐이다. 이 중 일부 지구는 [[재개발]] 사업이 진행 중이다. 북쪽 [[신당역]] 방향으로 [[신당동 떡볶이]]타운이 있다. 사실 신당동 떡볶이 거리는 이 역과 신당역의 정확한 중간 지점에 위치해서 둘 중 어느 역에 내리든 도보 거리는 별 차이가 없다. 1번 출구로 나가야 가장 빨리 갈 수 있으니 떡볶이를 먹으러 가는 사람은 참고하자. 고양, 파주에서 [[경의중앙선]]을 이용하여 신당동 떡볶이 타운으로 가는 경우, [[효창공원앞역]]에서 6호선으로 환승하여 이 역에서 하차하는 것이 가장 편리하다.[* [[홍대입구역]]에서 2호선으로 환승하는 루트, 공덕역에서 5,6호선으로 갈아탄 다음 청구역으로 가는 루트는 환승 과정에서 환승인파가 많은데다 홍대입구역은 두말 할 것도 없는 막장환승이다.] 역이 위치한 신당4동은 2013년에 다시 청구동으로 행정동 명칭을 변경하여 43년 만에 환원하였다. [[김종필]] 전 [[자유민주연합]] 총재가 청구동에 거주했기 때문에[* 참고로 김종필이 살던 집은 청구역보다는 [[약수역]]에서 더 가깝다. 해당 사저는 김종필이 사망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매각되었다고 한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5&aid=0002899083|#]]], [[김영삼]]의 '[[상도동계]]'나 [[김대중]]의 '[[동교동계]]'처럼 김종필을 따르던 정치 세력을 '[[청구동계]]'라고 불렀다. === 출구 정보 === ||<-2> {{{#000,#fff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20]]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20]] 청구역 출구 정보}}} || ||{{{#ffffff 1}}}||[[광희문]][br]신당동, 다산동[br]신당동주민센터[br]장충초등학교[br]장충동주민센터[br]장충지구대[br]신당동떡볶이촌[br]광희지구대|| ||{{{#ffffff 2}}}||동화동주민센터[br]중구여성플라자[br]신당푸르지오아파트[br]금호여자중학교[br]청구이편한세상아파트[br]흥인초등학교[br]한국청소년상담원|| ||{{{#ffffff 3}}}||청구동[br]금호동 방면[br]동화동삼성래미안아파트[br]대경중학교·대경생활과학고등학교[br]청구초등학교[br]청구동주민센터||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수도권 전철 5호선|[[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25]]]] || [[서울 지하철 6호선|[[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25]]]] || {{{#ffffff '''총합'''}}} || {{{#ffffff '''비고'''}}} || ||<^|1><-5>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0년 || {{{#!wiki style="margin: -0px -10px" {{{#996cac 10,272명}}}}}} || 4,667명 || 14,939명 || [* 6호선의자료는 개통일인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01년 || 7,537명 || 5,658명 || 13,195명 || {{{#fff,#1f2023 비고}}} || || 2002년 || 7,385명 || 6,000명 || 13,385명 || || || 2003년 || 7,701명 || 6,326명 || 14,027명 || || || 2004년 || 8,133명 || 6,677명 || 14,810명 || || || 2005년 || 8,510명 || 6,994명 || 15,504명 || || || 2006년 || 8,489명 || 6,989명 || 15,478명 || || || 2007년 || 8,318명 || 6,912명 || 15,230명 || || || 2008년 || 8,282명 || 6,895명 || 15,177명 || || || 2009년 || 7,786명 || 6,865명 || 14,651명 || ||}}}}}}}}} || || 2010년 || 7,865명 || 7,154명 || 15,019명 || || || 2011년 || 7,770명 || 7,235명 || 15,005명 || || || 2012년 || 8,010명 || 7,620명 || 15,630명 || || || 2013년 || 8,255명 || 7,717명 || {{{#red 15,972명}}} || || || 2014년 || 9,780명 || 6,001명 || 15,781명 || || || 2015년 || 8,355명 || 7,417명 || 15,772명 || || || 2016년 || 7,844명 || {{{#cd7c2f 8,107명}}} || 15,951명 || || || 2017년 || 7,905명 || 7,905명 || 15,810명 || || || 2018년 || 7,891명 || 7,855명 || 15,746명 || || || 2019년 || 8,029명 || 7,889명 || 15,918명 || || || 2020년 || 6,254명 || 6,334명 || 12,588명 || || || 2021년 || 6,297명 || 6,401명 || 12,698명 || || || 2022년 || 6,698명 || 6,629명 || 13,327명 || || || 2023년 || 7,114명 || 7,181명 || 14,295명 || || ||<-5> {{{#ffffff '''출처'''}}} || ||<-5> [[수도권 전철 5호선|[[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서울교통공사 자료실]] || }}} 하루 평균 이용객은 '''14,295'''명(2023년 기준)으로 서울 원도심([[종로구]], [[중구(서울)|중구]])의 역들 중 [[버티고개역]] 다음으로 이용객이 적다. 게다가 이곳은 [[환승역]]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적은 승객 수가 더 두드러져 보인다. 청구역은 별도로 5호선 승객과 6호선 승객이 각각 측정되지 않고, 5호선 게이트는 6호선 신내 방면과 2번, 3번 출구를 이용하는 5호선 승객, 그리고 6호선 게이트는 6호선 응암방면, 1번 출구를 이용하는 5호선 승객이 이용하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두 노선의 승하차 인원은 거의 비슷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2014년도의 경우 1번 출구가 공사가 이뤄져 1번 출구 이용객이 2번 혹은 3번 출구를 이용하게 되면서 자연스레 5호선 이용객이 모두 5호선 게이트로 승하차 한것으로 집계되어 통계상의 들쑥날쑥한 편차도 생기게 되는 것이다. 여담으로 2017년에는 5호선, 6호선 승객의 수가 똑같았다. == 승강장 == 5호선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 6호선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다. 하지만 5호선 청구역 승강장은 곡선으로 휘어 있으며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가 넓으니 내리고 탈 때 발빠짐에 주의하자. 