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청소년올림픽 }}}[br]Youth Olympic Games''' || ||<-2> [[파일:청소년 올림픽 로고.svg|width=100%]] || || '''국문 명칭''' ||'''청소년올림픽[* 붙여쓰기를 원칙으로 한다.]''' || || '''영문 명칭''' ||Youth Olympic Games[br](YOG) || || '''시작 연도''' ||[[2010 싱가포르 하계청소년올림픽|2010년]] (하계대회[* [[싱가포르]] [[싱가포르]].])[br][[2012 인스브루크 동계청소년올림픽|2012년]] (동계대회[*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 || || '''주최 위원회''' ||[[국제올림픽위원회|국제올림픽위원회(IOC)]] || || '''최근 대회''' ||[[2020 로잔 동계청소년올림픽]] || || '''차기 대회'''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 || || '''링크''' ||[[https://www.olympic.org/youth-olympic-games/|[[파일:청소년 올림픽 로고.svg|height=20]]]] | [[https://instagram.com/olympics?utm_medium=copy_link|[[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https://www.facebook.com/youtholympicgame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youtholympics, 크기=24)] | [[[[https://www.youtube.com/user/olympi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국제올림픽위원회]]의 주관 하에 청소년들이 [[올림픽]] 종목에 참가하는 전 [[세계구]]급 선수권 대회다. [[2001년]] [[자크 로게]]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이 IOC 위원장으로 취임했을 때부터 구상했으며, [[2007년]] [[7월 6일]] [[2014 소치 동계올림픽]] 개최가 결정된 [[과테말라]]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총회에서 공식적으로 추인되었다. == 목적 == 청소년들을 체육 활동의 길로 이끌어 건강한 신체와 도전 정신을 키우도록 하겠다는 것을 취지로 삼고 있다. 전 세계 [[청소년]]들의 올림픽을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기에 각 [[국가]]의 자격이 아니라 '''전 [[지구]]를 하나'''라는 정신으로 [[청소년]] 선수들을 우량한 성인 선수로 육성하는 목적 또한 담고 있다.[* 실제로 싱가포르 대회 2년 후인 2012년 런던 올림픽 때 부터 청소년올림픽에 출전했던 선수들이 출전하기 시작했다. [[김장미]]가 대표적.] 인지도는 없지만[* 청소년올림픽 경기를 생중계하는 방송국은 개최국을 제외하면 거의 없고, IOC,OBS에서 유튜브 실시간 스트리밍을 해준다.] IOC가 청소년올림픽을 만든 이유에는 기존에 올림픽을 개최하지 않았던 국가들에서 규모가 작은 간이 올림픽을 대신 개최함으로써 차후에 그 국가가 더 큰 규모의 올림픽을 개최할 수 있을지를 가늠해보거나 아예 올림픽을 개최할 수 없는 국가들에게 청소년올림픽이라는 간이 올림픽을 제공해주면서 그 나라에게는 세계대회를 개최한다는 자부심을 IOC에게는 올림픽 운동의 전지구화를 통한 IOC의 영향력 증가가 있다. 이는 올림픽을 개최하기 애매한 국력의 [[아르헨티나]]나 [[싱가포르]]가 하계청소년올림픽을 개최하거나 아직 개발도상국이라 올림픽을 개최하기에는 부족한 국력의 [[태국]]과 [[2032 브리즈번 올림픽|2032 올림픽]]을 유치를 선언한 인도가 2026 청소년올림픽의 유치를 시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IOC의 목적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그리고 아예 [[2026 다카르 하계청소년올림픽]]은 아프리카 국가에서 개최하기로 확정했다는 점에서 IOC의 의중을 확실히 알 수 있다. == 개최 주기 == 기본적으로 [[올림픽]]과 동일하게 4년에 한 번을 원칙으로 한다. 