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배설계]][[분류:약리학]][[분류:생리학]] [목차] == 개요 == {{{+1 Clearance, [[淸]][[掃]][[率]]}}} 청소율(또는 제거율)은 생리학이나 약리학에서는 어떤 물질이 체내(혈액 또는 콩팥등)에서 제거(청소)되는 속도를 나타낸다. 좀 더 정확히는, 청소율은 단위시간당 제거되는 특정 물질을 포함하는 체액의 양이다. 이 개념은 일반적으로 몸에서 유해 물질이나 약물 따위가 대사되고 방출되는 [[간]]이나 [[콩팥]] 등에서 중요하며, 특히 콩팥에 의한 청소율인 콩팥청소율(신장청소율, renal clearance) 개념은 콩팥의 다른 개념들을 정의하거나 설명하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생리학]]에서 청소율은 C, [[약리학]]에서 청소율은 CL로 줄여 표기한다.[* 약리학에서 CL로 줄이는 이유는 약물 농도(concentration)도 C로 줄여 쓰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편 환경공학에서는 대기나 수질등 환경에서 오염물이 제거율되는 성능을 가리킨다. == 생리학 == 가장 청소율 개념이 보편적으로 쓰이는 콩팥에서의 청소율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어떤 물질 X에 대한 콩팥청소율 C(mL/min)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math([U]_X)]는 물질 X의 소변 속 농도(mg/mL), [math(V)]는 분당 배출되는 소변량(mL/min), [math([P]_X)]는 물질 X의 혈장 농도(mg/mL)이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th(C=\dfrac{[U]_X \times V}{[P]_X})] }}} [[다당류]]의 일종인 [[이눌린]](inulin)의 청소율은 [[사구체여과율]](glomerular filtration ratio, GFR)과 같은데, 그 이유는 이 물질이 [[여과]]는 일어나지만 [[재흡수]]나 [[분비]]가 모두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단백뇨]]와 같은 이상이 있지 않다는 전제 하에, 여과가 아예 되지 않는 [[알부민]]과 같은 혈장 단백질의 청소율 식 분자의 [math([U]_X=0)]이 되므로 콩팥청소율이 0이다. ([[당뇨병]] 등이 없는 정상적인 사람에서) [[포도당]]이나 [[아미노산]]과 같이 100% 재흡수되는 물질들 역시 소변 속 농도가 0이므로 청소율이 0이다. === 청소비율 === 청소비율(clearance ratio)은 위에서 사구체여과율과 같은 값의 청소율을 가지는 이눌린을 기준으로 하여, 특정 물질의 여과-재흡수-분비 여부를 알아내는 데에 사용되는 비율이다. 물질 X의 청소비율은 C,,X,,를 이눌린의 청소율 C,,inulin,,으로 나눈 값이다. 이 값이 1이면 물질 X 역시 이눌린과 비슷한 특성[* 여과된 후 재흡수나 분비되지 않음.]을 가진다. 이 비율이 1보다 크면 물질의 분비량이 많기 때문에 소변 속 농도가 높은 경우이며, 반대로 1보다 작으면 아예 여과되지 않거나 재흡수량이 많아 소변 속 농도가 낮은 경우이다. == 약리학 == [include(틀:약리학)] 약리학에서의 청소율은 단위시간당 제거되는 약물이 든 체액의 부피를 가리킨다. 우선, 체내 존재하는 약물의 양(mg)을 [math(A)], 경과한 시간을 [math(t)](h)라고 하자. 단위시간당 몸에서 배출되는 약물의 양을 가리키는 제거율(elimination rate)은 [math(dA/dt)]로 쓸 수 있으며, 이 값은 일반적인 약물들에서는 약물의 양에 비례한다. 즉, 약물이 몸 안에 많이 존재할 때에는 더 빠르게 물질이 제거되고, 적게 존재할 때에는 제거 속도가 느려진다. 이런 경우를 일차역학(first-order kinetics)이라고 하며, 어떤 상수 k에 대해 [math(dA/dt=-kA)]가 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몸 안의 약물 전체 양보다는 혈중 농도를 이용하는 것이 측정에 유리하다. 약물의 [[분포 용적]] [math(V_d)]와 혈중 농도 [math(C)]에 대해 [math(A=V_d \times C)]이므로, [math(dA/dt=-kA=-k \times V_d \times C)]로 표현된다. 여기서 청소율 [math(CL=kV_d)]로 정의된다. [math(k)]와 [math(V_d)]는 특정한 약물에서 상수값이므로, 청소율 역시 상수값이 되어 계산이 편리해진다. 따라서, [math(dA/dt=CL \times C)]이다. == 환경공학 == 오염물 제거율 또는 줄여서 제거율은 공장이나 내연 기관의 먼지,배출 가스등 오염물질을 정화 장치에 통과시켰을 때 물리적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인 작용을 통해 제거되는 유해 물질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지표로 사용된다. === 입자상 먼지 === 검사체적 박스(box)를 가정하고 이러한 제어공간에 유입되는 분진(particle)이나 가스(gas)가 박스(box)내 정화 장치를 이용하여 제거되는 [[유량(유체)|유량]](출구조사)과 정화 장치 입구내로 유입된 분진량(입구조사)의 비로 나타낼수있다. [math(P_I \rightarrow \square \rightarrow P_O )] === 제거율 === [math(\text{제거율}(\eta) = 1- \dfrac{P_O}{P_I} )] 여기서 1은 유량 자기자신의 값이며 [math({P_O},{P_I} )]는 유량내 대상물질의 량이다. == 관련문서 == *[[반감기]]