두 노선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 [[수도권 전철 5호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cheonggu5.png|width=100%]]}}}|| || '''{{{#fff 5호선 승강장[* 서울남산체, 스크린도어 교체 전] }}}''' || ||<-4>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동대문역사문화공원]] ↑ || || ㅣ || {{{#ffffff 하}}} || {{{#ffffff 상}}} || ㅣ || ||<-4> ↓ [[신금호역|신금호]] || || {{{#ffffff 상}}} ||<|2>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동대문역사문화공원]]·[[광화문역|광화문]]·[[김포공항역|김포공항]]·[[방화역|방화]] 방면|| || {{{#ffffff 하}}} ||[[왕십리역|왕십리]]·[[군자역|군자]]·[[하남검단산역|하남검단산]]·[[마천역|마천]] 방면|| || '''노선 및 방면''' || '''빠른 환승'''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5호선 (방화 방면)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6호선 (신내 방면) || 5-1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5호선 (방화 방면)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6호선 (응암순환 방면) || 2-4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5호선 (하남검단산, 마천 방면)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6호선 (신내 방면) || 4-3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5호선 (하남검단산, 마천 방면)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6호선 (응암순환 방면) || 6-4 || === [[서울 지하철 6호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cheonggu6.jpg|width=100%]]}}}|| || '''{{{#fff 6호선 승강장 }}}''' || ||<-4> [[약수역|약수]]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신당역|신당]] || || {{{#ffffff 상}}} ||<|2>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삼각지역|삼각지]]·[[효창공원앞역|효창공원앞]]·[[합정역|합정]]·[[월드컵경기장역(서울)|월드컵경기장]]·[[응암역|응암]] 방면|| || {{{#ffffff 하}}} ||[[동묘앞역|동묘앞]]·[[고려대역|고려대]]·[[석계역|석계]]·[[태릉입구역|태릉입구]]·[[신내역|신내]] 방면|| || '''노선 및 방면''' || '''빠른 환승'''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6호선 (신내 방면)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5호선 || 6-2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6호선 (응암순환 방면)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5호선 || 6-2 || == 사건·사고 == * 2004년 8월 4일 6호선 청구역에서 한 여대생이 서류를 주우러 선로에 내려갔다 열차에 치여 숨지는 사고가 있었다. [[http://www.yp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1921|링크]] * 2009년 2월 10일 6호선 청구역에서 70대 남성이 투신해 숨지는 사고가 있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2494960?sid=102|링크]] == 연계 교통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c3c6c8 '''청구초등학교.청구역(02189)'''}}}}}} || || [[간선버스(서울)|{{{#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42|{{{#ffffff 142(도봉산)}}}]]}}}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47|{{{#ffffff 147(월계동)}}}]]}}} || ||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211|{{{#ffffff 6211(상왕십리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212|{{{#ffffff 7212(옥수동)}}}]]}}} || || [[심야버스(서울)|{{{#ffc600 심야}}}]]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N72|{{{#ffc600 N72(중랑차고지)}}}]]}}}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c3c6c8 '''장충초등학교.청구역(02190)'''}}}}}} || || [[간선버스(서울)|{{{#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42|{{{#ffffff 142(방배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47|{{{#ffffff 147(한티역)}}}]]}}} || ||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211|{{{#ffffff 6211(신월7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212|{{{#ffffff 7212(은평차고지)}}}]]}}} || || [[심야버스(서울)|{{{#ffc600 심야}}}]]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N72|{{{#ffc600 N72(은평차고지)}}}]]}}}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c3c6c8 '''청구역2번출구(02211)'''}}}}}} || ||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233|{{{#ffffff 2233(면목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212|{{{#ffffff 7212(은평차고지)}}}]]}}}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c3c6c8 '''청구역3번출구(02212)'''}}}}}} || ||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233|{{{#ffffff 2233(옥수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212|{{{#ffffff 7212(옥수동)}}}]]}}} ||}}} == 둘러보기 == [include(틀:수도권 전철 5호선의 역 목록)] [include(틀: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목록)] [include(틀:중구(서울특별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