하계와 동계는 2년을 주기로 번갈아 개최되며, [[2010년]] [[싱가포르]]와 [[2012년]] [[인스브루크]]를 각 하계, 동계 1회로 개최하였다. 하계 성인 올림픽이 있는 해에는 동계 청소년올림픽이, 동계 성인 올림픽이 있는 해에는 하계 청소년올림픽이 개최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 참가자격 == 만 14세 ~ 만 18세를 참가자격이 있는 [[청소년]]으로 정의하고 있다. 동계의 피겨 스케이팅의 경우에는 나이 제한이 있어서, 싱글의 경우 만 14세~만 15세(2012 인스브루크 동계청소년올림픽에서는 96년 1월생~97년 12월 31일생)로 제한되었다. 페어와 아이스 댄스의 남자 선수들의 경우, 2012년 동계청소년올림픽에서는 94년 1월생~97년 12월 31일생까지로 정해졌다. == 개최지의 조건 == [[올림픽]] 경기장으로 쓰게 될 '''일시적''' 구조물과 [[올림픽]] 선수촌을 제외하고 다른 시설물을 따로 지을 수 없게 제한이 걸려 있다. 이 얘기가 뭐냐 하면, '''이미 다 지어 놓고 입후보를 하든가''', 아니면 개최지로 결정되어서 나중에 경기장을 지은 경우 '''청소년올림픽 끝나면 철거'''해야 한다는 뜻이다. 그리고 유치도시 이외의 지역에서 경기를 개최할 수 없다. 따라서 모든 경기장이나 개/폐회식, 심지어 [[마라톤]] 코스의 경우에도 유치 [[도시]]안에서만 운영을 해야 한다는 것. 다만 최근 유치 지역이 도시에 한정한 것이 아닌 [[강원특별자치도]] 같은 권역이나 여러 도시간 공동 개최 식으로 신청할 수 있게 되면서 이러한 제한 역시 사라질 전망이다. 경기장의 경우에도, 하계올림픽이 개최되는 도시에서는 개회식과 폐막식이 열릴 트랙 & 필드 경기장의 수용인원은 10,000명 이상이어야 하며 개최도시는 수영 경기장의 수용인원이 2,500명 이상인 곳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IOC의 돈 빼먹기-- 개최지 선정은 청소년올림픽 개최 기간에 총회를 개최하여 기존의 올림픽처럼 투표를 통해 선정한다. == 재정 == 기본적으로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서 1500~3000만 달러를 개최비용으로 지원해주기는 하지만 당연히 이걸로 모자라기 때문에 제1회 청소년올림픽을 개최하였던 [[싱가포르]]의 경우에는 개최 준비로만 7500만 달러를 썼다. == 종목 == [include(틀:하계청소년올림픽 종목)] [include(틀:동계청소년올림픽 종목)] 동계청소년올림픽은 성인 올림픽과 같지만, 하계는 개최 국가들의 권한으로 종목 선정에 따라 달라진다. == 성인올림픽과의 차이점 == === 종목에서 차이점 === 성인 [[올림픽]]에 비해 기본 종목은 그대로 두되 세부종목을 줄인다. 다만 동계청소년올림픽에 있어서는 [[봅슬레이]]가 매우 위험한 종목이므로([[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참고) 기존의 검증된 시설 이외의 새 시설을 지을 수 없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검증된 시설이 없다면 아예 종목으로 넣지 말라는 것. 그런데 [[중화인민공화국]] [[하얼빈]]은 [[2012년]] 청소년올림픽에서 [[봅슬레이]]를 개최할 수 있다며 우겼다가 [[국제올림픽위원회|IOC]]한테 걸려버리는 바람에 아예 후보지에도 못 올라갔다. 세부종목 중 국가별 단체전이 아닌 Mix 단체전이 있다(하계의 펜싱 단체전, 동계의 스피드 스케이팅 팀추월 등). 말 그대로 남녀 선수들을 섞어서 한 조를 구성하며(그래서 정식 단체전과 조원의 수가 다르다.), 아예 모두 섞어 버리기도 하고, 대륙별로 조를 나누기도 한다.[* 이 때는 시상식에서 올림픽기가 계양되며, 국가 대신 올림픽 찬가가 연주된다.] X 게임즈처럼 독특한 종목이 있다. 덩크 컨테스트, 3점슛 컨테스트, 비치 핸드볼, 풋살 등 올림픽에서 볼 수 없는 종목들이 존재한다. === 운영에서 차이점 === 2010년 싱가포르 대회와 2014년 난징 대회, 그리고 가장 최근에 열린 2016 노르웨이 릴레함메르 대회 개회식에서는 국가별 대표 선수 각 1명씩이 커다란 국기를 흔들며 무대를 신나게 행진했다. 어찌되었든 모든 선수들은 올림픽기 앞에 하나되는 의미로 개/폐회식에 임한다. === 메달에서 차이점 === '''메달순위를 집계하지 않는다.''' 뭐 기본적으로 성인 [[올림픽]] 역시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서는 메달순위를 집계하지는 않지만서도... 성인 올림픽의 경우에는 조직 위원회의 공식 사이트에서 메달 집계하는 광경을 볼 수 있고, 각종 언론 등에서도 메달 순위를 매긴다.[* 미국이 하계 대회에서 줄곧 1위를 해오고 있다.] 반면 청소년올림픽은 대회 조직위원회의 공식 사이트 뿐만 아니라 사적으로 [[언론]] 등에서마저 메달 순위를 매기지 못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하지 말라면 꼭 더 하고 싶은 것이 사람 심리기도 하고-- IOC가 전세계 어디에서나 강제력을 갖는 대단한 단체는 아니므로 비공식적인 메달 순위는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당장 위키피디아에도 매우 자세하고 깔끔히 순위가 정리되어 있다.[* 하계의 경우 2010년 싱가포르 대회와 2014년 난징 대회에서는 모두 중국이 1위를 했고, 2018년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회에서는 러시아가 1위를 했다.] 대한민국 선수단의 경우 2010년(하계), 2012년(동계), 2016년(동계) 대회에서 각각 종합 3, 4, 2위의 성적을 거두며 매우 선전해 왔다. 단, 2014년(하계) 대회에서는 종합 13위라는 의외의 성적으로 대회를 마쳤다. == 청소년올림픽 개최 도시 == === 하계청소년올림픽 개최 도시 === [include(틀:역대 청소년 하계올림픽)] |||||||||| 하계청소년올림픽 목록 || || 회기 || 연도 || 개최국가 || 개최도시 || 비고 || || 1 || [[2010년]] || [[싱가포르]] || [[2010 싱가포르 하계청소년올림픽|싱가포르 하계청소년올림픽]] || 최초의 하계청소년올림픽[br]IOC가 주관하는 하계 청소년올림픽 역사상 최초로 아시아 개최 || || 2 || [[2014년]] || [[중국]] || [[2014 난징 하계청소년올림픽|난징 하계청소년올림픽]] || || || 3 || [[2018년]] || [[아르헨티나]] || [[2018 부에노스 아이레스 하계청소년올림픽|부에노스 아이레스 하계청소년올림픽]] || IOC가 주관하는 하계 청소년올림픽 역사상 최초로 남미 개최 || || 4 || [[2026년]] || [[세네갈]] || [[2026 다카르 하계청소년올림픽|다카르 하계청소년올림픽]] || IOC가 주관하는 올림픽 역사상 최초로 [[아프리카]] 개최[br]IOC가 주관하는 청소년올림픽 역사상 최초 연기 || === 동계청소년올림픽 개최 도시 === [include(틀:역대 청소년 동계올림픽)] |||||||||| 동계청소년올림픽 목록 || || 회기 || 연도 || 개최국가 || 개최도시 || 비고 || || 1 || [[2012년]] || [[오스트리아]] || [[2012 인스브루크 동계청소년올림픽|인스브루크 동계청소년올림픽]] || 최초의 동계청소년올림픽 || || 2 || [[2016년]] || [[노르웨이]] || [[2016 릴레함메르 동계청소년올림픽|릴레함메르 동계청소년올림픽]] || || || 3 || [[2020년]] || [[스위스]] || [[2020 로잔 동계청소년올림픽|로잔 동계청소년올림픽]] || || || 4 || [[2024년]] || [[대한민국]] ||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 || IOC가 주관하는 동계 청소년 올림픽 역사상 최초로 [[아시아]] 개최 || == 메달리스트 == [[청소년 올림픽/한국 메달리스트]] == 인지도 == 이것도 세계구급 스포츠 행사지만 동년에 같이 개최되는 스포츠 행사에 밀려 관심 가져 주는 사람이 별로 없다.[* 그래도 IOC에서 주관하는 행사이고, 다른 스포츠 행사들과 일정이 겹치지 않기 때문에 경기장에 오는 사람들은 꽤 많다.] 아예 이 행사의 존재를 모르는 사람도 많다. 그도 그럴 것이 국내 언론부터도 거의 보도하지 않고 오히려 아시안 게임에 초점을 맞춰 메달 소식을 전하기에 청소년올림픽 경기 상황은 방송에서 찾아보기 힘들다. [각주] [[분류:청소년올림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